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작가 May 21. 2017

임시완의 나쁜 짓

장그래 지우기는 끝났다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은 최근 한국 영화에서 유행하는 '두뇌 싸움'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친구>, <조폭마누라>, <가문의 영광>, <달마야 놀자> 등 한때 충무로에 조폭영화가 유행한 적이 있었는데, 요즘은 두뇌 싸움 열풍이다. 임금님이 추리를 하거나(임금님의 사건수첩), 대학생이 대출사기단이 되거나(원라인), 증거를 찾기 위해 감옥에 잠입하는 등(프리즌) 장르만 조금 다를 뿐 주무기로 쓰는 재미는 캐릭터 사이의 두뇌 싸움과 마지막 반전에 갇혀있다. 이러한 구조를 <불한당> 역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위에서 언급한 영화의 대부분은 트릭 자체가 허술했고, 그때문에 반전도 심심했다. 캐릭터는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당연히, 비슷한 재미를 준다고 해서 다 같은 영화라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특별시민>이 신선하게 '선거'를 소재로 했다는 이유로 어느정도의 호평을 받았듯이, 오픈빨이라는 것이 있다. 첫 시도는 칭찬하고 그 다음에는 달라야 하는 것이 예술의 몫이다. 상업영화도 영화니까.


관객들은 점점 더 새로운 것을 원할 수밖에 없다. 그와중에 <불한당>은 어땠을까. 조금이라도 달랐을까.


누군가에게 추천을 하지는 못하겠지만, 괜찮은 영화였다고 생각한다. 최근 변성현 감독의 트위터 발언이 문제가 되고 있어 영화의 흥행에 오히려 해가 되는 것 같아 안타까울 정도다. 강력한 오프닝, 독특한 카메라 워킹, 수많은 상징, 스타일리시한 미장센, 캐릭터 있는 조연 등 후반에 힘이 빠진다는 것만 빼면, 괜찮은 영화였다. 그중 가장 주목했던 건 임시완의 성장이다.


갤럭시8의 광고 카피 기억나는가. '완성이자, 새로운 시작' <불한당>에서 임시완은 그렇게 보인다. 완성이자 새로운 시작. <변호인>을 통해 고문을 당해 엄마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지 못하는 안쓰러운 연기를 제대로 보여준 임시완은 시작부터 잘했다. 제국의 아이들 멤버라는 수식어는 그때부터 떠오르지도 않았다. 그렇게 <미생>을 통해 장그래라는 인생캐릭터를 만난 임시완은 아마 드라마가 끝나고 나서부터 걱정하지 않았을까. '내가 장그래를 지울 수 있을까'


다른 영화에요. 왼쪽이 <원라인> 오른쪽이 <불한당>(출처: 네이버 영화)


그 이후에 선택했던 <원라인>과 <불한당>은 장그래를 지우는 작업의 일환이었다. 둘다 범죄물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원라인>은 코믹 요소가 들어가있다는 차이가 있다. 두 영화에서 천재적인 곱상한 청년을 연기하고 있는데, <원라인>에서는 밝게, <불한당>에서는 어둡게, 두 영역을 자유롭게 오가며 연기를 한다. 두 번의 나쁜짓을 연기하며 장그래를 확실히 지운 것 같으니 이제 지우개말고 새로운 연필을 찾았으면 좋겠다. 다음 작품에서는 '매력있는 캐릭터'를 연기해야 한다.


배우가 외모의 한계를 넘을 수 있을까. 이건 모든 연기자들의 고민일 것이다. 임시완은 두말할 필요없이 잘생겼다. 그래서 걱정이다. 많은 잘생기고 예쁜 배우들이 인생 캐릭터를 만난 뒤에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다. 문근영에게는 여전히 국민여동생이라는 꼬리표가 붙어있고, 심은경은 <수상한 그녀>, 정유미는 한여름. 배우가 가진 잘생기거나 예쁜 얼굴 혹은 귀여운 얼굴(그마저도 예쁜 것이지만!)은 연예인으로서는 매력이지만 배우에게는 한계가 되곤 한다. 위에서 예로 든 배우들은 평범하지 않은 얼굴 때문에 다른 작품에서도 비슷한 느낌을 준다. 그래서 임시완은 잘할 수 있을까. 일단 장그래는 지운 것 같다. 이제 자신이 어떤 색이든 마음껏 지웠다가 그릴 수 있는 도화지 같은 배우임을 증명해야 될 때가 임박했다. 그 다음 작품에서 임시완이 맡을 캐릭터가 기대된다.


+불한당 볼까 말까(3/5)

본다: 스타일리시하다. 놀라운 오프닝.

만다: 과하면 못하다 했거늘.



매거진의 이전글 이것도 영웅인가, <가후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