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느린 발걸음 Jun 26. 2024

1분간 말하지 않기


초등학교 2학년, 유치원생인 두 아들은 말이 많다.

하루종일 어쩜 그리 재잘거리는지 신기할 따름이다.

초반에는 리액션을 해주며 잘 들어준다. 그런데 아이들의 말이 끝이 없다.

내 집중력의 한계를 넘어서면 아이들의 이야기가 먼 곳에서 들리는 것처럼 조금씩 흐릿해진다.

내 귀가 살기 위해 한 귀로 흘려듣기 시작한 것이다.

이 타이밍에 호응해줘야겠다 싶으면 고개를 끄덕이며 "아, 그렇구나."라며 말하는 것으로 듣고 있다는 것을 알린다. 

보통 잘 넘어가는데 두 아들이 질문할 때가 있다. 난감하다. 

머리를 이리저리 굴려보지만 어쩔 수 없다. 핑계를 댄다. 잘 못 들었으니 다시 말해달라고.

아니면 엄마가 지금 너무 피곤해서 네 말이 하나도 들어오지 않으니 나중에 얘기하라고 한다.

뭐... 내가 그렇게 얘기해도 자기들 할 말이 있으면 한다.


한 명씩 이야기하면 그래도 조금 괜찮은데, 둘이 한꺼번에 이야기하면 정신이 하나도 없다.

내 머리가 어질어질하면서 지끈거린다.

도저히 무슨 이야기인 줄도 모르겠고 내 귀는 고통을 호소한다.

제발 한 사람씩 이야기하라고 하는데, 그러는 것 같다가도 어느새 둘이 한꺼번에 이야기한다.

자기 이야기를 들어달라고 하면서. 

순서를 정해줘야 조금 기다린다. 뭐, 짧은 시간이긴 하지만.


아이들의 이야기는 밥 먹을 때도 끝이 없다.

밥 먹을 때는 이야기를 해도 조금만 하면서 먹고 싶은데, 보통 때처럼 말하려고 한다.

밥을 먹는데 정신이 하나도 없으면서 내가 무엇을 먹고 있는지 헷갈린다.

음식을 먹는지, 아이들의 이야기를 먹고 있는 것인지. 

체할 것 같다. 그제야 말한다.

"제발 우리 1분만 조용히 해보자. 밥 먹는데 정신이 하나도 없어."

두 아들, 1분이면 얼마 안 되는 시간 아니냐며 타이머로 1분을 맞추라고 한다.

그 정도는 아주 쉽다는 듯이 의기양양한 표정을 지으며.





'시작'이라는 말과 함께 두 아들은 밥 먹는데 집중한다.

그런데, "엄마, 얼마나 지났어?"라며 말을 한다.

이런... 이제 20초 지났는데...

"20초 지났는데? 1분 되려면 아직 멀었어. 못하겠어?"

그러면 승부욕이 발동하는지 할 수 있다며 다시 재달라고 한다.

그런데... 30초 정도 지났는데 자기도 모르게 "엄마"를 부른다.

자기도 뜨끔했는지 "얼마나 지났어?" 물어본다.

"아직 30초밖에 안 됐는데?"라고 말하면 다시 하라고 한다.

그렇게 세 번 정도 시도해야 겨우 1분 동안 말하지 않기에 성공한다.

"봐, 우리도 1분 동안 안 할 있잖아!"라며 다시 재잘거리기 시작한다.

그래... 1분 동안 말 하지 않는 것이 너희에겐 정말 대단한 일이구나! 느낀다.


예전에 모든 이야기를 다 들어주느라 내 몸이 힘들었던지 이제는 적당히 듣고 흘리는 경지에 이르렀다.

가끔 '엄마'라는 이야기가 들려 "왜?"라고 물으면 자기네끼리 노는 것이었다며 상관하지 말라고 한다.

그제야 아이들의 모든 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는 없구나 느낀다.

필요한 것이 있으면 나에게 쪼르르 달려와 말을 하니까.

가끔 집안일을 하다 두 아들이 하는 이야기에 가만히 귀 기울여본다.

둘은 웃으면서 얘기를 하는데 나는 도대체 어디가 웃음 포인트인지 모르겠다.

가끔 남편 얼굴을 보면 남편도 나와 같이 고개를 갸우뚱거린다.

어른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들만의 세계가 있나 보다.

남편과 둘이 마주 보며 씩 웃는다. 

어차피 조금 지나면 두 아들이 우리를 부를 것을 잘 알기에.








작가의 이전글 잠깐 멈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