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우성 변호사의 협상 Must Know
고려말 충신 정몽주는 1392년 선죽교에서 이방원 일파에 의해 무참히 살해된다. 조선 건국에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한 이방원(이성계의 5째 아들, 뒷날의 조선 3대 임금 태종)의 ‘결단’에 의해 벌어진 일이다.
우리는 이방원이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기 위해 ‘하여가’라는 시조를 읊었는데, 그 자리에서 정몽주는 고려 왕에 대한 충성심을 저버리지 않겠다는 ‘단심가’를 지어 응수했음을 알고 있다. 나는 그 일화를 접할 때마다 이방원이 협상론에서의 interest를 조금만 알았더라도 정몽주에 대한 설득 방법은 달랐으리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한 이후에, 새나라 건국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을 당시, 이성계의 마음을 가장 힘들게 하는 존재가 바로 포은 정몽주였다. 이성계로서는 그냥 제거하기에는 고려의 민심이 신경 쓰였고, 그대로 두기에는 위험한 인물이었다. 이 때 이성계의 아들인 이방원이 나서서 자신이 직접 정몽주를 설득해 보겠다고 한다.
아들 중 가장 총명했던 방원이었기에, 이성계는 정몽주에 대한 설득작업을 방원에게 맡겨본다.
당시 정몽주는 50대 중반인 반면, 이방원은 20대 중반이었다. 정몽주는 이미 부와 명예를 누릴만큼 누린 중신(重臣)이자 대유학자인 반면, 이방원은 혈기 방자한 권력자의 아들이었다. 그만큼 둘은 너무도 다른 배경을 갖고 있었다.
자, 만약 여러분이 이방원의 참모라면 정몽주를 설득하기 위해서 어떤 전략을 써야 한다고 충고했을까? 그냥 마구잡이로 해서는 도저히 설득당하지 않을 꼬장꼬장한 노 유학자를 어떻게 설득해야만 할까?
이방원이 정뭉주를 설득하기 위해 지었다는 하여가.
이 시조를 통해 이방원은 ‘우리 같은 편이 되어 오래 오래 부귀영화를 누려봅시다.’라는 제안을 한 것인데, 과연 이런 제안이 충절의 정신으로 똘똘 뭉친 정몽주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졌을까?
적어도 이방원은 정몽주에게 대의명분에 따른 제안을 했어야만 했다.
하지만 이방원의 제안에는 그 어떤 대의명분도 찾아볼 수 없었다.
풍류를 즐기며 부귀영화를 누리자는 식의 이 제안에, 종1품 문하시중을 지낸 인물이 동조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권력이나 재물도 이미 누릴만큼 누린 사람에게 시정잡배 다루듯이 접근했으니 어찌 설득이 되겠는가.
한비자는 자신의 저서 '세난편'에서 이런 글을 남겼다.
"명예를 중시 여기는 사람에게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설득하면 실패한다. 왜냐하면 그 설득자를 비천하고 비루한 사람으로 여길 것이기 때문이다."
정몽주의 답 시조가 바로 그 유명한 단심가.
정몽주는 이 시조를 쓰면서 아마도 이미 죽음을 예감했으리라.
아마도 이방원은 정몽주의 단심가를 접하고, ‘도저히 말귀가 안통하는군. 제거밖에는 길이 없다’라고 생각했을 수 있으나, 이는 정몽주의 욕구(interest)를 전혀 감안하지 못한 지극히 일방적인 입장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낚싯바늘에 초콜렛을 꽂은 것과 매한가지다.
이방원이 정몽주를 참살한 일은 이성계나 정도전에게도 충격으로 다가왔고, 결국 이성계와 정도전이 잔인한 성격의 방원을 제치고 막내 아들인 ‘방석’을 세자책봉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두차례 왕자의 난이라는 골육상쟁의 비극을 초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