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담화 Mar 20. 2024

당신이 에디터십을 장착해야 할 이유

최혜진, 에디토리얼 씽킹

편집이라는 단어가 나를 처음 홀렸던 것은… 지금은 잘 기억도 나지 않을 정도로 한참 전에 읽었던 한 권의 책을 통해서였다. 서가를 뒤져서 확인해 보니 무려 2000년 판이니 23년은 족히 묵었다. 그 책이 내 인생을 홀랑 뒤집어버린 단 한 권의 책이라고 말하기는 어렵겠지만, 내게 가장 중요한 키워드 중 하나를 떠안긴 책임에는 틀림없다. 그 키워드란 바로 편집이고, 문제의 책은 마쓰오카 세이고가 쓴 「知의 편집공학」이다. 이 책도 강력히 권하고 싶은 책 중 하나인데, 안타깝게도 개정판도 절판 상태인 듯하다.      


편집을 말할 때 내 머릿속에 떠오르는 또 하나의 개념이 존재한다. 분더카머wunderkammer. 

기억으로는 이 이름을 붙인 편집샵이나 소품샵이 꽤 있었던 것 같은데… 이 명칭은 근대 초기 유럽의 지배층과 학자들이 자신의 저택에 온갖 진귀한 사물들을 수집하여 진열했던 실내 공간에서 유래한다(「분더카머」, 윤경희 저_이 책도 소개할 기회가 있기를. 보석 같이 빛나는 문장들이 귀한 책이다). 분더카머야말로 편집자적 센스가 빛나는 공간이라 할 만하다. 그러나 사실, 분더카머까지 가지 않더라도, 직업적 에디터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매일같이 편집을 하며 살아간다. 

SNS의 그 작은 공간에 욱여넣을 이미지를 어떻게 촬영할지, 문장을 어느 정도의 길이로 자를지. 정기결제하는 이모티콘 플러스의 바다에서 내 기분을 딱 맞게 전달하는 이모지를 골라 무슨 말을 붙일지를(내 얘기다). 그러나 보기에 좋은 것을 넘어 ‘내가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지’의 명확한 목표의식이 있는지 없는지가, 즉 에디터쉽editorship의 존재 유무가 우리를 에디터와 에디터 아닌 자로 가른다.     


그러면 이런 의문이 남는다. 우리는 전문 에디터가 아닌데? 보는 사람에게 뭘 전달하고 싶다는 그런 목적도 별로 없고. 그런데도 에디터스럽게 접근해야만 할까? 라는 아주 자연스러운 질문.      


에디토리얼 씽킹 | 저자 최혜진 | 출판 터틀넥프레스 | 발매 2023.12.22.


최혜진 작가는 ‘그렇다’고 확신을 실어 답한다. 모두가 자신만의 컨텐츠를 가지고 있거나 혹은 준비하는 크리에이터인 세상이기 때문이다.     


나는 저 문장이 온 세상이 잡지화되어가는 이유를 설명한다고 믿는다. 에디팅은 이제 거의 모든 영역에서 필요하다. 상품, 지식, 뉴스, 데이터, 브랜드, 콘텐츠 모두 현기증 날 정도로 포화 상태이기 때문이다. 선택과 주목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정보를 비교하고 검증하는 일도 벅차다. 자신의 취향, 호기심, 판단력을 알고리즘에 외주 주거나 타인에 대한 모방으로 때우는 일이 빈번해진 이유다. 모든 것이 이미 이렇게 많은 세상이라면 그 안에서 어떻게 자기다움이나 새로운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16쪽     


솔직하게 말해보자. 컨텐츠 크리에이터가 되었거나 되고자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나만의 기록물을 만들고 나의 정체성을 또렷이 시대의 발자국 중 하나로 남기고 싶어서? 그것도 좋다. 하지만 대체로 이유는 엇비슷하지 않은가? 내가 이런 사람이라는 걸 세상에 말하고 싶고 그렇구나, 네가 그런 사람이구나, 라는 걸 인정받고 싶어서. 당연히 수익성에 대한 마음이 없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주위의 지인 크리에이터들(내가 보기엔 부러운 수준의 유튜버부터 제페토에서 실제 판매도 하는 의상 디자이너, 웹소설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별사람 다 있다)을 보면 ‘돈’ 때문에 그 일을 하는 사람보다, 돈이 안 되어도 그 일이 너무 좋아서 하는 사람이 더 많았다. 그 일이 자신이 사회적 인정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때문에. 


거기에 에디터적 감각과 훈련이 필요하지 않다고 누가 말할 수 있을까?   

  

“이 콘텐츠를 본 사람이 마지막에 어떤 감정이나 생각을 품기를 바라는가?”라는 질문도 자주 던진다. 어떤 상태에 놓인 사람들이 이 콘텐츠를 보길 원하는가? 마지막으로 책장을 덮거나 영상 재생을 멈출 때 그들에게 어떤 감정이 남기를 바라는가? -130쪽      
마케터가 ‘팔리든 말든 나는 상관없어’라고 절대 말할 수 없는 것처럼 에디터는 ‘당신이 의미 있다고 보든 말든 나는 상관없어’라고 절대 말하지 못한다. 에디터는 어떻게든 관여하고 설득한다. 끝끝내 소통에 대한 믿음을 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지점에서 나는 에디터 업의 아름다움을 느낀다. -221쪽     


바로 이런 이유로 나는 이 책을 권한다. 적어도 남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자신만의 스토리가 있는 사람이라면, ‘소통’을 원하지 ‘불통’을 원하는 것은 아닐 테니까. 


2024.3.20 최초작성

매거진의 이전글 SF 작가로 생존하기 위하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