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방준호 Mar 18. 2023

사회복지 쪽은 "안돼"라는 말이 싫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느끼는 한계와 극복을 위한 사회복지사 이야기

"방대리, 사회복지 쪽은 안돼..."라는 말을 나는 가끔 듣는다. 이런 답을 듣는 이유는 왜 일까? 답 이전에 질문이 있다. 앞선 대답을 듣는 이유는 내가 안 될 거 같은 질문을 먼저 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말 내가 안될 것 같은 질문을 했을까? 에 대한 합리적 의심을 해 볼 수 있다. 아래는 내가 안될 거 같은 질문을 말한 것들이다.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이 실습할 수 있게 우리 협회를 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으로 등록하면 안 되나요? / 우리 협회는 점점 발전하고 있나요? / 지금 저는 n년차 인데 제가 제 업에 대해서 잘하고 있거나 발전해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요? / 잡코리아나 사람인에 있는 우리 협회 정보가 올바르고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 카카오 채널을 활용한 챗봇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조직 관리를 해보면 어떨까요? / 우리 협회 대외활동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다양한 서포터즈 활동을 만들 수는 없나요? / 포인캠퍼스 플랫폼을 활용한 우리 협회 자체 교육 플랫폼을 만들어 볼 순 없나요? / 왜 임금명세서를 봐도 아무도 자기 월급에 대해서 얘기하는 사람이 없나요? / 이룸센터 대관이 저녁 9시까지 할 수 있는데, 장애인 단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실무 교육을 퇴근 후에 만들어 볼 순 없나요? 


더 많은 질문들이 있지만 너무 개인적이거나 우리 협회 내부적인 일이기 때문에 이 정도로 축약해 봤다. 지금 해당 질문을 다시 보면서도 난 왜 안될까?라는 생각 밖에 들지 않는다. 위의 질문에 답을 하기는 쉽다. 그냥 다 일괄적으로 안 돼라고 말하면 된다. 그렇다면 저 질문 중에서 하나라도 될 수 있는 방법과 고민을 하게 된다면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


앞선 일을 하기 위해서는 사람, 시스템, 조직 기여, 지속가능성, 확장성, 당위성, 시의성 등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를 진지하게 얘기하기 앞서 늘 어느 지점에서 무너지게 된다. 바로 그것은 "방대리, 저거 니만 하고 싶어 하는 거야"라는 말을 듣는 순간이다. 


하아... 저게 나만 하고 싶어 하는 일일까?라는 생각을 1초 정도 하긴 한다. 하지만 브런치의 내 글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난 전국의 조직을 갖춘 우리 협회가 그리고 장애인단체 종사자들이 보다 스마트하게 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매일 고민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다. 


지금 30대 중반의 내가 중앙법인에 있다가 지역사회의 일선 사회복지사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은 내 스스로 너무 잘 알고 있다. 내가 자란 곳, 내가 성장한 곳, 내 아픔이 있는 곳, 내가 가정을 꾸리고 행복한 터전을 만들었던 곳으로 돌아가 내가 그동안 배우고 실천했던 것들을 내 지역사회 내 일선 사회복지사로 일하고 싶은 게 내 목표이자 꿈이다.


그러기 전까지는 내가 최대한 이곳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 일지를 치열하게 고민할 수밖에 없다. 그 고민의 시작이 앞선 질문들이었고, 그 질문을 대답하기 위해서 혼자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어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여러 이야기를 나눈다. 


10명 중 9명은 사회복지 쪽은 안 돼라는 말이나 우리 협회는 안 돼라는 말을 한다. 나 보다 오래 사회복지 현장에서 일을 했던 분들이 자신들도 나 같은 생각을 똑같이 했고, 똑같이 시도해 보았지만 달라지는 것은 아주 미비하거나 회귀될 뿐이라 했다. 


그들의 대답에는 2가지 반응이 있다. 첫 번째는 정말 안 되는 일이니깐 다른 것에 에너지 쓰지 말고 지금은 너가 맡고 있는 일에 집중하라는 말이고 두 번째는 나는 하지 못했지만 혹시 너라면 할 수도 있으니 한번 해봐라는 반응이다. 그리고 난 뒤에 대답을 1%라도 해주는 사람들과 관계를 더욱 돈독히 맺고 있다. 


그동안 내가 무슨 일을 해왔던 것들이 난 하나도 궁금하지 않다. 앞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가 궁금한 사람이다. 나는 영어 단어 "beyond"라는 표현을 좋아한다. 사전적 의미는 "저편에 [너머]"라는 뜻이다. 나는 이 단어를 얘기하고 생각하면 작은 언덕 하나가 떠오른다. 


내가 살던 마을에 작은 언덕이 하나 있는데, 저 언덕 하나를 넘으면 새로운 마을이 나오고 새로운 풍경이 나오게 된다. 그리고 다시 언덕 하나를 넘으면 내 마을로 돌아올 수 있다. 그렇게 작은 언덕들을 넘어 다니면서 세상에 다양한 경험과 풍경들을 몸과 마음에 담고 내가 있는 곳으로 돌아오는 상상을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내가 이렇게 작은 언덕을 넘어 다니는 것을 꼭 에베레스트 산을 등정하는 것처럼 느껴지나 보다. 나도 언젠가는 더 큰 이상향과 세상을 보기 위해서는 작은 언덕이 아니라 큰 산을 넘거나 넓은 바다로 나가야 되는 순간들도 올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호기심과 조금의 근육통이 없다면 더 큰 산을 경치로 바라보거나 넓은 바다에서 평안함을 받을 뿐이다. 


어쩌면 사람들 눈에 내가 큰 산을 등정하고 넓은 바다를 해양해야 되는 사람처럼 비칠 수도 있다. 실제론 전혀 그렇지 않은데도 말이다. 그래서 내가 하자고 하면 혹은 해야 된다고 하면 자신들도 이런 상황에 놓여 있을 것 같아 두려움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든다. 


혹은 누군가는 이미 큰 산을 등정하고 바다를 해양하고 있을 수 있다. 다만 어디를 어떻게 가야 할지 방향을 잃어버린 채 산 중턱에 바다 한가운데 놓여 있을 수도 있단 생각이 든다. 나 또한 그런 상황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여전히 사회복지현장에서 하고 싶은 일을 해야 될 일을 위해서 이런 고민들이 수도 없이 나열하고 정리해야 되는 시간을 갖는 것이 난 여전히 즐겁고 행복할 뿐이다. 




작가의 이전글 방석사님, 이제 뭐 하실 건가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