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화요일 Jul 25. 2023

소리 없는 눈물

<중년의 진로수업>

꽃다운 나이,

이제 막 꿈을 이룬 젊은 교사가 떠났습니다.

그런데 이런 아픔과 고통은 학교에서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교사들은 너도나도 참담한 심정을 나누며 우울함에 빠져있습니다. 이제 막 방학이고 이제 곧 한 학기가 끝나는 즈음, 연일 보도 되는 슬픈 소식에 교사들은 올 것이 왔고 이렇게 세상에 나오지 않은 동료교사 혹은 본인의 비슷한 경험담을 나누기도 합니다.


막무가내로 덤벼드는 학부모와 아이들, 무자비한 학교관리자와 교육청뿐 아니라 오랫동안 키워낸 사회적 분위기와 관행이 더 무섭습니다. 그래서 더 변하기 힘든 걸 알죠. 그래서 더 참담합니다.


이제 막 학교에 다니기 시작한 초1 아이들, 이제 막 교직에서 아이들과 알콩달콩 재밌는 활동을 하며 즐거워야 교사가 이 엄청난 일에 중심에 있습니다. 부모와 학교사이에 끼어 고래싸움에 새우처럼 옴짝달싹할 수 없이 갇혀서 그 모든 민원과 탄원을 홀로 받아내야 하지 않았을까? 코너에 몰려 도움받아야 할 곳이 어딘지 모른 채 사랑하는 제자들이 있는, 교직의 꿈을 키웠던 학교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 어린 교사의 메시지를 생각하며 밤잠을 설쳤습니다.


몇몇 학부모들은 학교라는 공동체의 특성을 간과한 채 자기 자식만의 특별함을 강조하며 교사에게 각자의 자녀에게만 특별한 관심과 보살핌을 원합니다. 일방적인 요구와 몰상식한 학부모의 민원을 처리하는 일이 교사업무중요한 일부분이 되어버린 지 오래입니다. 


 그런데 교사는 이 특별한 아이들을 떠받드는 시녀인가요? 교사는 어떤 힘을 발휘해 이런 민원을 처리해야 할까요? 감정의 쓰레기통이 되어 온갖 욕설과 한숨, 불안과 걱정을 다 받아내는 일을 교사 한 명이 맨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일에 수천 명의 교사가 거리로 뛰어나온 것은 이런 고통이 극단적인 선택을 한 일부교사만의 일이 아니란 걸 알기 때문입니다.


압니다. 모든 아이들이, 모든 부모들이 그런 건 아니라는 걸. 대부분의 아이들이 착하고 너무 이쁩니다. 모두 귀한 자식들, 특별한 아이들입니다. 다만 그 귀한 아이들이 서로 배려하지는 않고 배려받으려고만 하는 것이 문제인 거죠. 교사는 그 중심에서 아이들에게 그 어떤 감정표현도 신체적 접촉도 교육적 훈육도 하기도 어렵습니다. 단 하나의 단어, 단 하나의 몸짓 하나로도 아동폭력의 당사자로 내몰리기 때문입니다.


학교에서는 이런 일이 발생하면 무조건 담임선에서 처리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학폭이나 선도 등으로 넘어가기 전에 담임교사가 홀로 이 모든 귀한 자식들의 싸움에 유일한 민원창구가 되곤 합니다. 담임을 거치지 않고 교육청이나 학교로 민원을 받는 불명예를 누구도 원하지 않기 때문이죠. 


소신 있게 아이들을 가르칠 수도 없고 잘못한 일을 따끔하게 훈육하고 지도할 수도 없고 그 어떠한 권한도 보호제도도 없는 이 상황에서 교사는 무기력함을 느낍니다.



 행복한 교사가 있어야 행복한 아이도 학교도 교육도 가능합니다. 선생님에게 힘을 주시고 응원해 주세요. 그리고 고인이 된 선생님께도 심심한 애도를 표합니다. 부디 그곳에서는 편안하시길...


매거진의 이전글 Chat GPT, 넌 뭐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