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신호등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주해 Feb 21. 2018

블랙 아이스 위에서 미끄러진다면,

운전대를 돌려야 하는 방향은?

겨우내 운전자를 가장 많이 위협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도로 위에 쌓인 눈길을 헤쳐 나아가는 것도 있을 테지만, 사실 가장 위협적인 것은 도로 위의 블랙 아이스입니다. 블랙 아이스는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운전자를 위험에 빠뜨립니다. 최근 대형 사고의 원인이기도 한 블랙 아이스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랙 아이스요? 일반적인 얼음 어는 것과 똑같아요. 

일반적인 얼음 만들어지는 것(어는 점)과 똑같습니다 다만 블랙 아이스에는 더러운(?) 게 첨가(?) 됩니다. 일단 아스팔트 구정물이 있을 거고 도로 위의 기름때, 먼지 등이 도로 표면에 스며들어 표면 온도가 0도 이하일 때 생성됩니다. 생성된 얼음 색깔은 아스팔트 색과 비슷해 도로처럼 보입니다. 보호색을 띠는 블랙 아이스는 운전 중에 알아차리기 쉽지 않아 큰 사고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언제, 어떻게 생기는지 알면 도움이 됩니다.  

사실 운전 중 블랙 아이스를 알아보는 건 쉽지 않습니다. 운전 중 이것저것 신경 쓰며 방어운전하기도 바쁘니 말입니다. 때문에 블랙 아이스를 조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블랙 아이스가 언제, 어떻게, 어디에 생성되는지를 알아두는 것입니다. 


추적추적 겨울비 내리는 도로 표면 온도가 0도 이하일 때 블랙 아이스가 가장 많이 생성됩니다. 또한 오늘처럼 눈이 내리고 난 뒤, 눈이 녹으면서 도로 표면에 스며든 수분이 얼어붙어 블랙 아이스가 생성되기도 합니다. 블랙 아이스는 기온이 가장 낮은 일몰과 일출 시 순식간에 얼어붙어 운전자를 위협합니다. 겨울에는 언제든 블랙 아이스를 맞닥뜨릴 수 있다는 것을 염두 해야 합니다. 




블랙 아이스가 자주 발생하는 곳은? 

블랙 아이스는 기온이 낮은 시간대에 자주 발생하며, 특히 육교 밑, 터널 양 끝 지점, 나무로 둘러싸인 도로, 다리 위아래 등은 항상 조심해야 합니다. 다리 위는 지열이 없기 때문에 블랙 아이스가 생기기 딱 좋은 환경입니다. 그리고 겨울철, 해안도로는 굉장히 위험할 수 있겠죠? 도로 주변에 물(수분)이 있는 곳은 서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속도를 줄이세요. 

블랙 아이스가 보인다면 액셀러레이터에서 발을 떼고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스티어링 휠을 양손으로 단단히 잡고,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부드럽게 지나가는 게 좋습니다. 속도가 줄어들면 타이어 접지력이 향상됩니다. 일반적으로 블랙 아이스 범위는 1km를 넘지 않습니다. 속도를 줄이면 충분히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습니다. 



당황하지 말고~ 부드럽게~ 

만약 운전 중 정면에 있는 블랙 아이스가 보인다면 당황하지 말고 차분하게 지나가거나 피할 수 있다면 천천히 피해 지나가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만약 블랙 아이스 위를 지나가야 한다면 최대한 얌전하게 얼음 위를 지나가야 합니다. 당황해 급 브레이크를 밟아서는 안됩니다. 스티어링 휠(핸들)을 양손으로 똑바로 잡고 천천히 지나간다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습니다. 차량 뒤쪽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미끄러지는 게 느껴진다면 스티어링 휠(핸들)을 같은 방향으로 천천히~ 부드럽게 돌려야 합니다. 대부분의 운전자는 미끄러지는 순간 스티어링 휠을 반대 방향으로 돌리게 되는데, 이 경우 오히려 다른 방향으로 더 튀어나갈 수 있습니다. 



미끄러지면 어쩌죠? 

상상하기 싫지만, 대부분의 블랙 아이스는 눈에 잘 띄지 않아 미끄러지는 사고가 자주 발생합니다. 무엇보다 서행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만약 블랙 아이스로 인해 미끄러지게 된다면 아래와 같이 대처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ABS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에는 브레이크에 꾹 밟고 있어도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동안 브레이크가 알아서 대처를 해줍니다. ABS가 없는 차량의 경우 현실적으로는 매우 어렵겠지만 브레이크를 부드럽게 밟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VDC와 같은 차체자세제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많은데요. 이 차량의 경우 스티어링 휠만 잘 잡고 있으면 시스템이 알아서 미끄러짐으로부터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만약 운전자가 당황해 스티어링 휠을 미끄러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더 큰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운전은 침착하게 그리고 방어운전 

사실 머리로는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막상 상황에 맞닥뜨리게 된다면 누구나 당황하고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게 현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되도록 천천히 운전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비상등 켜서 다른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려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오늘도 아무 사고 없이 즐거운 운전 하시길 바랍니다. 



카룻의 같이 읽으면 유익한 글

야간 운전, 뭣이 중헌디? 초보운전자를 위한 야간운전꿀팁

2018년 도로교통법이 또 개정된다고? 불필요한 범칙급 납부 스튜핏!






매거진의 이전글 첫 차를 망치는 나쁜 습관 8가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