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포와 대전차포 등으로 무장한 공격헬기, 전장에서 공격헬기는 상륙 작전 시 상륙 지역의 위협에 맞서 직접적이고 정확한 공중 지원을 제공하고 적의 장갑차, 전차 등을 파괴하는 대전차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다양한 역할을 하는 공격헬기는 보병들의 든든한 백업이 되는 중요한 전력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격헬기는 상륙작전을 핵심으로 하는 해병대에게는 필수 무기체계다. 실제 지난 2014년 해병대에서도 병력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데 꼭 필요하다며 공격헬기 도입을 확정했다. 하지만 이 공격헬기의 국내 개발과 해외 수입을 놓고 방사청과 해병대의 의견 차이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수송 헬기 무장해도 충분해
국내 개발 고집하는 정부
현재 방위사업청은 이르면 다음 달 국산 상륙 기동헬기 마린온에 무장과 장갑을 탑재한 마린온 무장형, 즉 병력 수송용 헬기를 공격헬기로 개발하는 계약을 맺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해병대는 병력 수송용 헬기인 마린온은 공격헬기로 적합하지 않다며 이를 반대하고 있다.
마린온은 해외의 공격전용 헬기 바이퍼나 아파치와는 달리 병력 수송이 주 목적이기 때문에 조종석이 좌우로 넓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적의 공격에 취약하고 수직 상승 속도와 무장 탑재력 등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에 이승도 전 해병대 사령관 역시 공격헬기 다운 헬기가 필요하다며 마린온 무장형 도입을 반대했다.
일자리 창출하려고 무기 개발하나?
전력 강화와 병력 안전을 뒷전
방사청과 무장형 마린온을 개발하는 KAI는 마린온 조종석에 방탄판을 추가하고 동력 계통을 바꿔 수직 상승 속도를 높일 수 있다며 마린온의 공격헬기화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도 공격헬기를 국내에서 개발하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고 수출 등 경제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김영수 국방권익연구소장은 국가 안보를 위한 판단이 먼저 들어가고 거기에 추가적인 정책적 판단이 들어가야지 정책적 판단이 우선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며 정부의 입장을 비판했다. 무기 개발의 핵심은 군의 전력을 강화하고 임무를 수행하는 군인들의 생존가능성을 높여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러한 입장은 무기 개발에 따라오는 경제적 이익과 같은 부수적인 이익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기술이전 현지생산에 긍정적
마린온으로 만들 이유가 없다
한편 미 해병대에 주력 공격헬기 바이퍼를 생산하는 미국 벨(Bell)사는 자사의 공격헬기에 대한 기술이전 현지생산 방식에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된다면 우리나라가 미국으로부터 공격헬기를 수입해도 그에 대한 의존도는 낮출 수 있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직접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해병대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 ‘차라리 국산 공격헬기를 새로 개발해야지 마린온을 무장화 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애초에 결이 다른 헬기를 가지고 만든다는 게 이해가 안 간다’ 등 마린온 무장화를 반대하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앞서 말했듯 무기 개발의 핵심은 경제적 이익 창출이 아니라 전력 강화와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것임을 명심하고 정부가 국익 군인들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결정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