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쓰는 영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드플레 Jul 27. 2021

섬세한 접근에서 강렬한 확장을 향해

김미조, <갈매기>(2020)

사려 깊은 소거와 냉랭한 응시  


김미조 감독이 연출한 <갈매기>는 사려 깊으면서도 번뜩이는 영화다. 주인공 오복은 시장 상인들이 모인 술자리에서 벌어진 성폭행 사건의 피해자가 되는데, 이때 <갈매기>는 사건을 상세하게 묘사하지 않는다. <갈매기>는 오복의 심리를 묘사할 때에도 또한 관련 정보를 전부 드러내지 않는다. <갈매기>는 인물의 고통을 묘사하는 방식에 있어 매우 섬세한 접근을 보여준다. 어떤 면을 소거하고 어떤 면을 부각해야 하는지 알고 있는 영화다. 그런 일관성은 영화의 진정성을 뒷받침한다. 이렇게 생략을 동반하는 <갈매기>의 화법은 영화를 지배하는 원동력이 된다. 카메라는 오복을 집요하게 따라가면서도, 시종 냉랭하고 건조한 시선을 유지한다. 즉 <갈매기>는 감상적 태도에 매몰되는 상황을 경계한다. 이 묘한 이중성, 인물의 심리를 섬세하게 어루만지는 태도와 쉽사리 몰입하지 않으려는 냉정함이 <갈매기>에 공존하는 듯 보인다.


전통 시장은 사람 냄새 가득한 정겨운 공간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갈매기>의 수산시장 거리는 오갈 데 없는 오복을 서서히 조여오는 잔인한 공간이다. 사실 영화 속 오복은 시장에서 벗어나서 다른 공간에 몸담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위안 받지 못한 채 고립된다. 오복이 누군가에게 전화하는 장면이 떠오른다. 숨겨왔던 속내를 털어놓던 오복에게 치매가 걸린 어머니는 시큰둥한 반응과 함께 딴소리를 늘어놓는다. “뭐? 꼬막이 먹고 잡다고?”. 오복은 말문이 막혀 버린다. 가장 힘이 되어줘야 할 남편은 오복에게 크나큰 상처가 되는 추잡한 말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뱉어낸다. 딸들이 엄마 오복을 도와주려 하나, 각자의 삶의 영역이 불편하게 들러붙는 가운데, 부질없는 갈등만 늘어간다. 전기세를 아끼려 에어컨 대신 선풍기 바람에 의지하는 억척스러운 오복은 집에서조차도 마음 편하게 의지할 대상을 찾지 못한 채 끙끙대며 속앓이만 반복한다.


<갈매기>는 이해관계로 둘러싸인 상황을 쉽사리 재단하지 않는다. 즉, 오복의 복잡한 심리부터 시작해서 그녀뿐 아니라 생활고에 시달리는 주변인들의 사연까지 담아낸다. 오복을 성폭행한 기택은 시장 공동체를 이끄는 주축이라는 이유로, 상인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오복과 친하게 지냈던 상인들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그들은 보상금을 타낸다는 명목으로 오복의 편에 서는 걸 주저한다. 기택이 경찰서를 들락날락하게 된다면, 그를 중심으로 권리를 쟁취하려는 상인들의 공동체가 와해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들은 정당한 보상을 챙길 수 없을지도 모른다. <갈매기>는 오복의 서사를 따라가는 영화임에도 한편으로는 그녀만의 이야기에만 몰두하려고 하지도 않는다. 클로즈업으로 인물의 내면을 환기하는 상황 또한 종종 등장하지만, 많은 장면에서 현실감을 한껏 부각하여 영화가 감상적으로 매몰될 가능성을 줄여나간다. 이 영화는 따라서 음악을 지운 자리를 현실과 맞닿은 퍽퍽한 요소들로 빼곡히 채운다.


<갈매기> 스틸컷 © 영화사 진진



강렬하게 부각하는 그 순간  


소외된 타자의 사연에 주목하는 영화의 골격에서부터 제법 디테일한 영역까지 면밀히 따져봤을 때, <갈매기>에는 기존의 영화들을 참고한 지점들이 제법 보인다. 따라서 <갈매기>는 섬세하긴 하나 독창적이진 않다. 그럼에도 우리가 <갈매기>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이 영화의 결단에 있다. 고군분투에도 불구하고, 오복은 따스한 관심과 위로는 커녕 볼멘소리와 따가운 시선을 마주한다. 이후 오복은 결심한다. 오복은 불특정 다수를 향한 시위의 방식으로 억울함을 호소하는 대신 자신을 성폭행한 가해자 기택에게 호소문을 보여준다. 이 순간 카메라는 관계의 층위를 확장하는데, 오복을 바라보는 기택의 시점이 아니라, 정면 구도에서 오복을 응시하고, 오복 또한 카메라를 응시하는 듯한 오묘한 시선으로 관객과 대면한다.


다시 말해 <갈매기>는 시종 관조하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관객에게 요청한다. 현실을 차마 벗어나지 못해 그저 맴돌 수밖에 없는 갈매기. 이 갈매기 오복이 선택한 행위가 카메라를 매개로 관객에게 가닿는다. 관객이 확인할 수 있는 건 종이 속의 내용도 아니고, 기택의 표정도 아니고, 오로지 오복의 얼굴이다. 오복은 기택을 향해 피켓을 들고 있지만, 카메라는 그 행위를 스크린 바깥의 관객이 목도하는 것으로 치환한다. 기택의 자리를 관객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이를 통해 <갈매기>는 분명하게 묻고 있다. 오복의 인생을 망쳐놓고, 난관에 봉착하게 만든 걸로도 모자라 무심하게 방관하기까지 하는 섬뜩한 공동체는 영화 속에만 존재하는 게 아닐지도 모른다. 목소리를 내는 데 어려움을 겪는 소외자들에게 관심을 기울여야 할 공동체는 바로 스크린 너머에 있는 현실 속의 관객들이 아닐까.  



<갈매기> 스틸컷 © 영화사 진진



본 콘텐츠는 '씨네랩'으로부터 초청 받은 '영화 <갈매기> 언론/배급 시사회'를 통해 작성된 글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불완전한 탈경계를 향한 따스한 시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