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olievibes Aug 27. 2024

살다보니 무엇이 있진 않았다

잠이 오지 않는 밤. 분명 생각이 휘몰아쳐서겠다. 이런 날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억지로 잠을 청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잘 먹고 잘자야 기운을 차릴텐데. 내 마음이 괜찮은지. 토닥토닥 쓰담해주는게 먼저다. 


이 밤 혹은 새벽에 멀뚱멀뚱 깨어있는 순간이면, 헤르만 헤세의 <밤의 사색>이 떠오른다. 깨어있다고 더더욱 특별한 걸 하지 않는다. 글쓰기를 시작하거나 자세를 바르게 하고 눈을 감거나 책을 읽거나. 이토록 시시할 수 없다. 그러나 내겐 이토록 고요한 시간일수가 없는. 그런 순간순간이다. 


방랑자. 이 밤 불현듯 떠오른 단어 하나. 어젯밤 공원을 걸으며 들었던 성시경의 노래 제목이라서 자연스레 연상된 거 일수도 있겠다. 그 이유때문만이 아니라도 나는 평소, 정말이지 나란 사람. 방랑자가 아닐까. 방랑자 같은 삶.이라고 생각하곤 한다. 방황하는 삶이기도 하고 방황하는 사람이었고 지금도 그렇고 방랑자임에 틀림없다. 


국어사전을 찾아봤다. "정한 곳 없이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사람." 정한 곳이 없는 것도 맞고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것도 맞다. 꽤 오랜 시간 한 곳에 산 적도 있었지만, 서른이 넘어서는 정말이지 나는 역마살이 강한 사람이 아닐까.했다. 실은 그 역마살도 내가 만든 것이겠다. 나는 정처없이 떠나기도 했다. 안정된 삶이란 게 있을까. 어느 방식으로든 해석하기 나름 아닐까. 떠도는 삶이라고 해서 무엇이 다를까. 무엇이든 사는 사람 마음일 것이다. 선택은 사는 사람 마음일 것이다. 


내 마음이 안정되고 평화로우면 내가 사는 세상도, 사람도 안정되고 평화로워보이고 아름다워보인다. 내 마음이 지옥이면 내가 사는 세상이 이토록 불안정하고 어둡고 잔인하고 불친절하게 보인다. 무엇이든 내 마음에 달렸다.는 건 분명하다. 마음도 내가 아니니.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 것이 모든 면에서 이롭다. 하루에 여러개의 글을 쓴다는 건 둘 중 하나다. 내 마음이 편안하거나 내 마음이 불안정하거나. 음과 양의 조화처럼. 


어쩌자고 이 새벽. 방랑자에서 시작된 밤의 사색이 또 다시 삶의 통찰로 이어지게 되는 것인가. 습관처럼 내 사유의 흐름은 이런 방식이 된다. 글이 절로 써진다는 건, 이런 것도 있다. 내 안의 무언가를 달리 혹은 도저히 어떻게 할 수 없어, 해결할 방도가 없어, 풀어낼, 쏟아낼 방법이 글쓰기 뿐이라는 것. 정말이지 그러하다. 이럴땐 글쓰기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백팩에서 주머니 보따리 하나를 꺼내 그 짐을 던 느낌. 가방이 훅 가벼워진 느낌이랄까.


살다보니 무엇이 있진 않았다. 거창한 그 무엇이 있진 않았다. 삶이 이런 것이거늘, 내 계획대로, 내 마음대로 되는 것이 아니거늘, 나는 왜 이토록 인생을 심각하게 생각했는지. 그 시절 서른이 되면, 마흔이 되면 꼭 무언가가 있을거란 큰 착각을 했던 걸까. 기대를 했던 걸까. 집착했던 걸까. 


아쉬움 그리고 안타까움이 있다. 나는 결코 대단한 사람이 아니었는데 무언가 대단한 잠재력이 있을거라 착각했을까. 기대했을까. 그 기대와 착각이 그 시절 날 아프게 했는데 말이다. 그 집착이 스스로를 제대로 보지 못하게 했고 눈을 가렸다. 그땐 왜 몰랐을까. 이 또한 어쩌겠는가. 받아들이는 수밖에. 달리 방도가 없다. 


무엇이 있진 않았고 실은 무엇이 있지 않아도 되는 거였다. 나는 무엇이 아니었고 나는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었다. 나는 무엇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무튼, 이 밤 나는 무엇을 붙잡고 있는가? 무슨 이야기가 스스로에게 하고 싶은걸까? 어떤 일이 일어나도, 무슨 일이 일어나도 나는 나 자신을 놓지 않을 것이다. 단 한 번 뿐인 내 삶이니까. 여기에 온 이유가 있을 거니까. 


다음생에 다시 태어나고 싶어? 혹은 한 번 더?라는 질문을 받게 된다면, 다시 태어나고 싶지 않다.고 말할 것이다. 실제 마음이 그러한데, 다시 태어나고 싶지는 않다. 한 번이면 족할 뿐. 그런 마음으로 살아가면 되겠다. 씩씩하게.라는 말이 자꾸 나오는 걸 보니. 이 말이 이토록 하고 싶었던 구나. 그런 내 안을 들여다보고 꼬옥 안아준다.   

작가의 이전글 어린이는 시인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