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신익 Jul 28. 2018

[영화 리뷰] - <인랑>

장르를 연출하는 김지운 감독의 능력만큼은

  어느 창작물이든, 타 작품을 각색한 작품이라면 그 원작의 영향을 작품 내적으로도, 외적으로도 상당 부분 받는 게 당연하다. 특히 그 원작이 뛰어나면 뛰어날수록, 작품 외적으로 그 무게감에 짓눌리기 쉽다. <인랑>은 그러기 좋은 위치에 있는 작품이다. 가뜩이나 실사화하여 수 많은 실패를 기록한 일본 애니메이션을 원작으로 삼으며 심지어 그 원작은 오시이 마모루 각본, 오키우라 히로유키 연출의 <인랑>이다. 허나 김지운 감독이라면, 장르 영화의 대가인 김지운 감독이라면 다르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기에 불안감을 가지면서도 기대를 잃지 않았다. 그래도 그 기대의 절반은 충족했으니 다행이라 생각해야 할까.

  냉정하게 말하자면 근래 김지운 감독의 필모그래피 중 <라스트 스탠드>를 제외하면 가장 별로였던 작품이었다. 구조적으로만 보면 이야기 자체를 잘 짜내었다고 생각한다. 기관 사이의 첩보와 암투를 다루는 작품인 만큼 각각의 이해관계, 그리고 그에 의한 상황 전개를 첨예하게 설정했고 이야기를 팽팽하게 만드는 데에는 성공한다. 특히 그것이 현재 한국의 배경과 맞물려 꽤나 그럴듯한 영화적 배경과 상황을 만들어내지만 이 영화에서 그런 부분들이 크게 빛을 보지 못하는 이유는 부실한 인물 묘사라고 생각한다.

  어느 첩보 영화에서든 인물은 체스판처럼 움직이지만 동시에 영화 안에 살아 숨쉬는 인물들이다. 특히 이 영화에서 행동을 하는 인물들은 소수이며 중간에 끼어버린 이윤희[한효주 분]를 제외하면 각 기관의 대표 격으로 등장한다.(임중경[강동원 분]-특기대, 한상우[김무열 분]-공안부, 구미경[한예리 분]-섹트) 특히 영화의 메시지가 '집단'에서 탈피해 스스로를 찾는 '개인'에 집중하는 만큼 인물 묘사는 충분히 이루어져야 했다. 물론 여지를 남기기는 했으나 조금은 부족한 느낌이다. 예를 들어 임중경과 이윤희의 로맨스는 서로를 만난 첫 장면인 케이블카에서 서로를 알아보는 행동과 당시의 연출을 통해 암시가 들어가긴 한다. 하지만 영화가 지나면서 각자의 목적이 드러나면서 그 암시가 덮혀버린다. 그렇다면 새로운 묘사가 들어가야 했지만 영화는 큰 그림의 싸움으로 이어져 나간다. 이런 식으로 영화는 인물을 단지 상황의 전개 이상으로, 이입할 만큼의 깊이를 충분하게 만들어내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긴장은 되지만 어딘가 맹맹한 느낌이 든다.

  하지만 그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김지운 감독의 연출력만큼은 충분히 인정받아야 하지 않나 싶다. 우선 근 미래의 한국이라는 영화 속 세계관을 시각적으로 잘 구현해냈다고 생각한다. 스토리상에서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단지 미래라서 상상력이 가득한 그런 것이 아니라 현실과 연계해서 그럴 듯한 풍경을 만들어냈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 속 한국의 모습은 현실같으면서도 어딘지 모르게 이질감이 느껴지는, 독특한 공간을 만들어냈다. 그렇기 때문에 단지 감독의 구상에 그치지 않고 이를 현실로 잘 꺼내와준 미술팀도 어마어마하지 않나 싶다.

  또 하나는 액션이다. 확실히 <인랑>은 액션 면에서 만큼은 평균 이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단순히 총격전을 성공적으로 보여줬다는, 기존 한국 영화에서는 보기 힘든 장면을 소화해냈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 영화는 전반적으로 액션을 잘 구성했다고 생각한다. 특기대의 총격전에서는 무게감에 중심을 두고 마치 공포 영화에 가까운 식으로 장면을 연출해낸다면 남산타워 등 평상시(!)의 액션 시퀀스는 육탄전과 총격전을 고루 섞고 공간을 영리하게 활용한다. 특히 예시로 든, 남산타워에서 주차장으로 이어지는 시퀀스는 총격전, 격투와 카 체이싱 등을 남산타워의 제약된 공간에서 시작해 점차 확장해나가는 식으로 구성해 다채로운 재미를 담아낸 시퀀스이며 아마 두고두고 회자될 시퀀스이지 않을까 싶다.

  정리하자면 보는 맛은 확실히 있는 영화다. 만약 이야기까지 받쳐줬다면 아주 뛰어난 영화가 아닐까 생각한다. 영화가 담고 있는 내용이나 메시지를 생각해보면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는 실패라 보기 어렵지만 영화로서, 시간이 부여된 이야기로서 구현되기 시작하면서 누락된 부분이 있지 않았나 싶다. 만약 이 이야기가 영화가 아닌, 소설이나 시나리오 그 자체와 같은 글로써 먼저 접했다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완성도 높은 이야기로 받아들였을 것 같다. 하지만 영화는 영화다. 제한된 시간 안에 그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영화로서 성공한 이야기로 이 영화를 보긴 어려울 것 같지만 동시에 영화이기 때문에 '보는 즐거움'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그렇기 때문에 이 영화를 반쪽의 성공, 혹은 반쪽의 실패라고 생각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 리뷰] - <미션 임파서블: 폴 아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