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브라질소셜클럽 Jan 02. 2024

최악의 투자 수익률을 내는 사람들

마이너스의 손은 정해져 있다

한국은 아직 부동산 투자의 비중이 높지만, 미국에서는 학교 다니는 15살짜리부터 은퇴해서 플로리다에 사는 할머니까지 주식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Vanguard, Fidelity 등 증권사에서 남녀노소의 수익률을 장기적으로 분석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을 대상으로 한 많은 경제학 연구를 보면 연령대, 성별 중 누가 가장 수익률이 높고 누가 가장 낮은지를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누가 주식으로 돈을 벌고 누가 잃었을까요?




남성 vs 여성


흔히 TV나 유투브에 나오는 투자자, 단타전문가 등을 보면 남자가 많으니 남자들이 투자를 잘 할 것 같지만 실상은 정 반대였습니다. 미국 대표 증권사 Fidelity의 10년간 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0.4% 높은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UC 버클리가 90년대에 조사했을 때는 여성이 1%나 수익률이 더 높았습니다. 이 퍼센트는 근소해 보일지 모르지만 복리효과를 감안하면 결코 작은 값이 아닙니다.


한국 조사 결과는 어떨까요? NH증권 자료를 보면 여성의 수익률이 2% 가까이 높았습니다. 자본시장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2020년 동학개미의 시대에 1억 이상 투자한 여성은 24.2%의 높은 수익률을 거뒀지만 남성은 14.4%에 그쳤습니다. 3천만원 이하 계좌끼리 비교해도 여성은 4.6%, 남성은 -1.3%를 기록했습니다. 뜻밖이지 않나요? 일반적으로 미국에서나 한국에서나 여성에 비해서 남성의 투자에 대한 관심이 훨씬 높은데, 두 나라 모두에서 남성은 저조한 성적을 보였습니다. 무엇이 수익률의 차이를 만든 것일까요?



남성과 여성의 투자 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은 꽤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충분한 자료가 쌓인 지금 우리는 무엇이 수익률의 차이를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잦은 매매를 하는 일반 투자자들은 수수료와 부정확한 결정으로 인해 낮은 수익률을 보입니다. 거기에 더해서, 남성은 여성에 비해 지나친 자신감(overconfidence)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고, 근자감은 잦은 거래(overactivity)를 유발하여 낮은 수익률로 이어졌습니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45% 더 많은 거래를 하였고, 그로 인해 수익률을 2.65% 잃었습니다.


경제학에서는 이렇게 매일 주식장을 들여다보며 샀다 팔았다 하는 사람들을 노이즈 트레이더(noise trader)라고 부릅니다. 효율적 시장 가설에 따르면 하루에 그 주식에 반영되는 정보의 양이 많지 않고 아예 없을 수도 있는데, 그럼에도 투자자들은 부정확한 정보에 휘둘려 매 시간마다 사고 팔기를 반복한다는 것입니다. 증권사 자료에서도 개별 투자자의 거래량과 수익률이 거의 반비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잦은 거래가 적절한 투자 방법이 아닌 것은 여러 번 증명되었습니다. 그리고 같은 남성들 중에서도 더 많은 거래를 한 그룹이 있었으니...




연령별 수익률



여기 2020년, 2021년, 2022년 한국 주식 수익률 꼴찌를 달성한 부동의 그룹이 있습니다. 바로 20대 남성 투자자입니다. 2022년 상반기 코스피가 -10% 내렸을 때 20대 여성의 손실은 -13%에 그쳤지만 20대 남성은 -17.3%의 손실을 냈습니다. 반면 40대 이상 투자자들은 더 낮은 거래량으로 인해 -11%대로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대 남성은 해외 주식에서도 -30.1%라는 최악의 손실을 냈습니다. 거래를 거의 하지 않은 10대 어린이 계좌보다 더 못한 결과를 보인 것입니다.


미국 조사에서도 싱글 남성들은 다른 모든 그룹에 비해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싱글 남성은 싱글 여성에 비해 무려 67% 더 많은 거래량을 보였습니다. 싱글 남성들은 또한 가장 변동성이 크고 리스크(beta: 시장 대비 변동성)가 높은 주식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마디로 가즈아를 외치며 투자했다는 말입니다.




시사점


1. 잦은 거래는 수익률을 떨어뜨릴 뿐이다.


2. 내가 20-30대 남성이라면 필요 이상의 리스크에 베팅하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인용 논문:

Boys will be boys: gender, overconfidence, and common stock investment - Barber and Odean


매거진의 이전글 롤렉스를 사려고 했던 삼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