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rian Cheong Dec 16. 2015

여러분들의 세상은 살만 해지고 있나요?

내가 요즘 들어 자주 드는 비유 하나..


예전에는 지방에서 가장 노래 잘하고 춤 잘 추는 것도 충분히 의미가 있었다. 이 지방에서의 행사는 이 가수가 다 도맡아 뛰고 행사비도 벌 수 있었으니까. 이런 사람이 100개의 도시에 100명이 있었다고 치자. 계산하기 편하게 다들 1만큼 벌고 행복하게 살았다고 가정한다. 


그런데 TV가 보급되고 고속도로가 깔리고 KTX가  깔리고 나니 지방에서 조금 잘 하는 가수는 아무런 의미가 없어졌다. 서울에서 아니 한국에서 제일 잘하는 사람이 온 지방을 돌며 행사 기회를 다 가져가 버렸다. 예전에 100명이 각자 1만큼 나눠 가지던 100 만큼의 가치가 한국에서 가장 뛰어난 한 사람에게 90만큼 집중되어 버리고 나머지 99명이 10을 나눠가지는 세상이 되었다.


그리고 다시 인터넷이 보급되고 국가 간 연결도 더 편리해지다 보니 이제는 여러 나라를 합쳐 그 지역(예를 들어 아시아)에서 제일 잘하는 1명의 가수가 99900만큼의 가치를 가져가고 99999명이 100을 나눠먹을  수밖에 없는 세상이 되어버렸다. 


비유가 매우 극단적이긴 하지만 빅뱅(BigBang) 같은 아이돌 그룹이 이미 이런 예에 해당할 수 있고, 다양한 국가를 넘나들며 일할 수 있는 인재(금융, 디자인, 엔지니어링, 컨텐츠 등등 분야에서)도 이런 기회를 충분히 누릴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 것 같다. 이런 의미에서 ‘극단적으로 뛰어난’ 인재들에게는 앞으로 다가올 세상은 더욱  살만해질 것 같다. 


기업들에 있어서도 이런 기회는 다름 아닌데 '극단적으로 뛰어난 기업'이 엄청난 속도로 팽창해서 시장을 다  집어삼키는 일도 앞으로는 더 많아질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극단적으로 뛰어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기업들을 우리들은 스타트업이라 부른다.


언뜻 보면 희망과 기회가 넘치는 아름다운 세상처럼 보이는데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건  언어적, 지리적 장벽, 제도적 보호 그리고 교통의 비합리성 등에 기대야만 간신히 버틸 수 있는 상당수(혹은 대다수)의 사람들이다.


이게 내가 이해하고 있는 양극화 추세의 기본 로직이다. 경제학적으로 ‘효율’적인, 각종 차별이 사라진, 공평한 시대에 결국은 더 극단적으로 불평등한 결과를 맞이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 지금 이 시대의 아이러니 아닐까 싶다.


그럼 여기서 몇 가지 질문. 첫 번째, 여러분은 ‘극단적으로 뛰어난' 인재인가? 두 번째, 단순히 교육만으로 ‘극단적으로 뛰어난' 인재가 될 수 있는 건가? 세 번째, 그럼 이 세상은 더욱 살만해지고 있는 건가?


솔직히 고민 그리고 또 고민해도 나도 어떻게 이 문제를 받아들여야 할지(해결해야 할지) 모르겠다. 그래서 주변의 더 현명하신 분들과 고민을 나눠보고자 끄적여 본다. 내 로직이 크게 잘못되었다면 차라리 더 마음은 편할 것 같다. 

작가의 이전글 중국에서 인터넷 스타트업 설립하기(VIE 구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