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그림은 Chat-gpt 3.5가 그린 그림
예술 교육에 대한 생각
1.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예술 교육
나는 예술 교과 교사가 아니다. 하지만 우리 교육 현장에서 갈수록 희미해져 가는 예술 교육의 현실을 생각해 본다. 이 땅의 왜곡된 사회 구조와 그에 따른 교육 구조에 의해 가장 왕성한 예술적(미적) 감흥을 가진 초, 중, 고 아이들에게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걱정이 단지 기우이기를 바라며 이 글을 쓴다.
19세기말 영국 출신의 수필가 ‘월터 페이터’(Walter Horatio Pater 1839~1894)는 “모든 예술이 음악의 상태를 열망한다”라고 말했다. (월터 페이터 모음집, 옥스퍼드 출간 Collected Works of Walter Pater, 2019) 사실 이 말은 좀 더 거슬러 올라가 18세기말에서 19세기 초를 살다 간 독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1860)의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의 내용을 인용하여 ‘페이터’가 좀 더 쉽게 풀어쓴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쇼펜하우어의 음악에 대한 견해는 음악에 대한 매우 중요한 진실이기도 하다.
그는 유독 음악에서만은 예술가가 다른 여러 목적을 위해 흔히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통하지 않고서도 청중들에게 직접 호소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건축가는 어느 정도 실용적인 목적을 같은 건축물로 스스로를 표현해야 한다. 시인이 사용하는 언어는 일상에서 오가는 대화에도 쓰인다. 그리고 화가는 대개 가시적 세계를 재현함으로써 자신을 표현한다. 그러나 오직 작곡가만은 자신의 의식에 따라 일상의 표현방법이 아닌 것을 통해 자유롭게 예술작품을 창작한다”라고 이야기했다.(『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쇼펜하우어, 곽복록 번역, 올재, 2021. 38쪽, 77쪽)
인문계 고교에서 예술 교과(음악, 미술로 한정한다.) 편성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교육 과정 편제로만 본다면 예술 교과는 다른 교과와 균형을 이루어 교육과정에 편성되어 있다. 하지만 학교 교육 현장, 특히 인문계 고등학교 현장에서 바라보는 예술 교육은 청소년기의 예술의 중요성이라는 측면에서 그 취지와 방향이 희미해져 가는 것도 사실이다.
내가 근무하는 학교의 2025년 신입생 기준으로 예술(음악, 미술) 교과는 1, 2학년에 걸쳐 총 10 단위를 이수하게 되어 있다. (학교마다 증감이 있을 수 있다.) 1학년에 학기당 3시간과 2학년에 학기당 2시간을 음악, 미술 교과가 편성되어 있는데 이 단위 수로 고등학교에서 이루려는 예술 교과의 목적에 도달하는 것은 사실상 희박해 보인다. 문제는 또 있다. 일부 학교에서는 예술 교과를 편성하고도 수업 시수의 문제로 예술 교과 교사 중 교사 수급이 어려운 과목을 대부분 시간 강사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내가 재직하고 있는 학교는 음악 교사를 전부 시간 강사로 하고 미술 교과도 일부 시간 강사를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시간 강사의 수업이 수준이 떨어진다거나 혹은 수업의 충실도가 떨어진다는 이야기는 분명 아니다. 이야기의 핵심은 예술 교과의 편제와 교사의 수급 상황이 예술 교과에 대한 여러 문제들을 잉태하고 있다는 것이다. 갈수록 이 문제는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교육청 별 전 과목, 및 전체 교사 인원 수급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 더하여, 중학교 교장 당시 작은 학교(전 학년 3~5 학급)였던 우리 학교에서 음악, 미술 교과 교사들은 반드시 몇 개 학교를 순회하여야만 했다. 순회 교사는 당연히 수업 시수의 문제인데 5일 동안 2~3개 학교를 순회한다. 교사의 여러 학교 순회는 당해 교과 교사에게 여러 가지 정신적 육체적 부담을 동시에 가중시켜 학교 수업의 문제뿐만 아니라 예술이라는 고유의 영역이 가진 특수성을 배려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우리는 음악과 미술 교과를 통해 우리 안에 내재된 예술적 감성을 일깨워 왔다. 