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이라는 말은 결국 관계라는 전제 조건이 없으면 성립할 수 없는 개념이다. 독단적이라는 말은 관계라는 조건을 고려하지 않아야, 협력적이라는 말은 관계라는 말을 고려해야 정립되듯이.
한때 사회적인 인간이 되고 싶어 관계에 집착했던 적이 있었다. 난 관계의 정의와 범주에 대해 혼자 오판하여 관계의 범위를 너무 깊고 넓게 규정지어 버리고 다양한 사람들에게 접근하며 만남을 가졌다.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관계에 집착했으니 난 사회적인 인간이 되었을까. 역설적이게도 나의 사회성은 확장되지 못한 채 스스로 만들어 버린 관계의 감옥에 갇혀버렸다. 나의 사회성은 해가 갈수록 퇴보하고 있을 뿐이었다.
난 애초부터 관계의 정의와 범주를 잘못 규정하고 있었던 것이다. 각 관계의 본질은 엄연히 따로 존재한다.
가족 관계는 내 신체와 영혼을 내주더라도 반드시 지켜내야 하는 관계이다.
친구 관계는 분명 친밀하고 소중한 시간들이 응축된 관계임은 틀림없지만 가족보다 절대 우선시 될 순 없다.
동료 관계는 무지개와도 같다. 얼핏 화려하고 조화롭게 보이지만 결국 색과 색 사이엔 엄연한 경계가 있다.
지인 관계는 말 그대로 알고 지내는 사이일 뿐이다. 적당한 거리 두기가 오히려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사회성이 좋다는 건 결국 각 관계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이에 맞춰 지혜롭게 행동하는 것이다. 무조건 다가간다고, 친해지려고 노력한다고 사회성이 좋은 것은 아닐 터이다. 오히려 상처뿐인 마음이 남을 수도 있으니 말이다.
내 탓, 남 탓에 정신을 뺏기지 말고 나란 존재를 먼저 사랑해 주면 어떨까.
모든 사람이 나와 같을 순 없다. 모두는 고유하고 독립된 개별적 자아이다. 인정할 건 인정하자.
가까워지려고 구걸하다가 상처받지 말고 누군가가 먼저 다가올 수 있도록 나 자신을 브랜딩 한다면 내가 굳이 관계에 애쓰지 않아도 관계의 스펙트럼은 저절로 확장된다.
결국 향기로운 꽃이 벌과 나비를 유혹하는 법이다.
꿈과 친밀한 관계를 쌓는 게 먼저다. 꿈을 소홀히 대하지 말자. 꿈이 창조할 미래의 장밋빛 사회에서 난 사회성 좋은 인싸가 되어 있을 것이다. 물론 세상적인 인간관계가 좋아지는 것은 큰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덤으로 따라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