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2024 천운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준식 Mar 24. 2024

어디 핀들 꽃이 아니랴!

何處發不能稱花乎!(하처발불능칭화호!) 어디 핀들 꽃이 아니랴!


堇菜堇紫色 (근채근자색) 보라색 제비꽃

途上隙孔發 (도상극공발) 도로 위 틈새에 폈네.

無生本無氣*(무생본무기) 본시 삶도 기도 없지만,

芒芴暫有華 (망홀잠유화) 뒤섞여 잠시 빛나고 있네.


2024년 3월 23일 토요일 오후. 차들도 사람도 다니는 길 사이 핀 제비꽃을 보다. 자동차 바퀴에, 사람 발에 금방이라도 짓이겨질 운명이지만 온 기운을 다 모아 찬란하게 꽃을 피웠다. 비록 잘 꾸민 화단도 한적한 산 길도 아닌 번잡한 곳에 잠시 형체를 드러냈지만 이 꽃이, 꽃이 아니라고 말하지 못한다.  


문득 ‘문부식’의 시가 생각났다. 어디 핀들/꽃이 아니랴/감옥 안에 핀다고/한탄하지 않고/갇힌 자들과 함께/너희들 환한 얼굴로 하루를 여나니/간혹/담을 넘어 들어오는 소식들은 밝고/짐승처럼 갇혀도/우리들 아직 인간으로 남아/오늘 하루 웃으면서 견딜 수 있음을……(‘문부식’ ‘꽃들’ 일부)


지난 1990년, 한겨레 신문 주관으로 열린 겨레의 노래(김민기 총감독)에서 ‘임준철’ 작곡으로 만들어진 이 노래는 당시 내 처지에 너무나 잘 맞는 노래였다. 34년 전 이야기지만 어제 일처럼 생생하다. 


* 『莊子』 ‘지락’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惠子가 조문하러 갔더니 장자는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이 광경을 본 혜자가 이렇게 말했다.


“아내와 함께 살면서 자식까지 키우고 함께 늙도록 年輪을 쌓다가 바로 그 아내가 죽었는데도 곡을 하지 않는 것은 그래도 괜찮으나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까지 하다니 너무 심하지 않은가!”


장자가 이렇게 말했다.


“전혀 그렇지 않다. 처음에 아내가 죽었을 때에 난들 어찌 슬프지 않았겠는가 만, 그 삶의 처음을 살펴보았더니 본래 삶이 없었고, 삶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본래 形體도 없었고, 형체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본래 氣조차 없었다.(중략)


저 사람이 천지의 큰 집에서 편안히 쉬고 있는데 내가 시끄럽게 떠들면서 사람들의 習俗을 따라 울어대는 것은 스스로 天命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여겼기에 그만두었다.” 


그 이야기에서 용사함.

매거진의 이전글 逍遙自適(소요자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