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나의 시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van greene Nov 21. 2023

언어와 사고

질문이 있다.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


모르겠으면, 다음 질문으로 넘어가겠다.


‘사고가 먼저냐, 언어가 먼저냐?’


이건 조금 알겠다. 언어학자들이 갑론을박하는 대표적인 쟁점 중 하나로, 경우에 따라, 언어가 사고를 촉발시키기도 하고, 사고가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 내기도 하니, 양자택일 하기는 어렵다.(양시론 시전)


아래는,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언어와 사고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1. 이지메와 왕따 : 오래전 어느 종이 신문의 사설 면에서, 1990년 경 일본의 이지메라는 단어가 한국에 왕따로 번역되어 유입된 후, 학교에서 왕따 문화가 확산되었다는 일화를 봤다. 전에도 따돌림은 있었겠지만은, 특정 언어가 생김으로써, 사고를 형성시켰고, 실체로까지 이어졌다는 것이다.


2. 가스라이팅(Gaslighting) : 한국에서 가스라이팅이라는 단어가 통용된 것이, 불과 몇 년 되지 않았다. 그전에는, 무언가 기분은 나쁜데, 콕 찝어 표현할 단어가 없었기에 어렴풋이 감지하기만 했다. 하지만 그 사고를 표상하는 단어가 생기니, 인지하게 된다.


3. 저장 : 몇 년 전, 친한 친구 2명의 이름 앞에 ‘좋은 친구’를 붙여 저장해 봤다. 확실히 학번과 전공을 붙였을 때는 애착이 덜 갔었고, 수식어를 붙이니, ‘좋은 친구’라는 사고도 어느 정도 수반됐다. 누군가의 이름에 특별한 수식어(이모티콘)를 붙여주면, 잠깐 틀어져도, 수식어와 이모티콘이, 그 사람을 향한 미움이 넘치지 않게 방파제 역할을 해준다.


4. 알렝드보통 -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

 : ".... 갑자기 내가 클로이를 사랑한다기보다는 마시멜로 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 그러나 그 말은 너무 남용되고 닳고 닳아버린 사랑이라는 말과는 달리, 나의 마음상태의 본질을 정확하게 포착하는 것 같았다. ….. 나는 너를 마시멜로 한다고 말하자, ….….. 그때부터 사랑은, 적어도 클로이와 나에게는, 이제 단순히 사랑이 아니었다. 그것은 입에서 맛있게 녹는, 지름 몇 밀리미터의 달콤하고 말캉말캉한 물체였다."


문득, 마시멜로처럼 사랑이라는 단어의 유의어들이 몇 개 더 있으면 어땠을까 싶다. 그럼 사랑의 형태도 조금은 달라지지 않았을까(연인 사이에서도)


5. 자투리 시간 : 주요 일정 사이에 끼어있다고 생각하는 시간을 자투리라고 굳이 명하지 않는 것도 좋다. ‘자투리’라는 언어를 부여하면 아끼고 활용하고, 때로는 허비해도 되는 것 같은 사고가 수반된다. 근데 이동 시간도, 대기 시간도, 중요한 일정 사이의 모든 ‘틈’ 도, 실상은 한 치의 오차 없이 동일하게 흐른다. 나에게 이동하면서 흐르는 시간은, 하루 중 메모를 하기 최적화된 시간이다. 자투리 시간이 아니다.(걸을 때 뇌 회전이 더 잘됨)


6. 언어의 세분화 -> 사고의 세분화

2B, HB,4B, B, F, H... 연필심 종류다.  미대생들은 보면 차이를 분간할 것이다. 단어도 마찬가지다. 붉다. 붉그스름하다. 빨갛다. 시뻘겋다. 선홍빛….. 조금씩 다 다르다.(유의어라는 말도 결국 같지 않음을 전제한다.) 개인적으로, ‘언어의 한계는 세계의 한계다.’라는 비트겐슈타인의 말을 참 좋아한다. 어휘력이 풍부하면(외국어 포함) 사고력도 풍부해진다.



언어와 사고, 양자(兩者)가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을 인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굳이 선후관계를 따지자면, 대체로 언어가 선행하고 사고가 후행하는 것 같아서, 개인적으로 언어, 특히 입버릇에 유의하는 편이다.

피곤할 때, ‘피곤하다’를 입 밖으로 꺼내면 더 피곤해진다. 누군가를 싫다고 입 밖으로 말하는 순간 미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된다. 외면이 아니라, 굳이 증폭시키지 말자는 것이다. 부정적인 언어는 부정적인 사고로 직결된다. 그래서 입버릇처럼, ‘귀찮아’ ‘싫어’ ‘피곤해’ ‘짜증 나’라고 말하는 사람의 반경으로부터는 재빠르게 벗어나는 게 현명하다.


반대도 마찬가지다. 긍정적인 언어는 긍정적인 사고로 직결된다.


이를테면, 행복해서 웃는 것도 있지만, 웃어서(언어) -> 행복(사고) 해지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힘들다고 느껴질 때는 그냥 웃어보자. 그리고 긍정적인 말도 뱉어보자. 뇌는 즉각적으로 반응한다.

심지어, 사고가 부정적이더라도 의도적으로 그것을 긍정적 언어로 맞받아치면, 부정적 사고를 어느 정도 상쇄시킬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외모의 중요성과 활개 치는 외모지상주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