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우성 변호사 Jul 18. 2022

‘내 사람’이 있는가


#1


요즘 대통령실의 사적 채용이 시끄럽다. 개인적인 측근들을 공직에 선임하는 것이 옳으냐의 문제는 여러 쟁점을 갖고 있다.


그런데 사기업이라면 좀 달리 봐야 할 것이다. 내가 경험한 업체들을 보고 느낀 바를 솔직히 털어놓아본다.



#2


기업은 운영하다보면 여러 형태의 위기가 발생한다. 그런 위기를 돌파하려면 조직원들의 헌신 내지는 위험감수(Risk–Taking)가 필요한데, 이해관계로 뭉친 관계에서는 이게 쉽지 않다.


다른 직장에 가면 좋은 대우를 받을 수 있는데, 굳이 여기에서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무엇인가 라고 자문하게 된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같은 배를 타야할 관계가 있는 사람. 그것이 혈연으로 맺어졌든 아니면 우정이든, 아니면 다른 그 무엇이든 ‘이해관계를 어느 정도 넘어설 수 있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3


능력만을 높이 사서 사람을 들이고 그 사람에게 힘을 몰아준다. 창업때부터 같이 했던 사람드은 새로 영입된 사람에 비해 세련미나 능력이 많이 처진다. 조직의 발전에 따라오지 못하는 느낌도 든다. 그러니 점점 경원시 하게 되고, 결국 그 사람은 버티지 못하고 조직을 떠난다.


쟁쟁한 능력을 갖춘 사람들은 굳이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다. 다른 선택지가 많기 때문이다.



#4


이해관계를 뛰어 넘는 끈끈함을 갖춘 ‘내 사람’이 최소한 몇 명은 필요하다. 그들은 조직에 위기가 발생했을 때 빛을 발한다. 평상시에는 그 존재가치를 잘 드러낼 수 없다. 마치 사고가 터져야 귀한 줄 아는 스페어 타이어처럼


아울러 ‘내 사람’을 만들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이는 경영전략 못지 않게 중요하다.



#5


족벌경영을 장려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리더는 ‘내 사람’이 필요하다. 아찔한 위기의 순간에 같이 돌파해 낼 수 있는 장수들 말이다.


과연 그런 ‘내 사람’이 이 조직에 몇 명이나 있는지 냉정하게 따져 봐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대표(사장)가 사랑에 빠졌을 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