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키팅 선생은 말합니다. 의술, 법률, 사업, 기술, 이 모두 고귀한 일이고 생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이지만, 시, 아름다움, 낭만, 사랑, 이런 것이야말로 우리가 살아가는 목적이라고. _5쪽, 머리말
올해 들어 시집을 세 권이나 읽게 됐다. 대략 평생 읽은 시집의 30%를 반년 동안 읽은 것이다. 두둥. 시는 항상 어려워서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분야다. 단편 소설도 주제와 상징 찾기가 어려워서 헤매는데 그보다 짧은 시는 어련하랴... 박준의 시집을 읽고 뒤이어 허수경의 시를 읽고나니 웬걸, 너무 어려웠다. 책장에 쌓아둔 시집이 많은데 이렇게 가다가는 죽기 전까지 다 읽지 못할 판이다.
이런 시를 어떻게든 읽고 느껴보고 싶어서 감동적인(?) 시 강의로 유명한 책을 드디어 폈다. 사실 시 강의에 긍정적이지 않다. 우리가 수능 준비할 때 배웠던 주제, 심상과 다를 게 있을까? 그래봤자 이전의 해석과 조금 다른 해석을 내놓고 '시는 자기 마음으로 느끼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정답은 없습니다'라고 하겠지.
책은 시를 해석하고 가르치려 한다기보다는, 글줄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 같다. 비록 저자의 생각이 반영된 내용들이지만 시의 글줄과 단어가 이전과 확연히 다르게 다가왔다.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윤동주의 '별 헤는 밤'이다. 무한도전에서 시를 주제로 부른 노래를 떠올리며 그저 낭만적이라고만 생각했다. 하지만 시는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마디씩 불러 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을 같이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패, 경, 옥,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아기 어머니 된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 봅니다.
_ 윤동주, <별 헤는 밤> 중에서
'어머니'라는 단어를 말한 이후로 어조가 바뀌고 수다스럽다고 느껴질 정도로 말이 많아진다는 생각은 전혀 하지 못했다. 슬픔과 격정이 이토록 강하게 다가오는 시였구나, 새삼 깨닫는다. 학교에서는 일제 치하의 슬픔, 타향에서의 고독, 순수의 상징으로 배웠던 '별 헤는 밤'이라는 시는, 새로운 해석을 읽은 후에 완전히 다르게 읽힌다. 책은 이처럼 여러모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게 만드는 힘을 길러준다.
무엇보다도 여태까지 구절로만 알거나 몰랐던 명시를 접할 수 있어서 좋다. 크게 난해하지도 않고 꽤나 유명한 시들이어서 책에 빠져들기 쉽다.
(시 해석에 대해) 시비가 해소되었는가? 아니면 거꾸로 이러한 해석에 도전과 반발심이 생기지 아니하는가? 그 어느 편이든 적어도 문학에 자명한 것이 없다는 것만큼은 확실히 깨닫게 되었는가? 상식이 뒤집히고 혼동이 되며, 그리하여 평면적으로 보였던 시가 3D 영화처럼 입체적으로 당신 앞에 다가서지는 아니하는가?
그렇다면 당신도 이미 사이와 차이를 따라 떠나는 이 즐거운 여행에 동행을 시작한 것이다. 이제 다시 시가 반가운 얼굴로 성큼 다가오기 시작할 것인즉, 그러니 그만 이 책을 덮고 부디 시집을 펼치시라. 시를 잊은 그대여. _298, 299쪽
책의 가장 마지막 문단처럼, 저자의 해석에 도전과 반발심을 느낀다면 그거 하나로도 충분한 것 같다. 각자마다 문학을 느끼는 감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글줄과 여백에서 무엇을 느껴보려고 노력하기, 그게 바로 시 읽기의 즐거움이 아닐까, 하고 크- 허세에 취해본다. 다음 읽을 시집은 윤동주로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