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2024 천운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준식 Feb 02. 2024

문득 운룡매 이야기를 들으니 만물이 그와 같다.

溘聞雲龍梅之談萬物所與(합문운룡매지담만물소여) 

문득 운룡매 이야기를 들으니 만물이 그와 같다.


冬朝遇緣起 (동조우연기) 겨울 아침 우연히 연기를 만나니, 

茶香洩自寂*(다향예자적) 고요한데 차 향기만 몽글몽글.  

省勵滅分別*(성려멸분별) 돌이켜 분별심을 없애려,

奕攝初不明 (혁섭초불명) 모두 쥔 듯 하나 근본은 어둑하구나. 


2024년 2월 2일 아침. 어제저녁 페북에서 #운룡매 소식을 들었다. 이수디크라트 대표이신 #이미경 선생께서 지난해 그 자리에서 본 매화가 다시 꽃을 피웠다고 전해주신 것이다. 오전에 우체국을 핑계 삼아 한걸음에 달려가 매화를 보니 지난해 그 매화가 다시 꽃을 피웠다. 이 운룡매가 있는 곳은 진주교육청 뒤편, 아늑하고 정감 있는 찻집 #‘수류헌’이다. 수류헌을 예술공간으로 만드신 #김수동 대표께서는 이 매화를 꽃피우기 위해 한겨울 온 마음으로 매화를 지켜 마침내 이렇게 꽃을 피우게 하셨다. 아침 향기로운 차도 한 잔 내려 주셨다. 



꽃이 피는 순간은 우주가 열리는 그 순간과 다르지 않다. 생명체가 가진 가장 수승殊勝한 것을 이 순간에 집중시키는 것이니, 어찌 이 순간을 찬탄하지 않으리. 하지만 꽃은 반드시 진다. 이 또한 생명체의 순수한 본질이다. 꽃 피고 지는 그 절대의 순간을 함께 한다는 것, 그리고 그 순간을 기억한다는 것은 또 다른 생명체로써 우리가 가진 의무에 가깝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포섭하는 것은 역시 ‘연기’다. 



연기緣起는 범어 프라티트야삼무파다(pratītyasamutpāda)를 뜻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인연생기(因緣生起: 인과 연에 의지하여 생겨남, 인연 따라 생겨남)의 준말이다. 프라티트야의뜻은 '의존하다'이고 삼무파다(samutpāda)는 '생겨나다 · 발생하다'인데 한자 뜻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연기란 ‘그것’은 ‘이것’을 의존하여(조건으로 하여) 일어나는 관계에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잡아함경雜阿含經』에서 부처(석가모니)께서 이르기를 연기법緣起法은 자신이나 다른 깨달은 이[如來]가 만들어 낸 것이 아니며, 법계(우주)에 본래부터 항상 존재하는 [常住] 법칙[法]이라고 말하고 있다. 연기경(緣起經)에는 이 연기의 실체를 12 연기로 풀이하고 있다. 12 연기란 무명(ignorance)으로부터 시작하여 행(mental, formations), 식(consciousness), 명색(name and form), 6입(six sense gates), 촉(contact), 수(feeling), 애(desire), 취(attachment), 유(becoming), 생(birth), 노사(decay and death)의 위계를 말한다. 이 12 연기는 각각 순행(유전연기) 하기도 하고 또는 역행(환멸연기)하여 우리에게 드러나고 소멸해 간다.



* 洩을 ‘예’로 읽으면 ‘몽글몽글 피어오르다’는 뜻이 되고 ‘설’로 읽으면 ‘새다’라는 뜻이 된다. 

* 분별(심): 자신의 주관에 따라 사물을 나누는 태도 혹은 마음.  

매거진의 이전글 하늘빛 용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