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것(?)들은 책을 읽지 않는다.
출판이 죽으면 미래가 없는데.
동네 책방이 죽어간다. 아니 이미 죽었다.
온라인 서점에서만 구매한다.
문화가 살 길이 없다. (출판업자. 개뿔.)
출판사라는 것들이 돈 되는 책만 찍는다.
도무지 읽을 책이 없다.
읽으려는 책은 언제 출간된지도 모르다가 찾아보면 절판이다. (불량 독자. 개뿔.)
매년 출판업은 불황이었다.
단군이래 최대 불황이라는 말을 매년 반복한다.
단군이래 호황이었던 적은 없다.
이런 상황인데도 왜 출판을 하는가.
책이 팔리지 않는다고 아우성인데,
결국 책이라는 상품이 독자라는 소비자와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책을 읽는 것은 사람이다.
책을 쓰는 것도 사람이고 만드는 것도 사람이다.
출판이 올바른 길을 가려면 사람에게 필요한 가치와 진실이 무엇인지 다할 수 있어야 한다.
책은 문화가 되어야 하지만, 그 문화가 감당해야 할 공적 책임에 대해 책 만드는 사람의 고민이 필요하다.
독자의 니즈라는 이름으로, 또는 마케팅 전략이라는 설명으로 합리화하면서 정작 책을 구성하는 주인을 주변적인 도구로 전략시킨 것은 독자가 아니라 출판사와 편집자이다. 기획이라는 이름으로. _이홍
책은 그냥 책일 뿐이다.
우리가 고전이라 말하는 책도 그 시기의 수많은 책 중의 한 권일뿐이다.
당시에는 새로 나온 책중 하나였다.
책을 잘 골라 읽어야 하나.
좋은 책을 읽으라 하지만
뭐가 좋은 책일까.
내가 좋으면 그만이다.
남들도 좋아하면 베스트셀러이고
아버지가 좋았던 것이면 고전이라 말할 수 있다.
야구에서 3할이면 잘 치는 타자이다.
나머지 7번은 삼진이거나 잘하면 외야수에 잡혔을 것이다.
늘 좋은 책만 읽을 수는 없다.
그럴 필요도 없다.
늘 좋은 책만 선택할 수도 없다.
맘에 안 드는 책을 선택했으면 속았다고 생각하고 또 한 번 속을 것을 염려하자.
사자 위장에 탈이 나면 풀을 먹듯이 병든 인간만이 책을 읽는다. 오늘날의 사람만이 그런 것이 아니라 인류 역사에서 책을 읽은 이는 전체 숫자와 비교하면 몇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우리는 책을 읽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린다. 대다수 사람이 행하고 있다 하여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며, 압도적 다수가 책을 읽지 않는다는 사실을 놓고 보면 ‘책을 읽어야 한다’는 것은 소수 책 읽는 이가 벌이는 일종의 음모임이 틀림없다. _《책과 세계》, 강유원
책은 그냥 책일 뿐이다.
대단할 것도 없다.
온 국민이 책을 읽기를 바라는 자체가 잘못된 설정이다.
시대를 거슬러 책은 극히 소수의 전유물이었다.
지금처럼 온 국민이 책을 읽지 않는다고 위기의식을 줄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왜 책을 읽지 않으면 안 되는 분위기를 만드는가.
책은 그냥 책이다.
읽고 싶으면 읽고,
읽다가 싫으면 덮고 다른 것을 찾으면 된다.
책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책의 생태계가 곧 출판의 생태계는 아니다. 출판과 책의 생태계는 서로 상당 부분 겹쳐 있지만,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출판이 자신의 역할을 다하지 않는다면, 책의 생태계는 곧바로 이별을 선포할 것이다. 지금 출판은 필사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야 한다. _편집마왕
책은 그냥 책일 뿐이다.
위기의식을 조장해서 왜 책을 팔아먹으려 하는가.
왜 지식 장사를 하려는가.
책이 먼저인지 마케팅이 우선인지 모를 지금,
책 권하는 X 같은 사회는 만들지 말자.
돈 내고 책을 사는 것은 독자이다.
내 맘이 동動해야 책도 사고 책도 읽는다.
이런 세상을 깨우치려면 책을 읽어야 하나.
다시금 책을 들어본다. (불량 독자, 개뿔)
불량 독자의 위안이자 변명이다.
불량 독자가 득실거리는 것은 99 퍼센트가 출판사 탓이다.
덧_
편집마왕, 출판의 위기란 무엇인가
강유원, 《책과 세계》, 살림
이홍, 《만만한 출판 기획》,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