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정은 Aug 07. 2020

"THE"

세상에 단 하나뿐인 것

언니와 영어 공부를 시작했다. 어른스러운 척 도전하지만 뒷일 생각 않고 저지르기 일 수였던 날들을 언니는 잊지 못하나 보다. 언니 눈에는 여전히 '막내'인 내가 작가가 되겠다는 결심에, 아르바이트를 할 때처럼 막무가내로 정한 건 아닌지, 높은 점수는 생각도 안 하고, 사는데 지장 없을 정도로만 공부를 하자고 끈질기게 설득한 끝에, 나 역시 영어는 공부해서 나쁠 게 없으니까(글로벌 마케팅을 할 날이 올 테니) 그러기로 했다. 언니 딴에는 대책 없이 글만 쓰겠다는 것처럼 보여 시작한 수업이었지만, 나는 여간 까다로운 학생이 아닐 수 없었다. 문법을 공부하고 며칠이 지난 뒤, 'THE'에 대해 배우는 날이었다. 'THE'에는 7가지 특징이 있는데, 가장 솔깃했던 기능은 '세상에 단 하나뿐인 것' 앞에 붙는다는 것이었다. 언니는 학원에서 배운 대로 질의응답식 수업을 추구했고 나 역시 그런 방식이 언니의 공부에도 도움이 될 것 같아 군말 없이 수업에 임했다.  

    

"세상에 단 하나뿐인 것, 뭐가 있어!"

"음, "

"어려우면 영어로 말고 우리말로 생각해 봐."

"음, 나?"

"아니, 그런 로맨틱한 거 말고!"      


세상에 '내'가 하나뿐이라는 게 로맨틱? 문과? 감성적인 건가?

과학적으로도 하나뿐인데? 문과랑 감성은 또 무슨 상관?     


"멍충아! 그런 거 말고! 지구, 태양, 목성! 이런 거!"    




수업 이후, 'THE'라는 단어가 잊히지 않았다. 문법에 맞지 않아도, 'THE Song Jeungeun'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 유일한, 그렇게 자긍심을 빚는다. 자긍심은 나를 나답게 하는 것에 꽤 많은 영향력을 준다. 우선 내가 나인 것과 아닌 것에 흥미를 갖게 해 주고 나에 대한 호기심을 즐기게 해 주며, 내 안에 자아가 하나가 아니라 다양한 존재들이 공존하고 있다는 걸 알게 해 준다. 그러니까 내 성격은 좀처럼 일차원적으로 설명하기 힘든 것이라는 것. 나는 착하기만 하지 않고 싸가지가 없는 것만은 아니다. 다양한 자아의 존재와 외관적 모습과,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들이 모여 '나'를 이룬다. 그러니 'The Song Jeungeun'을 쓸 수밖에.



나를 나답게 해주는 것은 두 부류와 관계를 맺는다. 하나는 '나'로부터 오는 나다움이고 다른 하나는 타인으로부터 '나'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보다 전자의 경우를 요즘은 더 선호하는데, 이는 다름과 자아 관찰의 차이이다. 내가 아닌 존재로부터의 나는, 내가 나를 알 때부터 이뤄질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니 결국은 자아 관찰이 중요한데, 이를 통해서 나를 나답게 해주는 것, 즉 나를 이루는 요소를 만날 수 있다. 이는 생물학적으로 접근도 있지만 그보다는 조금 낭만적으로 내가 동경하고 사랑하고 좋아하고 싫어하고 못하고 잘하고 엉뚱한 성격이나 습관, 행동 범위 등등이 평상시 '나'를 더 많이 찾는 부류일 것이다


                                                                                  

                                                                                     ㆍ

                                                                                     ㆍ

                                                                                     ㆍ



그런데 여기서 자긍심만으로는 절대 '나'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걸 말하고 싶다. 나를 이해한다는 건, 나의 모든 면을 받아들이고 그로부터 나다움을 인지하는 것인데, 꽤 극적인 방법으로 부정적인 생각은 나의 좋지 않은 면도 보게 해 준다. 빌리 아일리시는 한 인터뷰에서 나를 나답게 해주는 것은 내가 나를 혐오하는 걸 안 순간부터라고 했다. 일부를 발췌하면,


