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파리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보라 Sep 28. 2021

보편의 정서

지난 파리일기 


저번 주엔 한국에서 알던 분을 파리에서 만났다.



내가 참 좋아하는 독서모임에서 만난 분인데, 파리에 오신다고 하길래 냅다 먼저 연락을 했고 저녁을 함께 먹기로 했다. 이 독서모임으로 말할 것 같으면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책 말고 다른 이야기를 잔뜩 한 뒤에 책 얘기도 조금 하는 모임이다. 나이는 몇 인지, 학교는 어딜 나왔는지, 애인은 있는지 등 신상 같은 건 절대 묻지 않는다. 앉아서 실컷 얘기를 한 후에 쿨하게 헤어져서 한 달 동안 연락 한 번 주고 받지 않다가 다음 달 모일 날짜가 되어서야 우리 어디서 만나나요? 라고 누군가 먼저 말을 꺼내고 또 만나 실컷 얘기만 하다 또 헤어지는 것이다. 이 모임에 반해버렸다. 너무 쿨하다.



아무튼 이 분과 만나서도 여러 이야기를 나누다가 글쓰기에 대해 말하기 시작했다. 내가 쓰는 글들은 대부분 딱딱하고 정보 전달에 지나지 않는 드라이 한 글이지만 아무튼 나도 일기라는 걸 쓰기 때문에 공감하는 바가 컸다.



드라마가 성공하고 망하고는 극 중 주인공이 결정한다고 했다. 당연한 얘기지만 자세히는 뭔 말이냐면, 주인공은 돈을 훔치든 사람을 죽이든 뭔 일이든 해도 관계없지만 시청자의 공감을 잃는 순간 끝이라는 거다. 따라서 우리가 보편적으로 '얄밉다고' 여기는 일들, 주는 거 없이 싫은 행동들, 바로 그런 것들만 안 하면 주인공은 시청자의 마음에 들 수 있다. 또 한 가지는 작가들이 주인공을 그릴 때 보통 자신을 투영해 묘사한다는  것이었다. 아닌 척 하지만 쓰고 보면 결국엔 다 자기 얘기라는 것. 그게 쓰기 가장 쉽고 또 가장 잘 아는 이야기니까. 이야기들을 지배하는 보편적인 정서가 있는데 그걸 발견하는 게 글쓰기가 우리에게 해줄 수 있는 일이란 얘기도 했다.



그 얘길 들으니 보잘것 없지만 어쨌든 글이기는 한 내 일기를 생각하게 됐다. 나는 주로 나에 대해서 쓰는데 내가 과연 일기를 솔직하게 쓰는가에 대해 생각해봤다. 아니다. 나는 일기를 통해 나를 바라보는 보다 객관적인 혹은 객관적이었으면 하는 다른 시선을 창조해낼 뿐 영원히 그 객관에는 도달할 수 없으리라는 걸 안다. 그래도 나는 쓴다. 왜냐면 글쓰기는 내게 일종의 해방감을 선사하기 때문이다. 나를 하루종일 짓누르던 일도 이 공백에 퍼뜨려놓고 나면 별 게 아닌 일이 되니까. 그 객관을 가장한 객관으로 나에게서 거리를 좀 두면 나는 조금 더 편안해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런 순간들의 합이 내 보편적인 정서를 구성하는 것이겠다. 내가 일기장을 찾는 순간들, 그럼에도 내가 솔직할 수 없는 순간들, 그래도 써내려가기로 마음 먹는 순간들, 그러면서도 끊임없이 내가 나로부터 나를 변호하게 되는 순간들에 내 보편의 정서가 녹아있다.



일기는 작년 여름부터 시작했다. 그리고 지금은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았다. 공백이 필요했고 공백을 채울 말들을 찾은 뒤에 나는 비로소 안정을 찾았다. 글이 사람에게 해주는 일들이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갈빗대 하나 꺼내는 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