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광현 May 28. 2024

누가 어른인가


예전엔 회사에 아침체조 시간이 있었다. 7시 50분이면 모두가 사무실 기둥에 걸린 TV를 바라보고 서서 유명 트레이너의 짧은 스트레칭 영상을 따라 하곤 했다.


입사 3년 차 때였나. 그날은 체조를 끝내고 곧장 탕비실을 찾았는데 창가 라디에이터에 누군가 걸터앉아 있었다. 밖을 쳐다보며 한가로이 믹스커피를 마시고 있는 그 사람은 같은 팀 대리님이었다.


“대리님 여기서 뭐하세요??”


특유의 잔잔한 미소와 함께 ”체조하기 싫어서요 “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이렇게 정직한 반응이라니. 평소에 일 잘하고 자기 관리도 철저한 사람인데 의외로 엉뚱한 면이 있네. 속으로 웃으며 물을 한 잔 마시고 자리로 돌아와 일과를 시작했다.


그땐 선배의 그런 행동이 어린애 같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니 잘 모르겠다. 애 같은 게 뭐고, 어른스러운 건  또 뭘까.


나이 서른일곱이 되어도 어른이라는 정체성은 여전히 버겁다. 부모님과 떨어진 지 17년이고, 회사 다니며 돈을 벌고, 결혼을 했고, 아이도 키우고 있지만 여전히 산다는 것에 서툴고 자신이 없다.


어영부영 흘러온 삶이라서 그런가 싶다. 일상이 대단히 특별한 모습이길 바라는 것은 아니다. 다만 작은 일 하나라도 더 고민해 보고, 직접 결단해 볼 걸 하는 아쉬움이 있다. 어른의 밀도는 그런 자기주장과 책임짐의 경험들로 채워지는 게 아닐까. 하다 못해 체조하기 싫어, 같은 우스운 고집에도 자기 다운 이유가 있다면 그건 분명 어른의 행동이 아닐까.


살면서 감당해야 할 일들이 있다. 하지만 스스로 길어 올린 이유와 목적 없이 그저 살아지는 대로 견디는 시간은 나를 어른으로 만들어주지 못하는 것 같다. 내 몫의 삶을 고민하고 살아내는 것이 버거운 요즘, 한번 더 나를 듣고 조금 더 나를 알기로 한다. 반복되는 일상의 단조로움, 주어진 역할에 대한 책임감 같은 것들을 게으름에 대한 변명으로 삼지 않고 나를 사는데 성실하기로. 그렇게 어른이라는 껍데기 안쪽의 빈자리를 조금씩 채워내기로.





매거진의 이전글 멋있는 직장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