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밀리터리샷 Jan 11. 2021

지금 가장 많이 팔린다는 국산차의 놀라운 첫 출시 모습

출처 - 보배드림


누구에게나 처음은 있는 법이다개구리에게는 올챙이 시절이스타에게는 신인 시절이작가에게는 첫 작품이 있다이는 자동차 시장에도 대입할 수 있는 말이다현재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잘 팔리고 있는 모델들에도 가슴 떨리던 첫선이 존재했다


오늘 소개할 7종은 출시 당시에 나름 혁명적인 디자인과 사양을 선보이며 사랑받았던 모델들이다그리고 그 사랑을 바탕으로 현재까지 명성을 지키며 잘 팔리고 있는 차들이기도 하다오늘은 누구나 이름 한 번 들어봤을 법한 국산차들의 출시 당시 모습과 특징에 대해 면밀히 알아봤다.

현대차 
포터


포터는 현대자동차에서 1977년에 내놓은항상 판매권 상위에 올라 있는 이른바 ‘국민 트럭’이다. 쟁쟁한 승용차들을 제치고 판매 1위를 차지하기도 하는 포터는 높은 연비와 성능으로 인기를 끌었다포터는 포드 트랜짓의 프레임을 바탕으로 일본의 상용차를 참고해 현대차가 독자 개발한 고유모델이다


당시 소비자들은 보닛이 없고 앞바퀴가 앞 좌석 아래에 위치한 구조 덕분에 회전반경이 짧아서 좁은 골목을 활보하기 좋다라고 평하며 포터를 애용했다게다가 튼튼한 프레임 구조를 갖춰 과적 시에도 차체가 잘 버티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한 트럭으로 거듭났다.

현대차 
그랜저


당시에 ‘각 그랜저’라고 불릴 만큼 각진 올드카 느낌을 제대로 뽐내는 1세대 그랜저는 현대차와 미쓰비시의 첫 합작품이다그랜저는 1986년경 등장하자마자 당시 경쟁 모델이었던 대우 로열 살롱 슈퍼를 밀어내고 국내 대형차 시장에서 우위를 점했다초창기에는 5단 수동변속기만 존재했다가 후에 국산차 최초로 록업 클러치가 장착된 전자 제어식 4단 자동변속기를 선보여서 더욱 이목을 집중시켰다.


출시 이후 그랜저는 부와 성공의 상징이 되며현재까지도 중장년층에게는 고급 국산 모델로 인식되는 영광을 누리고 있다또한최근 올드카에 대한 수요가 생기며 1세대 그랜저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소비자들도 생겼다. 1세대 그랜저의 중고가는 500~700만 원 정도이며관리 상태가 매우 좋은 차량은 800만 원에도 거래될 정도로 올드카 소장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고 있다.


기아차
카니발


중형 세단인 크레도스 플랫폼으로 개발된 카니발은 1998년 초부터 시판하기 시작한 1.5박스 형태의 미니밴이다보닛 메인 프레임 밑에 보조 프레임을 덧대어 높은 차체를 자랑하며양쪽에 슬라이딩 도어가 적용돼 편의성을 높인 점이 특징이다. 1세대 카니발엔 영국 로버와 함께 개발한 175마력의 V6 2.5ℓ 가솔린 엔진과 135마력의 2.9ℓ 디젤 엔진이 탑재됐다.


당시 카니발 판매 대수의 절반은 디젤 차량이었고 가솔린 차량은 전체 판매 대수의 3%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판매량이 적었다하지만결론적으로 카니발 1세대는 2세대가 나오기 전인 2001년까지 총 219,400여 대가 판매되는 등 기아차의 효자 상품 역할을 톡톡히 했다.

현대차 
싼타페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첫 SUV 모델인 싼타페는당시 SUV 시장의 주류를 이루던 프레임 타입의 SUV와 차별화된 모노코크 타입으로 개발됐다소비자들은 싼타페를 두고 세단의 안락함과 SUV의 안전성그리고 MPV의 다용도성을 겸비한 새로운 개념의 RV”라고 평가하며 싼타페에 애정 어린 시선을 보냈다.


