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더굿북 Aug 23. 2017

01. 페미니즘은 실로 남성에게도 이롭다.

<그건 혐오예요>

섹스는 결혼한 사람이랑, 사랑하는 사람하고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여자도 있지만 그와 무관하게 자유롭게 섹스를 즐기고 싶은 여자도 있다. 결혼하고 싶은 여자도 있고 결혼하기 싫은 여자도 있다. 아이는 원하지만 결혼은 원치 않는 여자도 있고 결혼은 원해도 아이 없이 살고 싶은 여자도 있다. 이렇듯 세상에는 무수히 다양한 여자가 있으며 그녀들은 같고도 다른 다양한 욕망을 갖고 있다. 지배 질서에 따르지 않는 삶도, 제도에 구속되지 않는 삶도, 주류에 끼여 들어가지 않는 삶도 삶인 것이다. 주체적으로 살고자 하는 욕구는 성별에 따라 다른 것이 아니다. 오롯이 자신의 선택이며 개개인의 권리이다. 어느 누구도 한 ‘개인’이 선택한 삶을, 그 삶의 방식을 비난하고 모욕할 자격은 없는 것이다.

그럼 이런 가부장제가 남자에게 마냥 좋기만 하느냐. 그렇지도 않아요. 남자도 자유롭지 않아요. 여자들이 여자다움이라는 자기 검열에 시달린다면 남자 역시 남자다움이라는 것, 남자의 위신을, 가부장의 권위를 지켜야 한다는 끊임없는 강박에 시달리죠. 남자들의 세계에서는 남성답지 못한 남성을 왕따시켜요. 예를 들어 군대 안 갔다 온 남자나 동성애자들이 표적이 되지요. 결국 남자나 여자나 가부장제라는 구조의 피해자라는 점에선 똑같아요. 그렇다면 자꾸 남성을 적으로 배격하고 제외하는 젠더 운동 구조도 바꿔야 해요.
여성 혐오에 반대하는 분들의 싸움이 남성과의 싸움으로 변질되는 걸 경계해야 하고요. 남성들 역시 페미니즘이 여성만의 운동이 아니라 남성 자신과 여성을 해방시키는 운동이라는 것을 스스로 인식해야 하고 페미니스트가 되어 여성들과 연대해야 한다고 봐요. 가부장제에 대한 투쟁은 남녀 차이가 없어요. 여성 혐오에 반대하는 여성과 남성이 성차별주의자와 남성우월주의자에 맞서 함께 대항해야 하지 않을까요?


‘여성 혐오’는 남성에게는 여성 멸시를, 여성에게는 자기혐오를 주입시킨다. 가부장제의 일차적인 피해자는 여성이다. 그러나 기득권을 쥐고 있는 남성 또한 자신이 가해자이자 피해자임을 인식해야 한다. 차별과 배제로 억압당하는 여성과, 불안과 강박 탓에 분열하는 남성은 똑같이 희생자다. 남자는 여자가 아니라서 페미니스트가 되지 못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페미니즘은 여성‘만’을 위한 학문도 ‘여성성’을 위한 운동도 아니다. 페미니즘은 여성과 남성이라는 성별을 넘어선 인간다움이 무엇인가에 대한 자기 ‘인식’이다. 성평등이라는 과제는 결코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다. 무엇보다 성평등은 여성뿐만이 아니라 남성에게도 진실로 가장 이롭다.

무엇보다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려면 일단 두려움을 인정하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을 만한 시간과 여유가 필요해요. 남자나 여자나 서로 이야기를 들어 보고 서로의 차이를 인정할 수 있을 때까지 생각하면서 기다리는 여유가 있어야 되는데요. 그런데 지금 한국 사회는 여유는커녕 생각 자체를 하기 힘들 정도로 속도에 미쳐 돌아가고 있다는 거. 이런 사회인 게 더 큰 위기예요. 아무튼 이 위기가 어떻게 해결되는가에 따라 여성 혐오 문제도 달라질 수 있다고 봐요. 그런데 이 과정은 정치로는 이루어 낼 수 없어요. 바로 문화로 교육으로 운동으로 바꿔 내야 해요.

지금 한국 사회에서는 오랫동안 당연시했던 봉건적인 고정관념이 빠르게 깨져 가고 있다. 그런 사회 현실에 비해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는 여전히 강고하다는 것이 문제다. 이런 차이로 사람들은 방향 감각을 잃어 어쩔 줄 몰라 하면서 공포에 사로잡히고 있다. 그러나 위기는 동시에 변화의 계기도 된다. 바야흐로 변화를 이끌어 내야 할 때가 왔다.

매거진의 이전글 00. <창업가의 일> 연재 예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