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우현수 Feb 07. 2019

난임전문센터의 이미지 차별화 전략

서연아이여성의원 BI - 브랜드디자인


About Seoyeon

우리 사회의 결혼 연령이 올라가면서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부부들도 상대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조사에 의하면 2018년 3월 난임 환자 수가 25만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더 이상 산부인과 진료 서비스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는 난임부부들이 더 전문적이고 특화된 난임전문센터를 찾고 있습니다. 서울권에는 그러한 전문화된 센터들이 많이 있지만, 아직 인천에는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인천지역 난임부부들이 더 가까운 곳에서 더 전문적으로 난임진료를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3인의 여성 난임전문가가 뭉쳤습니다. 모두 난임경력 20년, 시술건 수 10,000건 이상의 풍부한 임상 경험과 경력을 가진 난임 분야 최고의 전문의들입니다.




Interview



브랜드아이덴티티 작업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와의 인터뷰는 시작이자 끝이라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위와같은 어려운 질문들에 선명한 대답을 얻어낼 수만 있다면, 프로젝트의 속도는 훨씬 빨라질 뿐만 아니라 더 좋은 결과물이 나오기 마련입니다.



세분의 원장님께서 인터뷰 질문에 대한 답변들을 꼼꼼히 해주셨습니다. 그 내용들에서 키워드들 추출하여 브랜드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확립해 갔습니다. 사실 시각적인 방향성을 빼면 브랜드의 뼈대가 되는 모든 내용들이 인터뷰를 통해 나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 과정을 통해 실제 디자인에 서로의 공감대를 만들고, 신뢰를 쌓을 수 있는 좋을 기회가 됐습니다.



Brand Vision



Brand Story



브랜드의 스토리를 만드는 과정은 굉장히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가장 자연스럽고 강력한 방법은 이름에서 끌어내는 게 아닐까 합니다. 서연이라는 이름은 사실 서울대, 연대 출신의 전문의라는 권위를 전달하고자하는 아이디어에서 나왔다고 하는데요. 저는 '서연'이라는 이름을 발음했을 때의 아련하면서도 서정적인 정서가 여성전문의원으로써의 아이덴티티와 굉장히 잘 맞아 떨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서연을 풀어서 '서로의 인연' 즉 아이와 엄마의 인연으로 풀어가면 앞서 말한 이미지들이 더 극대화될 것이구요. 그리고 '서연아이'의 '아이'는 우리말로 아기(Baby)를 뜻하기도 하지만 여성(I)의 의미도 담을 수 있는 중의적 표현이기도합니다. 어찌보면 나의 또 다른 아이덴티티(I)가 인연을 맺을 아이(I)이기도합니다. '아이(i)라는 요소를 시각적으로 언어적으로 잘 활용하는 것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렇게 이름에 담긴 의미와 정서들을 하나 하나 분해해가면서 브랜드 스토리 만들어 갔습니다.



Reasearch


경쟁할 기존 난임센터들의 시각적 소재들을 찾아보니 모두 비슷 비슷한 형태의 로고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아이를 품고 있는 엄마의 모습'이 대부분의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이루는 주요 요소였습니다.

하지만 그런 모습이 과연 난임으로 고통받는 부부들의 심정을 대변할 수 있는 시각적 장치일지는 의문이었습니다. 오히려 그러한 노골적인 표현들이 환자들로 하여금 더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되지 않을까라는 걱정됐습니다. 그런 직접적인 표현들로 희망을 보여주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환자들에게 상처가 될 수 있는 여지를 만들 수도 있을 겁니다.


그래서 브릭은 조금 돌려 얘기하는 아이디어를 선택했습니다. 개발된 로고에는 'i'가 직접적으로 보여지지는 않습니다. 다만 대놓고 얘기할 수는 없지만 간절한 마음을 담아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SeoYeon의 'n'과 'i'를 합친 시각적 은유를 통해 간접적이지만 세련된 어법으로 접근했습니다.


이는 SeoYeon-i라고 표기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동시에, 향후 SeoYeon이라는 브랜드가

난임전문센터를 넘어 여성전문병원으로 발돋움하는 비전을 염두해 둔 디자인이기도 합니다. 또한 영문타입의 워드마크라서 국제적인 이미지를 담아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Design Concept



행복한 결실, 기쁨의 선물을 표현한 그래픽을 디자인을 표현할 구체적인 테마로 잡았습니다.

각 요소들이 움직이고 조합되면서 결실을 맺어가는 과정과 노력을 담아내고자 했습니다







Design Application






축하 메세지카드입니다. 실력있는 진료와 최신식의 시설도 중요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환자와의 정서적 교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교감을 카드라는 실제 아이템을 통해 전달되었을 때의 감동은 더 클 것입니다.   








가방, 쿠션, 에코백등의 패브릭을 소재로한 용품들은 브랜드가 여성 환우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편안함과 안락함의 가치를 대변하는 좋은 아이템입니다.









광고 및 홍보물에 쓰일 디자인 포맷들


광고와 홍보물의 디자인은 적용될 매체의 성격에 따라, 비율에 따라 유연성 있는 디자인이 되어야 합니다. 사람들의 시선을 단번에 끌어야할 옥외광고물이나 포스터는 원형의 'Dot'형 테마의 디자인을 적용하되, 위와 같은 광고 및 홍보물에는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면적인 요소가 강한 'Overlap'형의 테마로 디자인했습니다.
























Build Idea, Realize Value - BRIK

 

브릭은 언제나 담대하고 진심을 담은 아이디어로

고객의 브랜드 가치를 쌓고 비전을 세워 나가겠습니다.




[ 카카오톡 프로젝트 문의하기 ]  

 http://pf.kakao.com/_SyPJj/chat

매거진의 이전글 가구로 공간을 브랜딩한다는 생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