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작가 Dec 26. 2017

신과 함께는 누굴 닮았나

<신과 함께>는 메인스트림에 있는 웹툰이 아니었다. 아무도 다루지 않았던 한국의 저승관을 가지고 왔다. 예쁜 남녀가 나오는 로맨스도 아니고, 어마무시한 악인이 나오는 것도 아니며, 심장이 쫄깃해지는 액션이 나오는 만화도 아니다. <신과 함께>가 전에 없던 웹툰이 될 수 있었던 비결은 '전에 없던 시도'를 했기 때문이다. 오직 스토리의 힘만 믿고 말이다. 하지만 영화는 다른 길을 갔다.


<신과 함께>가 개봉하자 호불호가 갈렸다. 하지만 좋다, 나쁘다로 평이 갈린 게 아니라 '생각보다 괜찮다'와 '역시 별로다'로 갈렸다. 역시 별로라고 평을 한 사람들은 <신과 함께>를 전혀 다른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싶어한다. 그들에게 <신과 함께>는 진기한 변호사와 평범한 직장인 '김자홍' 덕분에 특별해지기 때문이다.


위에서 말한 웹툰 <신과 함께>가 특별한 이유, '평범함' 때문이다. 웹툰 <신과 함께>에는 특별할 것 없는 '김자홍'의 이야기가 메인이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사람을 구하다가 죽은 소방관 김자홍이 주인공이 되어버렸다. 평범함이 가지고 있었던 매력이 특별함으로 바뀐 상황. <신과 함께>의 팬들이 영화를 인정할 수 없다고 말해도 이해가 가는 부분이다.


영화를 연출한 김용화 감독은 "절심함"을 위한 선택이라고 했다. 영화는 2시간이라는 짧은 시간을 부여받았기 때문에 그 안에 절실함을 표현하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한다. 여기서 드는 의문이 그것이다. "절실함"을 표현해야 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상업 영화의 철지난 감성이다.


오랫동안 상업영화는 주인공의 절실함을 슬픔으로, 분노로, 기쁨으로 이야기로 만들어 열심히 팔았다. <국제시장>은 혹평을 받았고, <히말라야>는 뻔했고, <연평해전>은 망했다.


실험적인 웹툰이 영화가 되자 '상업영화'의 원칙을 답습하는 이야기로 바뀌었다. 하정우, 주지훈, 김동욱, 김향기의 연기는 훌륭했다. 그래서 안타까울 뿐이다. 연출자의 역할은 말그대로 연기를 끌어내는 것이다. <신과 함께>가 이렇게 된 내부적인 사정을 알지 못한다. 겉만 보고 말하자면 웹툰이 쌓아올린 <신과 함께>의 명성은 영화로 이어지지 못했다. 좋은 스토리를 가진 웹툰이 이렇게 저승길을 가니 영화계가 걱정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로운 일기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