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는 정신과 의사 Nov 26. 2020

잠옷의 단추 하나도 만들어내지 못하는 내가

당신이 위로되었다 말해준다면, 계속 쓰고 싶다.




  즐겨 보는 웹툰 ‘당신의 과녁’의 한 장면. 화자인 신부가 친구인 주인공에게 다음과 같이 독백한다.

  “요즘 사람들이 종교인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거 안다.”
  “모순된 행동이나 발언을 하고, 사회에 물의를 일으키며, 때론 범죄를 일으키기도 하니 당연하지.”

  “그렇지만 엽아.. 그래도 나는 성직자다.”
  “나는 아무것도 만들어 내지 못하는 인간이다. 이 옷의 단추 하나 마저도 말이야.”

  “내가 할 수 있는 건 그저 사람들 마음의 평안이나 안식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뿐이다.”

(네이버 웹툰, ‘당신의 과녁’, 31화 중)


  글을 쓴다는 것은 꽤나 부담스러운 일이다. 의도와 진심을 어떻게든 꾹꾹 눌러 담아도, 그 글이 어떻게 다가갈지는 전적으로 읽는 이에게 달려있기 때문이다. 세상에 한 번 던져진 글은 이리저리 가공되고 와전되어 오해되고 냉소받기 일수다.

  심지어 달라진 세상과 어긋난 몇몇 책이, 제목만으로도 그 책을 읽지 않은 이들에게까지 이리저리 조리돌림을 당하는 모습을 보면 얼마든지 나의 글도, 나 자신도 그러한 상황에 놓일 수 있겠구나, 하고 섬짓할 때마저 있다. 쓴답시고 이래저래 번잡한 마음 없이 차라리 조용히 나의 업을 묵묵히 이어가는 것이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들 때도 종종 있다.

  아마 쓰는 사람들이라면 공감하겠지만, 경제적이든 사회적이든 애초에 쓴다는 행위로 말미암아 스스로에게 주어지는 실제적인 이득은 미미하다. 읽히지도 않을 글들을 쓰느라 머리를 쥐며 보냈던 시간들을 최저시급으로 환산한다면 지금까지 받은 인세며 강의료를 다 합친 것의 열 배, 아니 스무 배는 되지 않을까 싶다. 그나마도 출간을 할 수 있었다는 과분함 덕이었다. 그 기회조차 세간 사람들이 궁금함을 많이 가지는 정신과 의사라는 직업의 덕을 여러모로 보았음을 잘 안다.

  그래서 자주, 이만하면 되었다, 라는 생각이 든다. 이제 좀 더 생산적이고 효율적으로 나의 시간을 활용해 보면 어떨까, 이만하면 원 없이 써 보았으니 그만해 볼까, 그런 생각들.

  그런데 그런 생각이 들 때쯤이면 늘 이런 댓글이 마음을 두드린다. 두드려진 마음에는 단어가 떠오른다. 그런 날이면 아이가 잠든 후에 노트북을 켜고, 이것저것 써 본다. 입고 있는 잠옷의 단추 하나도 만들어 내지 못하는 나, 바이탈과를 하는 멋진 동기들처럼 죽음에 임박한 사람의 멱살을 끌어 다시금 세상으로 데려오지도 못하는 나, 그런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그저 이런 것들이다.

  스스로가 먼저 느꼈던, 마음이야기가 주는 평안과 안식을 누구보다 잘 알기에 그 느낌을 함께 나누고 싶다, 그런 마음으로 쓴다. 나에게는 단순한 자기만족, 개인의 직업적 기능과 효용에 대한 확인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당신에게 내가 먼저 접했던 그러한 위로를 줄 수 있다면, 읽은 당신이 그러했다 말해준다면, 앞으로도 나는 계속 쓰고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한때 가난했다고 하여, 가난을 예찬하지 말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