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출판 b에서 가라타니 책이 나오면 일단 사게 된다. 지금까지 열 몇 권 정도 나온 거 같고 모두 사서 다 읽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책은 세계사의 구조. 터키 여행 중에 버스 안에서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제목이 잘 생각나지 않지만 그 외 몇 권의 책도 잘 읽었다. 물론 많이 아쉬운 책들도 있었다. 이 책 유동론도 그런 책 중의 하나다.
이 책에 나오는 저자의 문제의식은 이미 다른 책에서 숱하게 반복된 내용들이다. 결국 교환 양식의 네 가지 형태에 대한 이야기다. 네 가지 형태 중 교환 양식 D를 유동론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저자는 일본인 학자 '야나기타 구니오'의 '산인' 이야기를 사례로 든다. 비일본인인 나로서는 야나기타 구니오에 대한 기초 지식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저자의 이야기를 그저 듣기만 해야 된다. 굳이 요약하자면 이런 이야기다.
야나기타 구니오가 거기서(시바 촌) 발견했던 것은 평지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사랑', 즉 공동소유의 관념이었다. 나아가 중요한 것은 생산에서의 '협동 자조'였다. 그러한 것들은 그들이 화전과 수렵에 종사하고 있다는 점, 즉 유동적 생활로부터 유래하는 것이었다. P 75
시바 촌에서 야나기타가 놀랐던 것은 '토지에 대한 그들의 사상이 평지에 있는 우리들의 사상과는 다르기 때문'이었다. 그에게 귀중했던 것은 그들 속에 남아 있는 '사상'이었다. 산민이 가진 공동소유의 관념은 유동적 생활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 야나기타 구니오는 그 사상을 '사회주의'라고 부른다. P 78
일본인 가라타니는 교환 양식 D의 역사적 실증 자료를 일본에서 찾고 싶어 했고 그 적절한 사례를 야나기타 구니오의 오래된 글에서 발견했다. 1875년에 태어나 1962년에 사망했고 20 ~30년대에 주로 활동했던야나기타 구니오가 쓴 글들 - 민속학적, 인류학적 글들 -을 분석하면서 가라타니는 일본에서 새로운 사상의 단서를 찾고 싶어 했다. 읽다 보면 어느 정도 동의되는 측면도 있지만, 일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그리 재미있게 읽히지 않는다.
아무튼 다 읽었고, 이제 서재에 꽂아 놓는다. 아직 한 권 더 남았다. 읽어야 할 가라타니 고진 책이...
++
목차
제1장 전후의 야나기타 구니오 9 1. 전중에서 전후로 11 ‘일국 민속학’의 저항 l 나카노 시게하루와의 대담 l 농지개혁에 의한 좌절 2. 야나기타의 패배 24 전시 하에 쓴 ≪선조 이야기≫ l 오키나와로 향한 이유 3. 농민=상민의 소멸 32 요시모토 다카아키의 야니 기타론 4. 비 상민론 36 상민론에 대한 비판 l 아미노 요시히코의 작업 l 노마 돌 로지와 일국 민속학
제2장 산인 47 1. 근대와 근대 이전 49 ‘경세제민’이라는 이념 l 히라타 아츠타네의 신관이었던 친아버지 l 신토 와 민속학 2. 농정학 61 야나기타의 협동조합론 l 기근의 기억 l 우자와 히로후미의 경제학 3. 화전 수렵민의 사회 73 시바 촌의 ‘협동 자조’ l 산인의 사상
제3장 실험의 사학 81 1. 공양을 바치는 것으로서의 민속학 83 민속학과 민족학 l 하이네 ≪유형에 처해진 신들≫ 2. 산인과 섬사람 90 ‘고립된 섬의 고통’을 발견함 l 식민지 지배의 고찰 l 선주민과 농민 3. 공민의 민속학 103 야나기타는 ‘산인’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l 식민지주의에 대한 저항 4. 민속학과 사학 110 ‘농촌 생활지’와 아날학파 l ‘일국 민속학’의 조건과 가능성 5. 오오카미와 ‘작은 자’ 119 늑대에게서 본 유동성 l 신사 합사에 대한 반대 l ‘작은 자들’을 향한 시선
제4장 고유 신앙 129 1. 새로운 고학 131 신토의 원시형태에 관한 연구 l 야나기타의 노리나가 비판 l 고유 신앙과 불교 2. 고유 신앙 139 조상 혼과 살아 있는 자 간의 상호적 신뢰 l 호수제와 적대성 l 고유 신앙과 유동민의 사회 3. 조상 혼 신앙과 쌍계제 149 모계제를 향한 의심 l 모계인가, 부계인가, 쌍계인가 4. ‘장’으로서의 ‘이에’ 154 일본의 근저에 있는 쌍계제 l 혈연과 관계없는 ‘선조’ 5. 오리 쿠치 시노부와 야나기타 구니오 162 신토의 보편 종교화 l 유대교는 어떻게 호수적인 관계를 넘어섰던가 l 오리 쿠치는 선조 숭배를 부정하고 교조를 대망했다 6. 고유 신앙과 미래 170 신에 대한 두 종류의 신심 l 현실의 조상 혼 신앙에 입각했던 야나기타 l 인도에서 ‘고유 신앙’을 탐구했던 오로빈도
보론: 두 종류의 유동론 179 1. 유동적 수렵채집민 181 순수 증여와 호수적 증여 l 유동적 수렵채집민을 둘러싼 사고 실험 2. 정주 혁명 185 국가를 회피하는 호수제 원리 l ‘억압된 것의 회귀’로서의 호수제 3. 두 종류의 노매드 189 농경과 목축은 원도시에서 출현했다 l 유목민이 국가를 형성한다 l 노마 돌 로지로는 국가와 자본을 넘어설 수 없다 4. 야나기타 구니오 196 야나기타는 생애 전체에 걸쳐 정주 이전의 유동성에 몰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