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봄봄 Jan 18. 2024

철없는 딸이 가정을 이루다


외동으로 자란 나는 형제자매가 북적이는 집들이 늘 부러웠다. 10대로 넘어가면서부터 부모님과 함께 하는 외출과 여행이 지루하게 느껴졌고, 나와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어른 두 명 사이에 덩그러니 놓인 어색한 기분이 싫었다. 하루 대부분을 친구들과 보내도 내 또래의 피붙이가 없다는 공허함을 채울 수는 없었다. 가져본 적 없는 형제에 대한 아쉬움은 자녀를 많이 갖고 싶다는 바람으로 변형되어,  중학교 때부터 나의 소망은 ‘대학교를 졸업하자마자(혹은 다니는 중간에) 결혼해서 아이를 셋 이상 낳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람의 인연은 혼자만의 노력으로 어찌해 볼 수 없는 것,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한참 한 후에도 결혼의 기회는 좀처럼 찾아오지 않았다. 아홉수라는 스물아홉이 되면서부터 극도로 초조해지기 시작한 나는 결혼할 나이의 마지노선이라고 여겨온 서른 살이 되자 우울감에 빠져 ‘남들 다 하는 결혼을 나만 못한다’며 스스로를 정신적으로 학대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다행히 더 큰 위기가 오기 전 지금의 남편이 한없이 수렁 속으로 빠져들던 나를 건져내 환호와 박수로 가득한 결혼식장으로 옮겨 놓았다. (게다가 남편의 외모는 당시 내가 이상형으로 생각한 배우와 흡사했다, 내 눈에는!)




22세에 결혼하길 바랐던 소녀가 31세가 되어 면사포를 쓰던 날, 늦었지만 바라던 바를 이뤘다는 감격과 이상형과 결혼한다는 뿌듯함, 결혼 안 하면 큰일 나는 줄 알았던 나이인 30세를 넘긴 지 얼마 안 되었다는 안도감까지, 온갖 긍정적 기분에 휩싸여 결혼식 내내 광대가 아프도록 싱글벙글 웃었다. 하나뿐인 딸을 둥지에서 떠나보내는 부모님의 심정은 채 헤아릴 사이도 없이 동화 속 해피엔딩을 장식하는 기분에 취해 웃고 또 웃었다.


그렇게 ‘두 사람은 그 후로도 오래도록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를 만끽하던 어느 날, 퇴근해 집으로 돌아오는 지하철에서 우연히 아빠를 만났다. 말주변 없는 우리네 아버지들이 흔히 그러하듯 별 알맹이 없이 의례적인 안부를 묻는 대화가 간간히 오가다 잠시 침묵이 흐른 후, 아빠가 갑자기 만면에 미소를 띠고 큰 소리로 얘기하셨다.


“아빠는 행복해.”


“응?”

“너도 결혼해서 잘 살고, 사위도 너무 좋고."


"우리도 잘 살아~”

갑자기 잘 살고 있다고 강조하는 아빠의 말이 어색해서 고개를 갸웃거리는데, 아빠가 더욱 겸연쩍게 한 마디를 덧붙였다.


“정말이야. 엄마아빠는 지금 아주 행복해.”


아빠의 말끝에 물기가 배어 있었다. 평소와 달리 격앙된 아빠의 목소리, 촉촉함이 스쳐 지나가는 아빠의 눈가를 보자 내 마음에도 갑자기 큰 물결이 일렁거렸다. 30년 넘게 고이고이 키운 하나뿐인 딸을 품에서 보내고 이제 두 분만의 삶을 꾸려나가는 일은 실로 큰 변화고 충격이다. 딸의 새로운 출발을 온 힘을 다해 응원하는 마음 한 편에는 얼마나 큰 쓸쓸함이 도사리고 있겠는가. 사랑하는 사람과 가정을 만들어 들떠 있는 딸을 지켜보는 뿌듯한 마음과 잘 살기를 바라는 만큼 또 걱정되는 마음, 아빠의 행복하다는 말에는 그 수많은 감정들이 켜켜이 배어있었다.


결혼 직전 철없게도 “나 시집가면 엄마아빠는 집 넓게 쓸 수 있어 좋겠다”며 웃던 나였다. 나이만 들었지 정신적으로는 전혀 성숙하지 못한 채 한 가정을 꾸린 나는, 어느새 내가 떠난 후 부모님의 보금자리에 감돌 텅 빈 공기를 가늠할 수 있는 어른이 되었다. 결혼을 하고 나서야 부모님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헤아릴 수 있게 된 셈이다. 그리고 부모님을 이해하는 단계를 넘어, 부모로서 사는 경험을 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 그토록 바라왔던 아이를 많이 낳아 키우는 삶을 살기 위한 준비를.



('우리의 찬란한 황홀육아'는 다음 주에 계속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