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서도 잘 먹고 잘 산다는 말은 사실일까?
상담교사로 살아남기
현대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개인의 욕구가 중요한 시대이다. 국가나 사회보다 개인이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지는 이미 수년이 지났다. 지금은 누구 보아도 스스로가 가장 중요한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런 사회 분위기 속 '혼자서도 잘 먹고 잘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주목받은 것은 최근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들이 전하는 메시지처럼 혼자서도 잘 먹고 잘 산다는 말은 과연 사실일까?
학교에서 대인관계로 어려움이 생겨 상담실로 찾아온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사람들의 이야기와 달리 혼자서도 잘 먹고 잘 살지 못한다. 한 반에 25명 남짓, 한 학년에 200~300명, 한 학교에 800~900명 되는 무리에 속한 학생이 학교 안에서 홀로 시간을 보내며 별 일 없이 잘 지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사회로 나가면 직장생활을 제외하면 선택적으로 인간관계를 맺어갈 수 있지만, 여전히 직장생활에서 무리생활이 계속되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디지털노마드족이나 경제적 자유를 이룬 소수의 사람이 아닌 보통의 사람은 평범한 회사에 다니며, 사람들과 원하던 원치 않던 관계를 지속해 나갈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럼에도 직장에서의 연대는 과거보다 약해졌으며 직장 외의 삶에서는 혼자서도 그럭저럭 살아갈 수 있을 만큼 우리의 삶은 풍요로워졌다. 누군가의 도움을 청하지 않아도 핸드폰으로 대부분의 구매활동과 간단한 업무들을 처리할 수 있으며, 홀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콘텐츠들도 넘쳐흐르는 시대에 살고 있다. 또 매체를 통해 보게 되는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들이 친구와 지인 같은 역할을 약간 대체해 주는 면도 있다.
또한 SNS가 발전하며 꼭 실제로 알고 지내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마음에 들거나 친근하게 느끼는 타인의 삶을 쉽게 엿볼 수도 있다. 반대로 SNS나 유튜브를 통해 나의 삶을 적극적으로 노출시킬 기회 또한 얼마든지 있다. 사람들은 굳이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전통적인 만남에 얽매이지 않아도, 나와 결이 더 맞는 사람을 찾아 나설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혼자서도 잘 지낸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들은 이를 매개로 다시 타인과 소통하고 이어지기 위해 노력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점은 필시 인간이라는 존재는 홀로 살아가기는 어려운 존재라는 방증일지 모른다.
결국 그럭저럭 홀로 살아가기에도 괜찮은 환경이 주어지고 있지만, 그 안에서 완벽한 '혼자'가 되어 살아가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그것을 간절히 원하는 사람도 딱히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사람들에게는 약한 연대를 맺을 수 다양한 방법들이 생겨났으므로 이에 대한 도움을 받으며 살고 있다.
'완벽한 고립을 통한 잘 먹고 잘 살기'는 사회적인 동물인 인간에게 매우 어려운 일일 것이다. 침팬지 무리에서 홀로 떨어져 숲에 남겨진 침팬지는 생존 확률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듯이 인간 또한 그리 다르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