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블루아 정씨 Apr 26. 2020

심심할 틈이 없으니까

프랑스 지방도시에서 쓰는 방콕일기 36

4월 25일(격리 41일째) 토요일 맑음


“가만 보면 너는, 방학 때 평소에 좀 부족했던 과목을 좀 들여다본다든지 그런 거 한 번도 안 하드라.”

“쟤네들도 안 하잖아요.”


딸과 이야기를 나누다 폭발하는 순간이 있다. 그럴 때면 내 바닥을 보게 되는데, 어제 오후에 그랬다. 주로 남 탓을 한다든지, 주제와 상관없는 핑계를 댄다든지 하는 게 나를 자극하는 경우다. 어제는 전자와 후자가 교묘하게 섞여 있었다. 중학생이면서 초등학생인 동생들을 대화에 끌어들이는 것은 조금 비겁해 보였다. 그래서 더 화가 났을 것이다. 깨끗하게 떠나지 않고 은근히 나를 괴롭히고 있는 치통 때문이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아내는 첫째도 제 동생들과 비슷하게 아직 어리다고 일러줬다. 틀린 말은 아니다. 더구나 첫째는 월반을 해서 또래들보다 1년 더 어리다. 감정을 추스르고 잠자리에 들기 전 첫째의 방에 가서 다시 대화를 시도했다.


“방학이면 시간이 많으니까, 심심할 때 교과 관련 책도 볼 수 있는 것 아니냐는 말이었어.”

“안 심심해요.”


딸은 아직 분이 덜 풀린 모양이다. 오래 앉아 있어 봐야 더 얻을 게 없을 것 같아 잘 자라는 인사를 하고 나왔다. 얼마 후에 아내와 몇 마디를 나눈 첫째는 거실로 와 내게 화해를 청하고 제 방으로 들어갔다. 아무리 생각해도 본인은 잘못한 것이 없어 보여서, 내가 노발대발하는 걸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다. 첫째와의 마지막 대화에서 나는 내가 잘못한 걸 이해했다. 아이들은 방학이든 격리 기간이든 아무리 시간이 많아도 전혀 심심하지 않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었다. 


오늘 오전에는 첫째가 둘째와 쑥덕쑥덕하면서 뭔가를 꾸미는 것 같았다. 둘이서 꾸민다기보다는 첫째의 지시를 둘째가 따른다고 하는 게 맞겠다. 의자를 나란히 놓고 나와 아내를 불렀다. 연극을 준비한 것이다. 첫째가 엄마 역, 둘째는 아들 역. 엄마와 아들이 학교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 나누는 대화다. 주요 대사만 뽑으면 내용은 이렇다. 


아들 : 오늘 멜라니 옆에 앉은 애가 선생님한테 엄청 혼났어요. 부모님 모시고 오라고 했다니까요. 

엄마 : 뭘 얼마나 잘못했길래?

아들 : 지우개를 아무렇게나 던지고, 화장실에서 물 뿌리고 그랬나 봐요. 

엄마 : 넌 그런 애들이랑 놀지 마라. 너 걔랑 친하니? 너 걔 짝꿍이야?

아들 : 아니 내 짝꿍은 멜라니인데요?

엄마 : 뭐라고?!?!??

아들 : 엄마는 내가 일등이기를 바라잖아요. 뒤에서 일등 맞잖아요.


어제 일 때문에 괜히 내가 찔려서인지 아들의 마지막 대사가 오래 남았다.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결과적으로 첫째가 고급지게 나에게 카운터 펀치를 날린 것으로 봐야 할 것 같다. 오늘 연극의 내용은 내용대로 내게 충격적인 것이긴 했지만, 생각해보면 아이들은 집에서 오랜 시간을 보낼 때 심심하다고 불평을 한 적이 거의 없었다. 연극은 방학 때 종종 우리에게 선보이는 청량제 같은 것이다. 최근 컴퓨터에 저장된 오래된 동영상 파일을 본 적이 있는데 거기에서도 연극 동영상을 몇 개 발견해서 한참을 웃었다. 


3년 전이면 그리 오래된 일도 아닌데 아이들은 왜 이렇게 어린지. 마찬가지로 둘째와 셋째는 첫째의 지시에 따라 연기를 했다. 동영상 속 아이들은 선글라스와 바캉스용 밀짚모자를 쓰고 여행용 트렁크를 하나씩 끌며 나타났다. 비행기를 타고 어디론가 떠나는 내용이었다. 당시는 우리가 한국에 살 때여서 여름방학이면 꼭 보르도 인근의 처가로 와서 지냈는데 그 여행 과정을 연극으로 보여주려 했던 것이다. 장인 장모와 나, 아내 이렇게 넷은 관객석에 앉아서 대사도 잘 들리지 않는 어설픈 연극을 보며 배를 잡고 웃었다. 


며칠 전에는 아내와 나, 넷째, 이렇게 셋이 저녁식사 후에 잠시 산책을 다녀온 적이 있다. 날씨가 좋아서 소화도 시킬 겸 유모차를 끌로 동네 한 바퀴를 돌았다. 30분 정도 걸린 것 같은데 집에 와보니 1~3번 아이들이 떠들썩했다. 가라오케 기계를 거실에 가져다 놓고 신나게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그 기계는 선물로 받은 건데 첫째가 가끔 친구들 왔을 때 사용하고, 그 외에는 둘째가 CD로 노래를 듣는 데 사용하느라 아 우리 집에 저런 게 있었지, 라고 생각할 정도로 이렇다 할 존재감이 없는 물건이다. 기분도 좋고 날씨도 좋아서, 나도 아이들 앞에서 노래를 불렀다. 기계의 반짝이는 불빛이 신기한 넷째는 그 앞에서 떠날 줄 몰랐다. 


연극이나 가라오케뿐인가. 격리기간 동안 아이들이 얼마나 ‘심심’과는 거리가 먼 족속인지 내 눈으로 똑똑하게 확인하지 않았던가. 색종이 접기, 중세 기사 놀이, 그림 그리기, 픽셀 아트 그리기, 외줄 타기, 퍼즐, 만화책 읽기, 보드게임… 그런 걸 알면서도 “심심할 때 교과 책을 좀 볼 수 있는 거 아니냐”라고 말하는 것은 매우 비겁한 자세였던 거다. 차라리 “방학이지만 너의 점수를 올리기 위해 공부 좀 해라”라고 말하는 게 더 솔직하다. 오는 월요일이면 개학이다. 또 날마다 해야 할 숙제들이 메일함으로 쏟아질 것이다. 그때는 아이들에게 “공부하라”라고 솔직하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시간이 온다. 며칠만 기다렸으면 좋았을 것을, 아무리 생각해도 치통 탓이다. 

이전 11화 아독 선장이 누군지 몰라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