1세대 싼타페는 넓은 차체를 갖고 있었으며울퉁불퉁하며 동시에 유선적인 스타일로 동적이고 차별화된 이미지를 강조했다독특한 디자인 덕분일까1세대 싼타페는 현대자동차 캘리포니아 디자인 센터 역사상양산 모델에 채택되는 최초의 사례가 되기도 했다.


기아차 
쏘렌토


바디 온 프레임 차체 설계 방식을 채택한 1세대 쏘렌토는 전체적으로 풍만한 디자인을 갖고 있다. 1세대에서는 5단 수동변속기와 4단 자동변속기연식변경 모델의 경우 수동 겸용 5단 자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다그 당시에는 흔하게 볼 수 없었던 내비게이션 기능도 있었다지금의 것과 비교하면 그래픽도 단순하고 별다른 첨단 사양은 없지만그때 당시에는 파격적인 기능이었다.


거기서 끝이 아니었다. 2004년 즈음부터는 사라졌지만초창기의 쏘렌토는 일명 프리 옵션제를 시행하기도 했다이는 말 그대로 고객의 취향대로 원하는 옵션을 넣어서 출고할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였다소비자들의 반응은 이례적으로 뜨거웠다고 한다.


현대차
쏘나타


지금까지도 국민차아빠차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는 쏘나타의 1세대 모델은 1985년 말에 출시됐다. 1세대 쏘나타는 당시 큰 인기를 누렸던 대우 로열 시리즈에 대항하기 위해 기존의 스텔라에 1.8ℓ 시리우스 가솔린 엔진과 2.0ℓ 시리우스 가솔린 엔진을 얹어서 출시됐다.


여기에 크루즈 컨트롤파워 시트헤드 램프 워셔, 크롬 범퍼전동 조절식 아웃 사이드 미러파워 스티어링 휠 등 고급 사양을 적용하여 판매했으나 소비자들의 반응은 생각만큼 좋지 않았다스텔라와 똑같은 차체에 엔진과 편의 장치만 변경했기 때문에 “1,500cc 차량인 스텔라와의 차별성을 갖추지 못했다라는 평가가 많았던 것이다때문에 현대자동차의 올드카 중에서도 잔존 대수가 극히 적은 편이다.


현대차
아반떼


1990년경에 출시된 1세대 아반떼는 미쓰비시의 직렬 4기통 오리온 1.5리터 SOHC 엔진과 시리우스 1.6리터 DOHC 엔진을 탑재했다아반떼는 쏘나타와 차별성을 두기 위해 고성능 세단이라는 이미지를 내세웠으며출시 당시에 1.6ℓ 113마력, DOHC 엔진을 얹고 제로백 9.5초의 성능을 발휘했다.


1세대 아반떼는 적당하게 저렴한 가격대와 아쉽지 않은 성능으로 많은 가족의 패밀리카로 자리매김에 성공했으며그때나 지금이나 사회 초년생들에게 인기가 많은 모델이 됐다특히 당시 1.8 DOHC 모델에는 사일런트 샤프트를 탑재해 소음과 진동을 줄였고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면서 뭇 소비자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았다.


누군가에게는 올드하다라는 말이 단지 낡았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하지만 다른 누군가는 클래식하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이며 오히려 애정 어린 시선을 보낼 수도 있겠다오늘 살펴본 모델들이 그렇다


기본을 지키는 자동차정말 심플하지만 담을 걸 다 담고 있는 자동차가 진짜 자동차가 아닐까디자인도 마찬가지다올드카들은 과하게 멋을 내지 않고기본을 지키면서 빈티지한 감성을 좋아하는 소비자들을 정확하게 겨냥하고 있다그래서 향수를 자극하는 올드카들이 최근 뭇 소비자들의 관심사가 된 걸지도 모르겠다.


글.
자동차줌 편집부


작가의 이전글 "도로에 4시간 있었습니다" 퇴근시간에 벌어진 일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