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병수 Sep 03. 2020

Material Matter 소재가 변화시키는 세상

변화를 꿈꾸는 체인지메이커 사전 04 - 소재 material 

*들어가기에 앞서

다시 오랜만에 찾아뵙습니다. 원래 Accessibility 이슈에 대해서 이번편에 한번 더 다루려고 하였으나, 현재 진행중인 전시 프로젝트와 연관성을 가지기 위해 우선 소재 먼저 다루기로 하였습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

00 들어가기
01 플라스틱 이슈
02 플라스틱의 대안


00 들어가기

플라스틱 에이지 Plastic Age 라고도 불리우는 시대입니다. 지난 2019년 환경운동단체인 그린피스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한국인 1명은 1년에 생수 페트병 96개와 일회용 플라스틱 컵 65개, 일회용 비닐봉투 460개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인이 1년에 쓰는 페트병은 49억 개로 세워놓았을 때 지구를 10.6바퀴 돌 수 있는 양이라고 합니다. 


국내에서도 2018년 쓰레기 대란 이후,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어났습니다. 그래서  언론 보도와 여러 자료등을 통해 한국의 플라스틱 소비가 얼마나 높은지 알려졌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문제점과 플라스틱 사용 현황보다는 플라스틱의 대안과 해외 여러 사례들에 중점을 맞춰 살펴보고자 합니다. 


01 플라스틱 이슈 

플라스틱은 사실 20세기의 기적의 소재라고도 불리웠습니다.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마우스, 키보드 자판모두 플라스틱입니다. 반도체 소자, 모니터 스크린, 자동차 내장제, 컴퓨터 부품 등 우리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있으며, 플라스틱을 쓰지 않았다면 혁신적으로 현대 문명이 발전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대량생산이 쉽게 가능하도록 만들었을 뿐더러 과학 발전을 위한 여러 소재에도 사용되었기 때문이지요. 

지금 제가 누르고 있는 키보드와 마우스 역시 플라스틱 입니다. 플라스틱은 당장 대체가 불가능할 정도로 우리 삶 모든 영역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플라스틱이 개발된 이후 여러 산업현장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어온 플라스틱이 지구상에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만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썩지 않기 때문입니다. 포장재로 자주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일종인 스티로폼(본 명칭 EPS 발포 폴리스티렌)의 경우 썩는데 500년이나 걸린다고 합니다. 일회용 기저귀는 450년, 낚시줄은 600년이나 걸린다고 하네요. 썩지 않는다면 어떻게든 처분을 해야하는데,  1950년부터 재활용 되어온 플라스틱의 비율은 약 9% 정도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나머지 79%는 매립되고 12%는 소각되었다고 하는군요. 하지만 토지가 무한하지않은 지구에서 매립자체가 지속가능한Sustainable 방식도 아닐 뿐더러, 매립된 플라스틱은 여러 독성 화학물질을 배출하여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하였습니다. 토양과 지하수 오염은 결국 사람에게 되돌아오게 됩니다.  


물론 썩지 않는 것은 대단한 장점이기도 합니다.  폐수처리를 위한 하수도 파이프는 대부분 PVC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데, 이 소재는 환경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저렴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하수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음식물 포장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음식물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고요. 그렇지만 우리는 플라스틱이 가져오는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최근 들어 언론 보도를  통해 더욱 섬뜩하게 다가온 미세 플라스틱을 알아보겠습니다.  


"바다에 있는 미세 플라스틱은 현재 우리 은하에 있는 별보다도 많다. 만약 현재 동향이 계속된다면, 2050년까지 우리 바다는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게 될 것이다" -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2018년 세계 환경의 날 기념연설 중 



미세플라스틱(학자마다 견해는 다르지만 통상 1mm 이내의 작은 입자 플라스틱) 과 같은 경우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는 심각한 원인으로도 지목받고 있습니다. 해양수산개발원에 따르면 전 세계 해양에 떠다니는 미세 플라스틱은 5조개 이상이라고 하며, 많은 해양 생물들이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을 먹고 있다고 합니다. 무서운 것은 사람이 이러한 물고기들을 먹고 있다는 사실이지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해양에서 검출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은 인간의 장기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플라스틱은 경제적인 효용성을 가지고 인류의 발전과 편리한 생활에 기여하였지만, 생각지 못했던 문제들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노력들을 '소재' 측면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NEXT

플라스틱의 대안과 해외의 여러 사례 











작가의 이전글 정보 접근성을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