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방기연 Aug 13. 2019

'특별함'이란 덫

자승자박

'특별한 존재이고 싶다.'

보통 누군가에게 아주 특별한 존재이고 싶어 한다.

자신이 특별하게 여기는 사람이 자신을 평범하게 대하면 속상해진다.

특별한 존재이고 싶은 욕구는 괜찮을까?



누군가를 좋아하면 그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이 쏠린다.

그가 조금이라도 관심을 보이면 기쁘고 설렌다.

사랑하는 사람한테 특별한 존재이고 싶다.

그에게 '아는 사람 가운데 한 명'이 아니라 '유일한 한 사람'이고 싶은 것이다.


질투를 하는 심리에도 이런 욕구가 깔려 있다.

상대의 마음을 독점하고 싶을 때 질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좋아하는 대상을 독점하려는 마음이 정상일까?

미숙한 감정일 뿐이다.


누군가가 나에게 깊은 관심을 가진다고 하자.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관심이 반갑다.

내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관심이 부담스럽고 싫다.

권태기가 오는 원리이다.


좋아하는 감정이 활발하게 일어날 때는 상대의 눈길과 관심이 짜릿하게 좋다.

그런데 익숙해져서 별 감정이 일어나지 않으면 상대의 눈길과 관심이 부담스러워진다.

정말로 좋아한다면 상대의 감정도 존중할 줄 알아야 할 텐데 미숙한 사람은 자기감정대로만 한다.

그래서 좋아하는 사람을 독점하려는 마음을 미성숙한 감정이라고 하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유일한 사람'이어야 만족스럽다면 큰일이다.

스토커의 심리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좋아하는 친구가 다른 친구를 더 좋아하는 줄 알았을 때 섭섭하다면 건강한 마음이 아니다.

좋아하는 사람이 기쁘고 좋아하는 자체가 좋아야 건강한 마음이다.


내가 누군가에게 특별하거나 유일한 존재이기를 바라는 것은 스스로 자유를 포기하는 마음이다.

더 고약한 것은 상대의 자유를 구속한다는 사실이다.

데이트 폭력이나 스토킹, 또는 변심에 앙심을 품고 살인까지 저지르는 일도 생긴다.

'특별하고 싶은 욕구'가 부르는 비극이다.


'특별한 존재'가 된다는 것에 양면성이 있다.

자신도 좋아하는 대상한테 특별한 존재가 되면 가슴 벅차게 기쁘다.

그런데 좋아하지 않는 대상한테 특별한 존재가 되면 부담스럽다.

연애할 때는 서로에게 특별한 존재임이 좋았지만 결혼해서 살다 보면 열정이 식으면서 특별한 존재임이 구속으로 느껴지곤 한다.

오죽하면 배우자가 여행을 가서 홀로 있게 되었을 때 '자유로워서 좋겠다.'라고 부러워하겠는가.



특별한 존재이고 싶으면 일상이 불만족스럽다.

웬만한 관계에서 뭔가 모르게 허전함을 느끼게 된다.

이 허전함은 채워지지 않는다.

특별함이란 매력적이지만 위험한 것이기도 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홀로 또 함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