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자유사색가 Mar 20. 2021

경제적 자유를 위한 돈 버는 사업 시스템 만들기

책리뷰 - 부의 추월차선 


현재까지 읽었던 책 중에 매우 인상깊었던 책 중 하나는 엠제이 드마코가 쓴 "부의 추월차선"이다.


현대인들이 아무리 힘들게 일해서 근로 소득(월급)을 받아보았자, 부동산이나 주식에 투자하여 벌어들이는 수익률에 비하면 너무나 미천하다. 회사에서 열심히 일하는 직장인들은 허탈감에 빠지기 쉽다.

효율성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은 최소한의 적은 노력으로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된다. 


시중에는 이런 시류에 맞춰 경제적 자유를 노래(?)하는 수많은 도서가 존재한다. 

하지만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짚어주는 책은 그다지 많지 않다고 본다. 


"부의 추월차선"에서는 내가 일하지 않아도(또는 조금만 노력해도) 돈을 벌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어떤 영역에서 준비하면 되는지 비교적 명확하게 제시해준다. 


이 책의 전체적인 내용과 구성도 좋지만, 책의 내용 중에서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돈 버는 How-to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돈 버는 사업 시스템 구축하기]

책에서는 '다섯가지 추월차선 사업씨앗'이라고 명명하고 있는데, 조금 풀어서 설명하면 어떠한 사업 영역에서

돈 버는 사업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고 보면 된다. 

돈 버는 사업시스템을 구축하는 이유는 내가 일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소극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소극도를 높이면 나의 시간이 많아지고, 그럼에도 시스템을 통해 수입은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기에 궁극적으로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1. 임대 시스템 (소극적 성적 : A)

가장 대표적인 임대시스템은 부동산이다. 

부동산은 소유한 이후, 최소한의 노력으로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고전적이고 기본적인 사업 시스템이다. 

물론 투자금이 많이 필요하기에 어느 정도의 자금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부동산 외에도 장비/차량 임대, 각종 로열티나 라이센스 등도 매월 반복적으로 수입을 창출할 수 있는 임대시스템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면, 특정 곡의 저작권을 소유하게 되면 곡을 사용하려는 사람들에게 로열티를 받을 수 있고, 생산공정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면 다른 회사로부터 라이센스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그 외에도 도서 인세, 사진 사용권(라이센스) 등도 임대시스템을 통한 소득이라 하겠다.


2. 컴퓨터/소프트웨어 시스템 (소득적 성적: A-)

인터넷을 통한 소프트웨어 사업시스템은 24시간 동안 동시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부동산을 통한 소득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윈도우를 창시한 빌게이츠,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을 만든 마크 주커버그 등이 대표적이다. 

한 번 만들어놓은 어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는 수백만명에게 복제하여 판매할 수 있기에, 한 번 만들어놓으면 소극적 노력으로 지속적인 소득을 가져갈 수 있다.


3. 콘텐츠 시스템(소극적 성적: B+)

인터넷 시대에서 사람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면서 살아간다. 

콘텐츠는 인터넷 등의 유통채널을 통해 수많은 사람들에게 확산되어 소비되면서 수익을 가져다준다. 도서 등 수많은 콘텐츠는 디지털로 제작되면서 과거에 비해 공급속도가 빨라지고 소비 대상도 급격하게 확대되었다.

책(전자책), 아티클, 만화, 영상 등 콘텐츠의 종류는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판매가 이뤄질때마가 투자대비 소득은 계속 늘어나 효율성이 계속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유사하다.


4. 유통 시스템(소극적 성적: B)

제품이나 서비스를 다수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유통 시스템은 콘텐츠, 소프트웨어 등의 다른 사업시스템과 결합할 수 있다. 기존에는 유통 대상이 오프라인이 대부분이었다면 디지털 시대가 되면서 디지털 콘텐츠 등을 유통할 수 있는 유통시장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유통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는 아마존이 있다. 아이폰의 앱스토어에서는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와 같은 디지털콘텐츠를 유통시키며 소득을 창출하고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유통 시스템에는 프랜차이나 및 체인점이 있다. 스타벅스도 매장의 콘셉을 복제해 여러 지역에서 커피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성공한 유통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5. 인적자원 시스템(소극적 성적:C)

인적자원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아닌, 사람(노동력)을 통하여 소득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이다. 인적자원은 24시간 운영할 수 없고, 변수도 많아 통제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래서 인적자원 시스템은 다른 사업시스템에 비해 소극적 성격이 낮기에 투자할 시간이 많아지게 된다.

그러나 사업의 규모가 커지면 어쩔 수 없이 소프트웨어 시스템, 유통시스템 등을 운영관리할 사람이 필요할 수 밖에 없다. 나 혼자 모든 일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인적자원을 활용해 사업의 소극성을 높일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코로나가 안겨 준 재택근무 체험기(3일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