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돼지의 우리말 어원

우리말 어원

돼지는 송아지, 망아지, 강아지 등 포유류 가축의 새끼를 일컫는 명칭에 대등한 말로서 성축의 명칭에 새끼를 뜻하는 접미사 –아지가 합성되어 이루어져 돼지 새끼를 뜻하고 있다. 

豕(시, 돼지)에 대해서 국어사전에는, 돼지의 원래 말이 돝이었기 때문에 돼지 관련 땅 이름 중에는 돼지 저(猪)뿐만 아니라, 돝, 돋, 돗 자가 들어간 것이 많다. 즉 돼지가 많았거나 땅 모양이 돼지 모양이면 돼지골, 돝골, 돋골, 돗골 , 돼지고개, 돝고개, 돋고개, 돗고개, 돝재, 돌섬(猪島) 돌귀동(猪耳洞) 돝오름, 돝올림산(도드람산) 등에서 돼지의 고어가 돝임을 알 수 있다. 돼지는 豕의 성축명으로 풀어 놓았을 뿐 豕의 유축명에 대해서는 어느 사전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豕의 성축은 돼지라 칭하고 유축에 대해서는 송아지, 망아지, 강아지 등과 같은 형태의 명칭이 없고 유독히 돼지새끼라고 부른다. 豕의 우리말 고어는 돗, 돋, 돝 등으로 여기에 다른 가축과 동일한 형태로 아지를 더해보면 돗아지, 돋아지, 돝아지로 되나 고어나 방언에서도 이와같은 어형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고어 중 되아지, 되야지 등의 형태는 나타나는 데 이것을 분석하여 보면,

되아지 = 도+ㅣ+아지

되야지 = 되+ ㅣ(반자음)+ 아지의 형태로 구별된다. 되야지의 되는 모음의 역행동화로 볼 수 있다. 이처럼 豕의 우리말 원형이 돝이었다면 유축의 명칭으로 돝아지의 형태를 취하였을 때 돝의 ㅌ 음이 탈락된 이유에 대하여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돝의 ㅌ 음이 탈락된 이유를 추구하지 않고는 톹의 유축명인 되아지, 되야지, 도야지, 돼지 등이 형성된 과정을 설명하기 힘들다. 그러나 우리민족의 오랜 민속놀이의 하나인 윷놀이 명칭을 보면 도, 개, 걸, 윷, 모로서 동물의 명칭으로 하고 있는데 이때 도가 곧 돝이다. 돝의 고형은 도로써 豕의 성축명이다. 유축명도 다른 가축과 동일한 형태로 도에 아지가 결합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대 국어의 돼지는 도아지에서 모음 축약의 방법인 곧 돠의 형체로 모음 충돌을 회피하였고 다시 모음의 역행동화에 의하여 돼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豕의 우리말 성축 명은 돝이고 유축 명은 돼지 또는 도야지 이지만, 돝은 고형은 도로 재구성된다. 그러므로 현대 국어에서 돼지는 豕의 성축 명으로서 표준어로 삼고, 도야지는 사투리로 결정하고 豕의 유축 명은 송아지, 망아지, 강아지 등과는 달리 돼지 새끼라고 대중화되고 보편화 되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문자상으로 본 돼지의 어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