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2022 선성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준식 Oct 10. 2022

녹색 피

綠血 녹색 피


秋光徹薄葉 (추광철박엽) 가을빛 얇은 잎을 뚫으니,

䌍網無虛隙 (근망무허극) 촘촘하여 빈틈 하나 없구나.

曇摩此在濜*(담마차재진) 진리는 여기에도 서려있는데,

蒙然不隨應 (몽연불수응) 흐리멍덩하여 눈치챌 수 없네.


2022년 10월 10일 오후 3시 51분. 토요일 산행 중에 찍은 사진에 글을 놓으려 했더니 능력도 모자라고 시간도 없어 미루다가 내일이 되면 완전히 잊을 것 같아 억지로 20자를 끼워 맞추니 참 힘들다.


가을 맑은 햇살이 역광으로 비치는 잎을 카메라로 촬영해보니 어디 작은 틈 하나 없이 촘촘하게 綠血이 흐르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 아무렇게 땅 위에 흩어질 나뭇잎이지만 나무는 그 마지막까지 이렇게 지극하다. 어딘들 진리가 없을까? 저 나뭇잎 속에 굽이 굽이 잎맥을 따라 흐르는 녹색의 피와 나무의 지극함 또한 진리의 모습이 아닐까?


* 담마曇摩: Dhamma 초기 경전인 팔리어 경전에서는 부처님의 말씀을 “담마를 설하셨다”, “부처님이 가르치신 담마”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경우 ‘담마’는 ‘가르침’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경우는 가르침이라는 의미보다 진리나 우주 현상, 바른 길 등 광범위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따라서 ‘담마’를 곧장 ‘가르침’이라는 치환하기보다는 그냥 ‘담마’로 번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의미가 좁아지게 될 수도 있다.)   

  

그런데 한자로는 거의 ‘법(法)’으로 번역해서 부처님의 담마를 ‘불법佛法’으로 번역한다.  ‘법法’이라고 번역하는 순간 의미가 한정되어 ‘담마’의 본 뜻을 드러내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좁은 의미로는 ‘부처님의 가르침’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그 함축적 의미에는 여러 다양한 뜻이 내포돼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진리라고 정의할 경우 사실은 조금 막연한 느낌도 없지는 않다. 

매거진의 이전글 오두막에 살고 싶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