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BTS가 한류를 주도하고 있고 젊은 가수들이 가요계에서 많은 활약을 하고 있다. 나는 지금 나이에 가장 맞는 TV 음악 프로가 몇 년 전엔 '콘서트 7080'이었는데 종영된 지 벌써 몇 년이 지났다. 그 프로가 처음엔 별 호응이 없다가 서서히 당시 486 혹 586세대의 정서와 교감하면서 큰 인기를 끌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젊음으로의 여정도 그 열정이 식으며 잠시 동안 추억의 향기를 느꼈던 일로 끝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세시봉 콘서트'가 70년대 음악에 대한 향수를 다시금 느끼게 해 주었다. 지금은 TV 음악 프로 중 간혹 시청하는 프로가 '열린 음악회'와 '가요무대'이다. 열린 음악회도 최신 음악보다는 약간 흘러간 음악, 가요무대는 너무 오래된 음악보단 7080 음악에 귀를 기울인다.
내가 7080 음악에 관심이 가는 이유는 그때 가장 감수성이 강했고 음악을 접하며 가졌던 추억이 마음 한편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에도 동요보다는 어른들이 즐겨 부르던 유행가를 종종 듣곤 하였다. 당시 나훈아, 남진 등 가수들이 부른 곡들의 가사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내용(고향역, 머나먼 고향 등)과 사랑하는 사람을 그리워하는 내용(사랑은 눈물의 씨앗, 애정이 꽃피던 시절, 가슴 아프게 등)이 많았던 것 같다.
공교롭게도 사랑을 다룬 유행가들을 보면 사랑이 이루어진 것보다는 좌절된 실연의 노래가 훨씬 많았다. 그 이유를 보면 20대 때 사랑은 실패 확률이 성공확률보다 높기 때문인 건 아닌지 싶다. 서로 좋아하다 첫째, 남자가 군 입대를 하면 사랑이 깨어지기 쉽고, 둘째 남자가 자신의 출세에 유리한 대상을 찾으려 하거나 혹은 여자가 자신을 편하게 살게 해 줄 대상을 찾으려 하는 경우에도 그러할지 모른다. 여러 현실적인 어려운 여건에도 대학 때 만난 첫사랑과 끝까지 관계를 이어가 결혼까지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그리 흔하지는 않은 것 같다.
70년 초중반엔 통기타 가수들이 대거 포크 송을 쏟아부었다. 송창식, 윤형주, 김세환, 양희은에 박인희, 서유석까지. 당시 대학생들은 청바지, 생맥주, 통기타로 상징되는 세대들로서 순수하고 낭만적인 정서를 담거나 억압된 자유를 마음껏 분출하는 곡들을 불렀다. 대표적인 곡들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아침이슬', '행복의 나라로', '고래사냥' 등
70년이 지나 80년 들어서는 생활수준이 올라가며 세상이 그전보단 살기가 조금 나아지다 보니 방송도 흑백에서 칼라로 바뀌었다. 더불어 무대, 조명에 음향 등이 화려 해지며 송골매, 사랑과 평화 등 그룹사운드들과 각종 히트곡으로 가요계를 한 손에 쥐고 흔들던 가왕이 탄생하였는데 그의 이름이 조용필.
80년 초에 기억나는 곡 중 하나가 가수 전광태의 '독도는 우리 땅', 정치적인 이슈가 된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발맞춰 독도와 관련한 상세한 지리적 역사적 내용을 담고 있는 곡이었는데 한때 한일 간 감정의 골이 깊어질 때 금지곡이 되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잊힌 계절'이 1982년 한 해 동안 TV와 라디오의 음악 프로를 흔들어 놓았을 뿐 아니라 전국 커피숍의 DJ들을 바쁘게 했다. 80년 중반 구창모가 솔로로 전향하기 전까지 '송골매'란 그룹사운드의 인기도 대단하였다. 세상이 좁다고 알고 봤더니 내가 사는 창동 주공 19단지 8층에서 몇 계단 내려간 6층엔가 과거 송골매 키보드 연주자 이봉환이 살고 있었는데 나는 엘리베이터에서 그를 종종 보기도 했지만 누군지 모르다 애엄마가 알려줘서 알게 되었다.
배철수가 진행하던 콘서트 7080이 종영된 걸 보면 과거 젊을 때 즐겨 듣고 부르던 노래들은 분명 중요한 의미로 다가는 왔지만 그 생명력은 그리 길지 않았던 듯하다. 그 프로의 애청자라면 대개 70~90학번 정도가 아니었을까? 배철수가 53년생으로 70년 초 학번이고 내가 82학번이니 나도 그 분위기에 꽤 빠질 수 있는 대상일 듯싶다.
우리 전에는 커피숍이나 생맥주집, 학사주점 등에서 기타를 치며 노래를 하는 무명가수들도 꽤 있었던 것 같다. 과거에는 지금보단 못살았어도 그러한 자유롭고 덜 상업적인 정서가 있었건만 지금은 그때보단 잘 살지만 젊은이든 중노년이든 마음에 여유라고는 없이 쫓기는 생활을 하는 것이 안타까울 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