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무 위에 내리는 비 Jun 25. 2024

목우씨의 詩詩하게 살자(139)

제139편 : 김주대 시인의 '양말 여섯 켤레'

@. 오늘은 김주대 시인의 시를 배달합니다.


      양말 여섯 켤레
                              김주대

  한 주일의 고달팠던 발들이 널려 있다.
  발들이 걸어왔던 눅눅한 길을 햇살이 어루만져 주고 있다.
  월요일에는 저 가운데 하나가
  뽀송뽀송한 몸으로
  주인을 따라 길을 나설 것이다.
  - [그리움의 넓이](2012년)

  #. 김주대 시인(1965년생) : 경북 상주 출신으로 1981년 [창작과비평]을 통해 등단
  ‘페이스북’에 문인들의 초상화를 그려 올리는 바람에 ‘문인화가’ 또는 ‘SNS 시인’이란 별명을 얻음
  이념의 지향이 뚜렷해 매스컴에 종종 오르내리곤 하는데 아마 그런 일로 아시는 분 꽤 되실 겁니다.




  <함께 나누기>

  요즘 비가 오지 않으면 세탁기에서 꺼낸 빨래를 빨랫줄에 넙니다. 건조기 있는 집에선 그걸로 말리면 되지만 우리는 그냥 빨랫줄에 널 뿐. 다른 옷은 모두 집게에 찝어 널면 되지만 양말은 그렇지 못합니다. 한 번 널 때 열 켤레쯤 되니까 빨래집게 수가 감당 못하니까요.
  그래서 꾀를 낸 게 울타리에 유자철선(有刺鐵線) 한 줄 짧게 달아 그 가시마다 양말을 꿰 답니다. (유자철선은 가시가 돋친 철사줄로 일정한 간격마다 날카로운 가시가 달려있어 예전에 도둑 막으려 담장 위에 쳤던 그 철선입니다.)

  시로 들어갑니다.

  “한 주일의 고달팠던 발들이 널려 있다”

  누구나 다 양말을 신지만 오늘 시에서의 양말은 노동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양말 주인공의 ‘고달팠던 발’, 한 주일을 그냥 편하게 일한 사람이 아닌 힘든 노동을 한 사람처럼 보이니까요.

  “발들이 걸어왔던 눅눅한 길을 햇살이 어루만져 주고 있다”

  ‘눅눅한 길’을 걸어온 두 발의 주인공, 얼굴을 보지 않아도 수염 제대로 자르지 못하고 땀에 전 작업복 걸친 사람입니다. 다만 힘든 삶의 여정에 그래도 위안이 있습니다. 바로 눅눅함을 곱게 펴주는 햇살. 그 햇살로 양말은 뽀송뽀송 마르겠지요.

  “월요일에는 저 가운데 하나가 / 뽀송뽀송한 몸으로 / 주인을 따라 길을 나설 것이다”

  제목 여섯 켤레를 생각해 봅니다. 날마다 씻어 말리지 않고 엿새 동안 미뤄뒀다가 한꺼번에 처리합니다. 양말의 주인공이 게으르다고요? 아닙니다. 평일엔 새벽에 나가 저녁 늦게 돌아오니 빨 시간이 없다는 표현이 맞겠지요.

  고달팠던 한 주일의 눅눅한 양말을 말리는 햇볕. 그 따뜻함에 왠지 모를 희망이 보인다면 그것도 덤이겠지요. 이왕이면 하루하루 각기 다른 빛깔의 양말로 갈아신듯이 우리네 삶도 이렇게 아기자기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시인의 시 한 편 더 배달합니다.

    - 특수상대성 -

  빛의 속도에 이르면 시간이 느려지는데
  우리의 그리움은 언제나 광속을 넘는다
  우리가 늙지 않는 이유이다

  *. 첫째와 둘째 모두 시인이 그린 그림입니다. 첫째는 오늘 시에 맞는 그림이고, 둘째는 시인의 그림 가운데 제 눈에 가장 깊이 들어온 작품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목우씨의 詩詩하게 살자(138)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