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꿈을꾸다 Oct 20. 2023

미니멀리즘 도전 1단계: 한 놈만 잡아보기!

한 곳만 정리한다면, 어디를?

미니멀리즘에 도전한다고 마음은 먹었지만, 다른 사람에게 말하기 조심스러웠다. 다른 사람들이 나의 공간을 보고 나면 “이게 미니멀리즘 도전 중인 공간이라고?”라는 의구심을 갖거나 “이런 상태인 사람이 미니멀리즘 도전기를 쓴다고?”라고 비난을 할까 두려웠다. 그러다가 생각을 바꿨다. 미니멀리즘에 다가가기 쉬운 방법에서 언급했지만, 나는 나의 속도로 나의 방식대로 도전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다른 사람의 미니멀리즘 모습과 나의 현실을 비교하며 좌절하거나 위축되지 않겠다고. 


어쨌거나 미니멀리즘에 도전한다고 해서 하루아침에 집에 있는 물건을 몽땅 갖다 버릴 수도 없다. 육아든 직장 생활이든 살림이든 일상을 살아내기도 바쁜 중에 집을 온통 헤집어 놓을 수도 없다. 시작이 반인데, 그 시작에 모든 것을 끝내려 조급해하면 끝까지 갈 수 없다. 시작하는 것과 그 시작에서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과정이 쌓여야 미니멀리즘 도전에도 빠져들 수 있다.


그래서 도전 1단계는 단 하나의 공간, 딱 한 놈만 잡는 것이다. 


딱 한 놈.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오로지 1곳만 정해서 최소 일주일 이상 정돈된 상태를 유지해 본다. 식탁, 수납장, 조리대처럼 방심하면 순식간에 짐이 쌓이는 공간이라든지, 아이 놀이 공간이나 침대 주변도 좋다. 아주 작은 공간이든 거실 전체처럼 넓은 공간이든 상관없다. 다만, 도전 성공을 통한 성취감을 쌓아가려면 처음에는 작은 범위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 그래야 정리하는 시간이나 에너지가 크게 필요하지 않아 부담도 적다. 일단은 부담이 적어야 시작하고 유지하기가 쉽다. 정리하기 전에 느끼는 부담감이 클수록 습관이 되기 어렵다.


한 놈을 잡고 정리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그 영향이 다른 곳으로 퍼지기 시작한다. 한 곳을 치우고 나면 다른 곳도 치우고 싶어지고, 치우는 요령이 쌓여간다. 물론 물건을 쌓아두는 위치만 바뀔 수도 있다. 여전히 다른 공간은 어수선하고 엉망진창일 수도 있다. 그러나 최소한 한 곳이라도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다 보면 다른 곳도 정리할 힘도 생기는 날이 온다. 눈에 확 들어올 정도로 확연히 달라지는 모습이나 빠르게 달라지는 모습을 기대한다면 실망도 커진다. 실망 경험이 아니라 성취감 경험을 쌓아가는 것이 도전 1단계의 핵심이므로, 다른 공간은 조금 흐린 눈을 뜨고 봐도 괜찮다.



나는 식탁을 한 놈으로 잡았다. 식탁 위는 절대적으로 여백의 미를 지키려고 애썼다. 습관적으로 올려두던 각종 물건이나 광고지 등 잡다한 것을 바로 치웠다. 버릴 것은 버리고 보관해야 하는 것은 그것이 있어야 할 자리로 옮겼다. 각자 있어야 할 자리가 다 있기에 그 자리를 만들어주고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여전히 조금만 게으름 피우거나 방심하면 식탁 위는 정글이 된다. 식사하기 전에 식탁에 있는 물건을 정리하다 보면 한숨이 절로 나왔다. 그래서 무슨 일이 있어도 식탁 위는 언제든지 여유롭게 식사를 할 수 있게끔 비워두자고 다짐한다. 신기하게도 아이도 식탁 위가 어수선할 때는 자꾸 무언가 올려두지만, 깔끔하게 정돈된 식탁에는 그러지 않는다. 그러니 더욱 치우지 않을 수가 없다.


최소 일주일이다. 목표로 하는 기간을 달성하고 나면 나를 위한 보상을 해도 좋다. 작심삼일을 두 번만 해도 얼추 일주일을 채울 수 있다. 식탁 위라는 하나의 공간을 통해 성공하고 나면 주방 조리대나 싱크대로 넓혀가도 좋고, 부엌이 아니라 다른 공간으로 넘어가도 좋다. 이렇게 하나씩 넓혀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미니멀리즘의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다음 단계는 무엇일까. 

다음 글은 미니멀리즘 도전 2단계에 대해 써봐야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미니멀리즘에 다가가기 쉬운 3가지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