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는 지배자의 농담거리다, 소설 얘기가 아니다
‘1984’는 미래의 디스토피아 사회를 배경으로 한 조지 오웰의 걸작이다. 빅 브라더가 모든 것을 감시하는 세계에서, 프라이버시라는 개념은 사라지고 오직 공포와 억압만이 남아 있다.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이 무시무시한 체제에 반기를 들지만, 그의 반란은 결국 철저히 짓밟히고 만다.
책을 읽다 보면, 현재의 사회와 오버랩되는 부분이 많아 소름이 돋기도 한다.
과연 우리는 얼마나 자유로운가?
사실 정부 기관이 마음만 먹으면 여러분이 그날(?) 은밀하게 뭘 했는지 인터넷 및 AI 기업들과 함께 찬찬히 알아볼 수도 있다. 여러분이 열심히 자기 정보를 인터넷망에 남기고 있기에 능력은 충분하다. 선거에 도움이 안되서 '안할' 뿐이지 못하는 건 아니다.
개인정보 수집을 못할 이유가 없는 나라에선 그 일이 실제로 벌어지고 있다.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큰 어떤 나라가 그렇다. 개인정보와 범죄 이력 및 신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코드나 얼굴 등 생체 데이터가 일상에서 쓰이고 있다. 이 데이터는 대놓고 정부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데, 놀랍게도 큰 반발이 없다.
딴 세상 얘기가 아니다. 이대로 가면 다른 나라에서도 벌어질 일이다.
1984에서는 개인을 국가 차원에서 감시하지만 현대 민주사회에선 기업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개인정보를 돈으로 만들 수 있는 곳이니 말이다.
이미 우리는 짧은 글, 영상 하나도 소화하기 힘든 지능이 되어가고 있기에, 편리하다고 하면 자기 개인정보를 거의 무심코 제공한다. 모종의 대가까지 준다고 하면 누구든 마음이 흔들린다.
챗지피티를 창업한 한 똑똑한 청년기업가는 조용히 개인 생체정보인 홍채 데이터를 월드코인이란 암호화폐를 대가로 주며 모으고 있다. 한국의 한 신문 기사에서 생체정보를 등록한 한 사람의 말이 인상 깊다.
"이미 지문도 여러 금융사에 등록돼 있는데 홍채라고 별다를 게 있을까 싶다."
썰이 길었다. 소설 얘기로 돌아간다.
소설의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우리 시대로 치면 평범한 직장인이다. 단지 그의 직장이 '진실부'라는 점, 그의 일이 과거의 기록을 현재의 '진실'에 맞게 수정하는 것이라는 점만 다를 뿐이다. 윈스턴의 반란은 그가 일기를 쓰기 시작하면서부터인데, 이는 마치 현대인들이 SNS에 자신의 진짜 생각을 올리는 것과 비슷하지 않은가? 물론 그 결과는 훨씬 더 처참하지만 말이다.
오웰이 그려낸 오세아니아 사회는 끔찍하면서도 어딘가 익숙하다. '뉴스피크'라는 언어는 우리 시대의 정치적 올바름과 맥을 같이 하지 않는가? '사상경찰'은 현대의 인터넷 여론재판과 닮아있다. 그리고 '텔레스크린'... 아, 우리의 스마트폰이 이미 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작품의 가장 충격적인 부분은 아마도 '방 101호'일 것이다. 각자의 최악의 공포를 이용해 인간의 정신을 완전히 꺾어버리는 그곳은, 우리 사회의 어두운 면을 상징하고 있는 듯하다. 우리 모두에게는 자신만의 '방 101호'가 있는 것 아닐까?
'1984'는 우리에게 경고한다. 진실과 자유, 그리고 사랑의 가치에 대해서. 하지만 동시에 이 작품은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과연 우리는 윈스턴처럼 용기 있게 저항할 수 있을까? 아니면 그저 순응하며 살아갈 것인가?
개인적으로, 이 소설을 읽을 때마다 나는 내 주변을 둘러보게 된다. 혹시 누군가가 나를 지켜보고 있지는 않은지. 그리고 동시에, 내가 얼마나 자유로운지, 혹은 자유롭지 않은지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적어도 우리는 아직 진짜 초콜릿을 먹을 수 있으니, 그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할 일인가?
이 책은 결국 개인의 자유가 얼마나 쉽게 짓밟힐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리고 그 과정은 전혀 아름답지 않다.
‘1984’는 가상의 전체주의 국가 오세아니아를 배경으로 한다. 이 나라를 지배하는 당은 빅 브라더라는 상징적인 인물을 통해 모든 것을 통제한다.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당의 일원으로, 역사 기록을 조작하는 일을 한다. 그러나 그는 점점 현재의 체제에 회의를 품고 반란을 꿈꾸게 된다.
윈스턴은 당의 감시망을 피해 비밀스럽게 반란의 씨앗을 뿌리기 시작한다. 그는 줄리아라는 여성을 만나 사랑에 빠지고, 그녀와 함께 당의 규칙을 어기며 은밀한 만남을 갖는다. 두 사람은 비밀 장소에서 만나면서 당에 대한 반란을 계획하지만, 결국 당의 심문관 오브라이언에게 붙잡히고 만다.
심문과 고문 끝에, 윈스턴은 결국 당에 굴복하고 세뇌당한다. 그는 사랑하는 줄리아를 배신하고, 오직 빅 브라더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게 된다. 소설의 결말에서 윈스턴은 완전히 세뇌된 상태로, 빅 브라더를 사랑하게 된다.
• 윈스턴 스미스: 당의 일원으로, 역사 기록을 조작하는 일을 하지만 점차 체제에 회의를 품고 반란을 꿈꾸는 인물이다.
• 줄리아: 윈스턴의 연인으로, 그녀와 함께 당의 규칙을 어기며 비밀스럽게 반란을 계획한다.
• 오브라이언: 당의 고위 심문관으로, 윈스턴과 줄리아를 체포하고 그들을 고문하며 세뇌시키는 인물이다.
• 빅 브라더: 오세아니아를 지배하는 상징적인 인물로, 모든 것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 전체주의와 독재: 소설은 전체주의 체제의 공포와 억압을 생생하게 그려내며, 개인의 자유가 얼마나 쉽게 억압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 감시와 프라이버시: 빅 브라더의 철저한 감시 아래, 프라이버시는 사라지고 사람들은 항상 감시당하는 두려움에 산다.
• 언어와 사상 통제: 뉴스피크라는 새로운 언어를 통해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통제하려는 당의 시도를 묘사한다.
• 사랑과 배신: 윈스턴과 줄리아의 사랑은 당의 억압에 저항하는 상징이지만, 결국 배신으로 끝난다.
‘1984’는 1940년대 중반에 쓰여졌으며,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오웰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특히 스탈린주의와 나치즘 같은 전체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이 강하게 나타나 있다. 오웰은 이러한 체제가 개인의 자유와 인간성을 얼마나 쉽게 억압할 수 있는지를 경고하고자 했다.
이 소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경고를 담고 있다. 기술의 발달로 인한 감시 사회의 등장과 정보 통제는 현대 사회에서도 큰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오웰의 날카로운 통찰력은 우리가 자유를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