즉 대다수의 우리는 공교육 체제가 제공하는 범위에서 최소한의 예술 감성을 키운 것이다. 아마 우리가 알고 있는 음악, 미술에 대한 대부분의 지식이나 감성은 학교 예술 교육과정의 결과로 얻어진 것이다.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 대한민국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중, 고교에서 이루어지는 예술 교육은 아이들의 예술적 감성을 일깨우기에는 제법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특히 현재 대한민국 중, 고등학교 중, 읍 면 지역의 학교 급 규모는 6 학급 이하가 60%를 육박하고 있다.(2013년 교육개발원 자료 참고, 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2013년 자료 밖에 없다. 아마 지금은 7~80%를 넘을 것이다.) 그중 3 학급 이하 학교 비율은 아예 통계도 없다. 그 3 학급 이하 중학교에서 4년 동안 교장을 하면서 본 아이들의 예술 교육은 현재 위기에 봉착해 있다. 그렇게 부실해진 예술 교육이 다시 고등학교에서 정상화 혹은 내실화되지 못한 채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 가는 것이다.
2. 초, 중, 고 예술교육 관련 예산 삭감
거기다가 이번 정부는 다음과 같은 일을 감행하고 있다. 정부는 2024년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예산을 전년 대비 50% 삭감한데 이어, 2025년에는 72% 삭감한 정부예산안을 제출하여 2년 동안 547억에서 80억으로 86% 삭감했다.(2025년 정부 예산안 및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홈 페이지 참고) 현재 우리 초, 중, 고 예술 교육의 현황을 단적으로 설명하는 대목이다. 이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은 읍 면 지역, 특히 면 지역 학교에 다니는 초, 중, 고 학생에게 예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써 학교에 다양한 예술 강사(음악, 미술, 무용, 공연 등)들이 직접 찾아오는 서비스였다. 물론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으나 본래의 목표대로 아이들의 예술적 감성을 일깨우는 데 크게 기여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현 정부는 이러한 예술 강사 사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강사들의 연대를 엉뚱하게도 교육 카르텔로 파악하여 2024년도 예산을 삭감하더니 내년에는 거의 삭감하여 예술 강사 사업은 이제 겨우 이름만 유지하게 되었다.
당연히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으로 해 오던 모든 학교의 사업은 내년에는 거의 멈출 것이고 그 과정에서 그나마 이 사업에 의해 사교육을 통하지 않고 다양한 예술 교육을 받아오던 면 지역 초, 중, 고 학생들의 예술 교육은 멈추게 될 것이다. 부수적으로 그동안 강사로 활동했던 강사들은 근로의 기회조차 잃게 될 것이다. 예술 교육이 다시 일부 계층의 전유물로 되는 단초를 이 정부에서 제공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희미한 의심조차 든다.
하기야 현 정부 교육부 관료들의 머릿속에 예술 교육이라는 가치가 있을 리 없다. 그보다는 자신들의 영전을 위한 상급 기관에 대한 눈치가 우선일 것이다. 매우 분명한 사실은 초, 중, 고 예술 교육을 통한 아이들의 풍부한 감성의 함양이 다가올 미래 교육의 중요하고 분명한 터전 중 하나일 것인데, 교육관료들이나 정부의 관료들은 아예 예술 교육에 대한 생각이 없거나, 학교 현실을 파악하지 못하거나 아니면 극소수가 독점하는 이전 시대의 예술 교육이 정상적이라 생각하는지도 모르겠다. 기타 사교육 문제는 다양한 이해관계가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다룰 수는 없지만, 예술 교육과 관련된 사교육의 거대 자본이 현 정부 정책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았을 것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 2008년 시작된 제도권 교육기관 내 예술과 공교육을 연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