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인 Jun 01. 2020

슈필리움Spielraum, 남자의 방



“혼자 있을 공간이 필요해.”


오 년 전 지금의 집으로 이사할 때 남편은 자기 방을 달라고 했다. 신혼 때는 두 살 터울로 태어난 아이들 때문에, 시간이 흐른 후에는 다른 성(性)을 가진 아이들에게 각자 방을 주느라 여유가 없었다. 방 만이 아니라 우리 가족의 모든 요구에서 남편은 항상 가장 순위였다. 왜 방이 필요하냐고 물으면 남편은 그냥, 이라 했는데 최근에는 거기 들어가서 졸기도 하고 멍때리고 있고 싶다고 했다.


막내가 대학에 입학하면서 아이들이 모두 집을 떠났을 때 나는 큰 책상을 하나 샀다. 책상은 양팔을 벌려도 끝이 닿지 않게 넓었고 딸린 의자는 목 받침대가 있어 몸을 뒤로 젖히면 45도까지 뒤로 넘어갔다. 그건 아이들 때문에 변변한 자기 물건 하나 갖지 못한 남편에게 주는 나의 선물이었다. 현관 옆 큰 방에 책상을 들여놓고 그 앞에 앉아 글을 읽거나 쉬는 남편의 모습을 상상했다.


몇 년이 지난 지금, 그 방의 풍경. 책상 위에는 컴퓨터와 온갖 것들이 널려있다. 습작한 종이, 머그잔. 색색의 볼펜. 포스트잇, 미니 달력, 읽다가 시옷으로 엎어 둔 책, 그 방의 주인은 남편이 아니다.




“이제야 내 방이 생겼나 했더니, 슬그머니 저 사람이 그 방을 꿰차지 않겠어요.”

남편은 누군가에게 이렇게 말했을지 모른다.


그러면 남편은 어디에 있나. 그는 퇴근 후 집에 오면 텔레비전 앞 거실 소파에 앉는다. 저녁 먹으러 식탁에 올 때 한 번, 베란다로 담배 피우러 나갈 때 몇 번 일어난다. 피곤하면 옆으로 길게 드러눕고, 신문을 볼 때면 스르르 미끄러져 내려와 카펫에 앉으니 그럴 때는 소파가 등의자가 된다. 남편이 늘 앉는 자리는 소파의 가죽이 벗겨져 검정 바탕에 하얀 밀가루가 점점이 뿌려진 것처럼 보인다. 그 곳에 컴퍼스 바늘을 꽂고 한 바퀴 돌리면 남편은 사방 일 미터 원 안에서 움직인다.


“방 달라면서요. 저 방 써요.” 하면, 남편은 “그 방은 내 방이 아니네.” 한다. 비싸게 사준 책상에 왜 안 앉느냐고 물으면 그건 자기 취향이 아니란다.


“커다란 교자상 하나 펼쳐놓고 거기 앉아 있고 싶어!”




방은 내 것이 되었다. 문을 닫으면 거실 TV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는다. 텔레비전 끕시다. 소리 줄입시다. 잔소리할 필요가 없다. 매일 저녁 나는 그 방에서 자유롭고 은근히 행복하다. 조금 신경이 쓰이는 건 남편 때문이다.


“나, 잔다.” 하면서 문을 삐죽 열고 들여다볼 때 표정이 시들하다. 잠잘 시간이 되어서 오는 피로감과 다른 무엇이 남편의 얼굴을 덮고 있다. 결국 나는 거실 창가에 신혼 때 쓰던 작은 식탁을 갖다 놓았다. 거기도 그런대로 괜찮다. 책 읽다가 남편과 이야기도 하고, 창 밖도 내다보고, 빗소리도 들을 수 있으니.


그러던 남편이 요즈음 다시 방 타령을 시작했다. 얼마 전 책을 한 권 읽더니 자기의 공간, ‘슈필리움’이 필요 하단다.


『바닷가 작업실에는 전혀 다른 시간이 흐른다』에서 김정운 작가는 독일어에만 있는 ‘슈필리움Spielraum’이란 단어를 소개한다. 우리말로 '놀이Spiel'와 '공간Raum'을 합쳐 ‘여유 공간’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이 단어는 물리적 공간은 물론 심리적 여유까지 포함한다. ‘슈필리움’은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자율의 공간을 의미한다.


책에서 작가는 한국 남자들이 운전대만 잡으면 헐크가 되는 건 자기의 방이 없어서라고 말한다. 자동차 운전석이 그들의 유일한 공간인 ‘슈필리움’이기에 내 앞의 공간을 빼앗기면 내 ‘존재’가 부정되는 거여서 그렇게 분노하고 적개심을 느끼는 거라나.


친구가 시부모를 모셔오면서 집을 고쳤다. 최대한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게 목적이었다. 그녀는 안방 뒤쪽 베란다를 침실로, 안방을 거실로 만들었다. 현관 옆에 나란한 작은 방 두 개를 터서 시부모의 침실과 거실을 만들었다. 고부가 종일 집에 있어도 독립적으로 있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든 거다. 그나마 넓은 집이어서 가능했다.




강변 산책로에 낚시꾼들이 많이 보인다. 처음에는 한두 명이었는데 점차 수가 늘어났다. 대부분 쉰이 넘어 보이는 그들은 평일에 나오는 걸로 봐서 퇴직했거나 시간 여유가 많은 사람으로 보인다. 딱히 물고기를 잡는 게 목적인 것 같지도 않다. 몇 번인가, 잡은 물고기를 바로 놓아주는 걸 봤으니. 아내나, 아이들과 함께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들은 늘 혼자다.


 


오래 앉아있을 걸 대비해선지 의자의 등받이에는 두두룩하게 쿠션도 만들어 놓았다. 그들은 종일 한 곳만 바라보고 있다. 시선은 낚싯찌에 못박혀 있지만 머릿속은 온갖 곳을 헤매고 다니는지 모른다. 겉모습은 고요하지만, 속내는 분주한 지 모른다. 압축한 파일을 풀 듯 과거를 풀어내고 있는 건 아닐까. 낚시터가 그들의 방이었다. 아무도 침범하지 않는 그들의 영역, 슈필리움.


충분히 쏟아내고 나면 강변의 풍경도 눈에 들어오겠지. 햇살에 반짝이는 윤슬, 바람에 떠밀려 포물선을 그리는 강물, 돌부리에 부딪쳐 튀어 오르는 하얀 물방울, 나지막이 물 위를 나는 새, 자맥질하는 오리, 짧아지는 나무 그림자, 날마다 조금씩 짙어가는 수풀. 넘어가는 해가 강물을 금빛으로 물들이면 생각에서 깨어나 흐르는 강물소리를 듣게 되겠지.  


“안방에 교자상 넣어줄까, 침대 치우고?”

남편은 대답하지 않았다.



 




#바닷가 작업실에는 전혀 다른 시간이 흐른다, 김정운, 21세기 북스

작가의 이전글 미역국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