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낮별 Aug 11. 2022

오랜 상처가 두려운 당신에게

8월 11일의 악필 편지

어린 시절 TV 채널을 돌리다 우연히 마주친 영화가 있었습니다. 내용이 전부 기억나는 것도 아니고, 제목조차도 모르는 그 영화는 마음에 상처를 받은 사람들의 모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거기에 모인 사람들이 서로를 치유하기 위해 대단한 일을 했던 것은 아닙니다. 그저 약국에서 반창고 한 통을 사들고, 서로 상처를 받았던 장소에서 모였지요. 그리고 그 곳 어딘가에 반창고를 붙이고 사라졌을 뿐입니다. 


그렇게 기억의 저편에 잊혀져가던 이 영화가 돌연 생각났던 것은 몇 년 전이었습니다. 매일 영동대교를 올라 한강을 내려다보던 시절이었습니다. 그게 평범한 산책이 아니라, 난간 너머로 몸을 던지고픈 자살 충동에 시달렸기 때문이었다는 것을 깨달은 후에 저는 한강으로 발을 끊었지요. 시간이 충분히 지났을 무렵, 저는 돌연 그 영동대교에 문득 다시 올라보고 싶은 마음을 느꼈습니다. 아마 그 상처를 충분히 나았는지 궁금해졌던 것 같습니다.


무서웠지요. 그러나 평생 이 상처가 나았는지 아닌지도 모르고 살아가고 싶지도 않았습니다. 그 때 떠오른 것이 저 영화였습니다. 저는 영화 주인공들처럼 반창고 한 통을 사들고 영동대교에 올랐습니다. 강바람이 아프도록 차가웠고, 저는 덜덜 떨리는 손으로 영동대교의 난간 위에 반창고를 붙이고는 도망치듯 뒤돌아 나왔습니다. 가장 큰 반창고를 두 개나 붙였었지요. 저는 다시 일상으로 돌아갔습니다.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요. 그러나 여전히 상처는 그 자리에 있었습니다.


다시 영동대교를 오른 건 일 년 정도가 지난 후였습니다. 접착제가 바싹 말라붙어 퍼석해졌지만, 반창고는 그 자리에 붙어 있었습니다. 저는 손톱으로 그 접착제 자국을 긁어 반창고를 떼며 이제는 제가 괜찮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 얇은 반창고 두 장이 내 상처를 지켜주었기에, 내가 나을 수 있었다는 것을 알았지요.


물론 그 반창고가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마법의 반창고는 아니었지요. 당장 천 원짜리 한 장을 들고 약국으로 달려가면 누구나 살 수 있는 싸구려에 불과합니다. 중요한 것은, 제가 제 상처를 인정하고 치유하기를 선택했다는 것입니다. 반창고는 그런 마음이 담긴 상징에 불과합니다. 반창고를 붙이는 건 내가 나의 상처를 돌보겠다는 선언이었지요.


그런 선언이 저를 살게 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상처가 덧나지 않게 아물게 했지요. 우리는 어떤 상처를 입더라도 죽지 않는 한은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입니다. 그 명료한 진실에는 힘이 있습니다. 우리가 스스로를 치유하고 돌볼 수 있는 힘이자, 우리에게 상처를 주는 무언가와 싸워나갈 힘입니다. 


그러니 상처를 외면하지 마세요.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상처를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돌보는 것입니다. 상처를 닦고 반창고를 붙이기 위해 우리는 상처를 마주보아야 합니다. 그게 어렵다면 누군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겠지요. 중요한 것은 우리는 치유될 수 있다는 믿음을 잃지 않는 일입니다. 그렇게 상처를 안고 살아가다 보면 우리는 어느 날 알아챌 수 있을 겁니다. 반창고가 떨어진 자리에 돋아난, 붉은 새 살을요.




웹사이트 링크를 통해 편지를 보내 주세요. 답장으로 악필 편지를 매주 목요일 저녁 6시에 보내드려요.

작가의 이전글 나의 어둠을 소개합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