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시대 위(衛)나라 영공(靈公)은 측근에 자신을 시중드는 여러 미동(美童 ; 예쁘게 생긴 남자아이)을 두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뛰어난 미모를 자랑하는 미자하(彌子瑕)가 단연 최고의 총애를 받았다.
미자하는 왕의 총애만을 믿고 방자한 행동을 일삼았기에 신하들은 미자하가 제대로 한번 걸리면 혼을 내줘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어느 날 궁궐 밖에 사시는 어머니가 병에 걸렸다는 소식을 듣게 된 미자하는 임금의 명령이라 속이고 임금의 수레를 몰래 타고 궁궐을 나가 어머니를 문병했다.
당시 위나라 법에 따르면 허가 없이 몰래 군주의 수레를 탄 사람은 월형(刖刑 : 발꿈치를 자르는 형벌)의 벌을 받기로 되어 있었다. 신하들은 득달같이 일어나 당장 미자하에게 형벌을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사실을 전해들은 임금은 '이 얼마나 지극한 효성인가. 어머니를 생각하는 마음에서 월형을 각오하다니!'라고 말하면서 오히려 미자하의 효심을 크게 칭찬했다.
그 후 언제인가 미자하는 임금을 수행하고 과수원에 놀러갔다. 미자하가 복숭아를 한 입 베어 먹어보니 맛이 너무 좋았다.
그는 자신이 먹던 복숭아를 임금에게 건넸다. 그 광경을 지켜본 신하들은 미자하가 감히 자신이 먹던 복숭아를 군주에게 올렸으니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때도 위나라 영공은 '이 얼마나 나를 생각하는 정이 깊은가. 자기 입은 생각하지 않고 내게 주다니!'하면서 오히려 미자하를 칭찬했다.
세월이 흘러 미자하의 용모와 인색이 변하고 임금의 총애도 예전만 같지 못 하게 되자, 미자하는 간간히 꾸지람을 듣게 되었다.
결국 임금은 이렇게 말하면서 미자하를 궁궐 밖으로 쫓아버렸다.
'이 놈은 일찍이 나를 속이고 내 수레를 몰래 타고 궁궐 밖으로 나갔었고, 심지어는 자신이 먹던 복숭아를 내게 먹인 놈이다.‘
이처럼 한 번 애정을 잃으면 이전에 칭찬을 받았던 일도 오히려 화가 되어 벌을 받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여도지죄(餘桃之罪 : 남은 복숭아의 죄)란 고사가 나왔다. 애정과 증오도 세월과 사정에 따라 변화무쌍하다는 것을 가린킨 말이다.
한비자는 위의 고사를 들면서
라 말하여 유세의 어려움을 말하고 있다.
한비자는 미자하 이야기에 이어 송나라 부자 이야기를 소개한다.
송나라에 한 부자가 있었다. 어느 날 비가 많이 내려 그 집의 담벼락이 무너지자 그 아들이 말하였다.
"담을 다시 쌓지 않으면 분명 도둑이 들 것입니다."
이웃집 주인도 같은 말을 하였다.
그날 밤 아니나 다를까 도둑이 들어 몽땅 털리고 말았다.
부자는 아들의 똑똑함에 감탄하였다.
하지만 아들과 똑같은 말을 한 이웃집 주인에 대해서는 '저 놈이 범인이 아닐까?'라며 의심하였다.
이 두 사람의 말은 다 옳았다.
하지만 그 말을 한 사람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에 따라 전혀 상반된 평가를 내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