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부크럼 May 26. 2023

『잔잔하게 그러나 단단하게』 정영욱 인터뷰 下

우리가 늘 응원할 수 있는 사람들이기를 바라며.

다 말하지 않아도 내 당신의 힘듦을 안다그렇게 믿고 꾸준히 나아만 가셔라.

공감과 위로를 들려주는 작가 정영욱의 언어를 만나보자.




Q8. <잘했고 잘하고 있고 잘 될 것이다>, <나를 사랑하는 연습>, <참 애썼다 그것으로 되었다> 등으로 많은 독자에게 사랑받고 있으신데요. 작가님 글의 어느 부분이 독자들을 책으로 이끌었다고 생각하시나요?  

   

A8.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해 봤을 생각과, 그 생각을 이루는 보통의 언어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뭔가 다른…? 저도 그게 뭔지는 모르겠습니다. 독자님들이 찾아내 주셨어요!     



Q9. 작가님의 도서가 한 권씩 출간될 때마다 이렇게 많은 글을 언제 다 쓰시나 싶어요. 이렇게 많을 글을 쓰려면 작가님만의 방식이 있으실 것 같은데요. 작가님의 작업 스타일은 어떠신가요?

 

A9. 늘 생각을 하고 삽니다. 아니 생각을 기록하고 삽니다. 떠오른 상념들은 늘 핸드폰으로 메모를 해둡니다. 메모하는 습관이 익숙해지면, 반년만 지나도 대략 400개…? 정도의 글감이 쌓입니다. 그럼 이제 그것을 조각합니다. 글쓰기의 작업은 생각과 메모 그리고 다듬기 세 가지로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글을 빨리 쓴다(글 공장)’라는 말을 작가들 사이에서도 많이 들어왔는데요, 그건 제가 타고난 것이 아니라 쓰는 과정과 습관에 있는 것 같습니다. <글을 쓴다>는 행위를 한다면, 엉덩이를 의자에 붙여놓고 기록된 아이디어를 조각조각 다듬어야지, 필요한 글감을 위한 사유를 하고 있다면 시간이 오래 걸려요. 영감은 시간을 낸다고 와주지 않습니다. 언제 올지 모르는 아이디어는 운 좋게 왔을 때 잡아야 합니다! 앉아서 시간을 갈아 넣을 때는, 시간을 쓴 만큼 결과가 나오는 것들만 하기!  


   

Q10. 글은 내 생각을 남에게 공유하는 수단이잖아요. 그중에서도 에세이는 그런 성격의 글인데, 소설이나 시가 아닌 에세이를 쓰시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A10. 아무래도 수필 쪽이 접근하기 가장 쉽기에 시작했습니다. 또 시처럼 너무 함축되어 있는 것이나 소설처럼 깊은 세계관을 필요하는 것은 저에게 흥미 밖의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소설이나 시도 도전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합니다.     



Q11. 글은 음악과도 참 잘 어우러진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책을 작업하며 많이 들었던 음악과 어떤 음악이 이 책에 잘 어울리는지 추천 부탁드릴게요.     


A11. 저의 유튜브 ‘정영욱 작가’ 채널에 가시면 플레이리스트가 있습니다. 주로 작업할 때 틀어놓는 곡들이니 한 번 확인해 보세요!     

왜? 잘 어울리는지에 대한 이유는… 도통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저의 신간과 아주 잘 어울릴 것입니다. (실제로 그런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Q12. 작가님의 글 중 위로와 공감을 주는 것도 좋지만, 사랑을 소재로 한 글도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현실적인 부분에서 겪는 그 과정들이 눈앞에 펼쳐지는 기분이 들어서 더 그런 듯하네요. 작가님에게 ‘사랑’이란 무엇인가요?


A12. 사랑은 아직 모르겠습니다. (정의할 수 없을 땐 대충 넘어가기.)     



Q13. 책의 마지막 글, ‘에필로그’에서 작가님은 이야기의 끝을 대체로 슬퍼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요, 특별히 그렇게 생각하시는 이유가 있을까요?    

 

A13. 정말 끝이라 인정했을 때 성장했던 나 자신이었음을 되돌아보며, 이젠 그럴 나를 알기에 구태여 슬퍼하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라는 설명을 짧게 ‘대체로 슬퍼하지 않는다’라고 표현했습니다.     



Q14. 마무리하며, <잔잔하게 그러나 단단하게>로 마음을 다잡을 독자분들에게 사랑을 담은 인사 부탁드립니다.     


A14. 바라는 건 책을 덮는 순간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될 수 있는 책이기를 바랍니다. 무언가 달라지거나 떨쳐냈거나 새로움을 다짐하게 되는 그런 시작점 말이에요. 이 과정에는 사실 책보다 읽는 이의 역할이 더 크다는 걸 알고 계신가요? 제 책을 그런 책으로 만들어주신 독자님 고맙습니다. 평생 얼굴 한 번 보지 못하고 살더라도, 우리가 늘 응원할 수 있는 사람들이기를 바라며.











그러니 괜찮다너무 오래 아프지만 말아라오래 무너지지만 말고다 과정일 것이라 믿고.


삶을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현실 앞에 슬퍼 주저앉지 말고

다시 힘주어 일어서기를 바라며, 인터뷰를 마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잔잔하게 그러나 단단하게』 정영욱 인터뷰 上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