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플레이어블 Jun 07. 2017

PX(Player experience) 측정법

플레이어 경험 분석을 위한 과학적 분석법

PX 측정, 막연하거나 추상적이지 않다


게임 싱킹은 순수한  게임 개발 영역 이외에도 적극적 사용자 참여 행동과 동기 유발이 필요한 혁신 상황에 폭넓게 기여하는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다. 게임 디자이너의 생각법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결과물에는 좋은 게임, 혹은 잘 디자인된 게임이라는 평판이 부여되는데, 잘 디자인된 게임(well-designed game)은 공통적으로 재미있고 즐거운 경험 생성을 동력으로 플레이어의 애착과 동기를 강화할 뿐 아니라, 반복적 놀이 속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는 정교한 상호작용 경험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플레이어의 지속적 참여와 관여 유지를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혁신을 위한 융합 디자인 방법론으로서 게임 싱킹은 가설과 추론 기반의 과감한 설계, 프로토타입 제작, 실제 사용 측정과 수정을 빠르게 반복하는 순환 디자인 프로세스를 따르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과정에서 적용된 디자인의 PX 적합성은 초기 단계 추론 기반 설계와 달리,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따라서 PX 측정을 인문학적 해석이나 미학 비평과 구분하여 운용할 수 있는 디자이너의 측정 과학에 관한 지식이 요구된다.


PX  측정에 활용되는 대표적 방법론들


PX 측정법은 크게 생리/생체학(Physiological methods), 행동학(Behavioral method), 심리학 (Psychological mothod) 측면의 3가지 방법론을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다.


PX 측정은
생리/생체학, 행동학, 심리학 측면의
3가지 방법론을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다.



①생리/생체학적 방법:

놀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플레이어의 변화를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EEG), 피부(Electro-dermal activity/ EDA), 심박(Hear rate/HR), 근육 자극 (Electro-myography/ EMG) 측정을 통해 실험한다. 기술적으로 실제 생체 자극 수집을 위한 다양한 센서 기술과 실험 장비를 필요로 한다.


② 행동학적 방법:

플레이어가 발생시킨 실제 놀이 데이터 로그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행동학적 측정은 게임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플레이어의 모든 액션과 리액션 로그를 수집, 저장, 분석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술 발전과 맞물려 게임 싱킹을 위한 실측 데이터로서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데이터 접근권이 제한적인 학계보다 플레이 데이터를 직접 소유하고 분석 권한이 있는 기업이 유리하게 사용 가능한 방법론으로 볼 수 있다. 시선 추적, 플레이 로그,  플레이어 반응 속도, 플레이 비디오 분석 기법 등이 측정 목표와 전략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된다.


③ 심리학적 방법:

기계적 수집 방식을 적용하여 객관적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어떤 행동이 발생하는가, 즉 ‘무엇(what)’을 파악하려는 생리/생체학적, 행동학적 접근과 달리 사용자의 주관적 해석이 반영된 데이터를 포함함으로써 그러한 행동이 ‘왜(Why)’ 발생하게 되는지를 해명하려 한다. 플레이 패턴 분석 결과를 활용한 페르소나/플레이어 모델링, 설문 조사, 심층 인터뷰, 구두 보고, 녹화된 플레이 비디오와 측정 로그를 함께 분석하며 생각 말하기 등 전통적인 UX 연구 기법에서 차용한 질적, 양적 측정법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Reference

Garrett, J. J. (2003).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New Riders.

Järvinen, A. (2008). Games without frontiers: Theories and methods for game studies and design. Tampere University Press. (pp.32-44)

Ferrera, J. (2012). Playful Design: Creating Game Experiences in Everyday Interfaces. Rosenfeld Media. (pp.27 -33)

Lazzaro, N. (2008). The 4 Fun Keys. In Game usability. (pp. 317-343). MORGAN KAUFMAN Publisher.

Lazzaro, N. (2009). Why we play: affect and the fun of games. Human-computer interaction: Designing for diverse users and domains, 155. CRC Press.

Morville, P. (2004). User experience honeycomb. Semantic Studio web log post. retrieved from http://semanticstudios.com/user_experience_design

Nacke, L., Drachen, A., Kuikkaniemi, K., Niesenhaus, J., Korhonen, H. J., Hoogen, W. M., ... & De Kort, Y. A. (2009). Playability and player experience research. In Proceedings of DiGRA 2009: Breaking New Ground: Innovation in Games, Play, Practice and Theory. DiGRA.

Nacke, L. E., & Lindley, C. A. (2010). Affective ludology, flow and immersion in a first-person shooter: Measurement of player experience. arXiv preprint arXiv:1004.0248.

Rui, P.(2014) It is all about the experience! Player experience in game. Microsoft Game Dev Camp 2014. Retrieved from  design http://bit.ly/2qMduWo

Sánchez, J., Zea, N., & Gutiérrez, F. (2009). Playability: How to identify the player experience in a video game. Human-Computer Interaction–INTERACT 2009. 356-359.

Dörner, R., Göbel, S., Effelsberg, W., & Wiemeyer, J. (Eds.). (2016). Serious Games: Foundations, Concepts and Practice. Springer. 243-271.

매거진의 이전글 Player experience framework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