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드플레 Jul 01. 2022

주간 영화

2022.06.18-2022.06.24

<탑건: 매버릭(Top Gun: Maverick)> (조셉 코신스키, 2022)


<탑건: 매버릭>에는 하나의 시간선이 있지만, 그 시간선이 여러 갈래의 시간선을 품고 있다는 사실만큼은 제법 흥미롭다. 이곳엔 아이스맨의, 구스의, 매버릭의 시간들이 얽혀 있다. 더 중요한 것은 현실의 시간이 영화에 침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톰 크루즈의 늘어난 주름이라든가 암 투병 후유증 영향으로 변해버린 발 킬머의 몸 상태 같은 것들이 영화의 타임라인에 침입해 내적 세계로 스며들어 있다. 이 같은 사례는 사실 <탑건: 매버릭>을 제외하고도 많다 못해 넘쳐흐르는 수준이다. 그런데 다른 사례들이 <탑건: 매버릭>에서만큼의 감각적인 파급력을 선사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그렇다면 이 영화의 어떤 점들로 인해 차별화될 수 있는 것일까.


<탑건: 매버릭>엔 믿음이 서려 있다. 영화는 계속해서 믿고 싶어 한다. 아직 지켜내야 할 것들이 있다면, 그것들을 지켜내기 위해서 누군가는 자리를 지키고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신념. 영화엔 그 신념을 지키는 것에 관한 갈망이 내재되어 있다. 그것이 OTT 시대에도 대형 스크린의 상영 환경을 확보하는 일이든, 톰 크루즈가 한결같은 자기관리와 퍼포먼스로 하나의 아이콘 내지는 브랜드가 되어가고 있는 과정이든 말이다. 배우가 캐릭터가 되고, 캐릭터가 서사를 꾸려나가고, 서사가 영화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유려한 연결점을 찾아낸 사례가 <탑건: 매버릭>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자리를 벗어나지 않은 채, 지켜낼 수만 있다면 소통의 또 다른 가능성 혹은 기회가 자연스레 찾아올 수 있다. <탑건: 매버릭>은 처음부터 끝까지 그에 대한 믿음을 고수한다. 오히려 관객들에게 알아달라고 먼저 요청하는 것만 같다.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박훈정, 2021)


<마녀>는 김다미의 영화였다. 그렇다면 <마녀 2>는 신시아의 영화가 될 수 있는가. 될 수 없는 것 같다. 영화는 전편과 다른 방식으로 한 사람을 조명한다.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관계성이다. 전편 속 구자윤의 태세 전환이 폭발력을 갖출 수 있던 이유는 그의 여정이 자기중심적인 구조로 설정됐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2편의 소녀에겐 기묘하게도 '나 자신'이 없다. 오로지 타인의 희생이 동반될 때에만 각성이 허락되고, 타인과의 유대를 형성해야만 삶의 의미를 획득한다. 이 지점에서 전편과 이번 편은 많이 다르다. 전편의 구자윤이 영화를 집어삼킬 수 있었던 이유는 주체가 스스로 설정한 관계 그 자체에 있었다. 구자윤은 자신의 필요에 따라 관계를 마음대로 재편하고 조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배우의 매력 등이 결합되면서 시너지 효과가 좋은 방향으로 발현된 사례가 <마녀>였다.


<마녀 2>에도 물론 신시아 배우에 의존할 수 있는 선택지가 존재했다. 하지만 영화는 그 길을 무시했다. 좋고 나쁘고의 선택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어쩐지 영화가 가야만 하는 필연의 길을 저버린 느낌이라 아쉽다. 맥락을 소거한 채 존재의 아우라로 찍어누르려는 전략. <마녀> 유니버스는 이런 단순 무식한 구상에 치중하는 편이 좋아 보이는데, 엄마를 찾아 나서는 3편의 서사가 과연 어떤 방식으로 존재감을 드러낼지 궁금하다.




작가의 이전글 주간 영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