"빌리, 무슨 문제라도 있니?"라고 묻는다면, "나도 몰라. 나야, 내가 바로 그 문제야."라고 답하겠죠. "널 상처 입힌 게 누구야?" 저는 그냥 "그게 나야" 다른 사람은 내가 되고 싶어 하지만, 나는 거울 속의 나를 보며 이렇게 말해요. "난 네가 되고 싶지 않아." 이런 기분을 항상 느껴야 한다는 게 정말 짜증 나요. 항상이요. 그리고 누군가가 "넌 너무 자주 무너져 내려." "넌 너무 짜증 나" "넌 항상 너무 우울해해."하고 하면 저는 "나도 알아! 난 항상 이 짜증 나는 애일 수밖에 없어. 그리고 저도 그게 얼마나 짜증 나는 일인지 알아요. 많은 사람들이 저를 도와주고 대화를 하려고 시도해 볼 순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뭐가 바뀌지는 않아요. 제가 느끼는 기분을 바꿀 수 있는 단 한 사람은 저인데, 그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거든요.



빌리 아일리시와의 인터뷰를 들은 이후로, 나의 이런 미운 자아에서도 내가 나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을 마련했다. 성격은 고칠 수 없다는 말을 학습해 와서가 아니라, 내가 나의 삐뚠 성격마저도 알고 인정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에 뼈저리게 공감했기 때문이다. 이건 가릴수록 더 많은 화를 돋우는데 당신들이 타인을 바라보고 하는 "제 성격 진짜 이상해!"도 그 사람이 자신을 이루고 있는 요소이다. 당신은 언젠가 길가에서 그 사람을 또 마주치면, 그 사람의 성격을 떠올릴 것이고 그로부터 그 사람에게서 그 성격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 최대한 비켜 지나갈 것이다. 그래서 나는 어차피 나의 성격이 이런 거, 친하지는 못할망정 알고 같이 살자고, 미리 간략한 자기소개서를 내 101개의 자아들 앞에 발표한다.



우울도 짜증도, 뒤치다꺼리를 싫어하는 것도, 나 혼자 일하는 걸 싫어하고 누군가를 무시하는 걸 무척이나 싫어하며 수직적인 구조를 벗어나고 싶어 하고, 너는 하는데 나는 안 되는 게 있으면 언제나 반박하는, 그리하여 수에 신경 쓰지 않고 개인을 존중하는 그런 사람. 이게 바로 나다운 것이다. 옷을 좋아하고 먹는 걸 좋아하며, 사람들의 시선 받는 걸 좋아하고 글 쓰는 걸 밥벌이로 하려고 하는 그 모든 것도 나지만, 이 성격들도 나를 나답게 해주는 거라고. 물론 불같이 화를 내고 똥고집을 부리는 건 아빠의 유전자를 받은 게 100% 확실하지만, 청소나 요리를 하는 등의 다른 나다운 게 있으니까.



이렇게 기나긴 '나다움'을 찾기 위한 성격에 대한 고찰을 어느 정도 하고 나면 ,  내가 해보고 싶은, 그래서 그게 나일 수도 있을 것 같은 모든 것에 가능성을 두고 경험할 기회를 어떻게든 마련한다. 그러다 맞지 않으면 미련 없이 내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을 놓는다. 그건 내가 아니기 때문이다. 내가 아닌 것 때문에 나를 옭아맬 필요는 없다. 나는 나이고 너는 너이기 때문에. 나는 이런 걸 좋아하고 나는 이런 걸 싫어하며, 나는 이런 걸 잘한다. 그리하여 나의 경우에는 돌고 돌아 결국 글이다. 그렇게 수많은 걸 해봤지만 눈물 쏙 빠지게 힘들었고 하기 싫었다. 덕분에 이렇게 책상 앞에 앉았고 덕분에 그때의 경험들과 감정과 생각과 부조리를 떠올리며 글을 쓰고 누군가의 얘기를 듣는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건 '나'라는데, 아마 이런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AI처럼 일률적이고 측정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숱하게 많은 것들로 나를 알고 나답게 해 줌에 한숨도 쉬고 안정감을 느낀다. 그러니 얼마나 다행인가. 쉽게 정의 내리지 않고 나를 나답게 해주는 모든 걸 알아간다는 게. 나는 내가 싫지만 나를 좋아한다는 말에 공감을 표한다.  나를 나답게 해주는 그래서 쉽지 않은 자아들로 오늘은 밤새 파티를 열어야지 하는,





작가의 이전글 구질구질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