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OS Jan 14. 2016

일상적인 잡담들

1.
광화문 교보에 갔는데 인문학을 알아야 한다고 인문학 서적이 크게 가판을 차지하는 것을 봤다. 그리고 서울시에서도 자꾸 인문학 강좌 뭘 개설하라고 사업비를 뚝뚝 떨어뜨려 준다. 아니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칠십퍼센트가 문과라는데 여보시오, 이거 자연과학에 좀 불공평한 처사 아닌가

나 로미오와 쥴리엣 봤어.
        로미오하고 너하고만?

열역학 1법칙 알아?

수학 물리 같은 것에 일종의 공포감을 가진 사람이 많다.

인문학은 쉬워보이고 과학은 어려워보이나?

사실 수학과 철학은 근본을 같이 하는데.


- 어느 문과 출신의 갸우뚱

2. 1.
사람들이 화가 많이 나있어. 한 명의 불쾌함이 여럿의 유쾌함을 이기니까.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화가 난다. 다같이 불쾌해져버리는. 그게 아, 중동. 수니파 시아파 IS가 남의 일로만 보였는데 요즘 지구도 근거리라, 한 다리 건너기도 전에 가족이 있었다. 지극히 사랑하는 두 명.

사람들이 화가 나는 건 사실 자기가 그걸 갖지 못했기 때문임을 알아 버렸기 때문이다. 그게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것부터 시작했으면 화가 안 났을텐데. 아니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안 보인다면.

2. 2.
어떤 사람들이 저기에 가입하나 했는데 IS가입 이유 중 하나가 그쪽에서 제공(?)해준다는 네 명의 부인이라고. IS언급만 나오면 등장하는 여성들의 인권이 신경쓰인다. 전쟁 상황에서 누가 인권을 부르짖을 수 있겠느냐만은 모든 면에서 여자보다 위에 있는 듯이 이야기되는 고등생물인 남자인데 어째 유독 이 부분에서는 짐승과 동급 취급을 당하고 싶어할까?

3. 1.
눈이 오는데 염화칼슘을 뿌리는 걸 보면 지렁이들은 어찌 지내나 싶다. 나는 사실 지렁이를 좋아해서 초등학생 때 우리 집에 지렁이 스무마리 정도 밖에서 잡아다가 풀어놓은 적이 있다....지룡들이 있어야 땅이 살아나는데. 땅이 짜지면 지렁이가 살기 힘들텐데 눈 오는 이런 날 모래나 자갈을 뿌리면 안 되나 생각한다. 초등학생 때만 해도 눈길에 연탄재 뿌렸었는데. 나의 소심한 걱정은 비올 때 동네 뒷산에 올라가 이렇게 가다 제 명도 못 살 것 같은 길가의 지렁이를 조심스레 들어 안전해 보이는 곳에 갖다 놓는 것 정도로만 표현된다.

3. 2.
비슷한 이야기로, 드라마나 아니 일상생활에서도 물 틀어놓고 양치하거나 거울보는 사람들을 보는 게 불편한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멀쩡한 물을 쓰지도 않는데 왜 틀어놓고 있냐능. 세면대 이용하는 척, 지그시 수도를 잠가놓고 가는데 꿋꿋하게 다시 물 트는 사람들도 있고. 참 나도 오지랖.

4.
눈이 오는 날마다 중학생 때 생각난다. 서울시에서 하는 무슨 백일장에 나갔었는데 주제가 겨울밤이었다. 겨울밤은 까맣고, 눈은 하야니까 사람 머리와 비듬이 생각나서 검은 머리에서 비듬떨어진다 뭐 이런 시를 썼다가 나중에 학교 선생님이 아시곤 나는 한 시간 넘게 벌 섰었다. 그냥, 그랬다고. 매년 눈 오는 겨울이면 기억나.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중간적인 추억 ㅎㅎㅎ

작가의 이전글 부모님의 기상시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