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n the Road Jul 25. 2021

4차 산업 혁명시대, 지방 활성화의 해법은 ?

지속가능한 활성화를 위해서

지금이 4차 산업 혁명 시대라는 얘기는 모두가 하고 있고,   AI와 빅데이타를 중심으로 기업의 운영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는데 모두가 공감한다. 그러나 4차 산업 혁명이 단순한 AI, 빅데이타 등의 기술의 문제만이  아닌, 그 전에 우리의 인식, 일하는 방법의 문제라고 나는 생각해 왔다.  기하급수적 변화가 일상인 4차 산업 혁명 시대, 우리 기업들은 크기를 키우는 것이 아니고 변화에 대한 대응 속도를 높이고, 현재가 아닌 미래를,  내부가 아닌 외부를 그리고 조직이 아닌 개인을 일의 주체로 우리의 일하는 방법이 변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


지방은 지방소멸이라는 말로 몸살을 앓고 있다. 가임여성 (20~39세) 인구를 기준으로 소멸 위험을 얘기하는 지방소멸이라는 단어는 그 단순함으로 비판도 많지만,  그 단순함으로 "지방소멸의 가장 큰 원인은 청년의 유출이라는"  문제를 그만큼  극화 시켜 보여주기도 한다.  1998년 부터 2008년 까지  147만 3천명, 이중 2018년 만 17만명의 청년들이 유출되었고 코로나로 그 기울기는 갈 수록 가팔라지고 있다. 지자체마다 청년 유출. 지방 도시 활성화의 정책들을 경쟁적으로 쏟아붓는데 왜 개선이 안되는 가? 혹 우리는 지금 3차 산업 혁명 시대의,  개발시대의 지방도시 활성화 정책들을 답습하는 것이 아닌가?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지방도시 활성화 정책의 방향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첫째,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  1인 창조기업, 개인이 지방 활성화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우리는 오랫동안  대기업만 들어오면  들어오면 지방활성화는 된다고  생각하고 대기업의 유치와 이탈 방지에 사활을 걸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공장 유치, 지역특화산업 육성으로 인구 증가에 성공한 지역 사례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고 고용정보원의 김준영 박사는 얘기한다.  4차 산업 혁명시대 활성화의 주체는 대기업이나 큰 건물과 같은  크기도,  하드웨어도  아니고, 개인이고 그 개인이 바탕인 스타트업,  1인창조 기업인 경우가 많다. 우리가 힙하게 생각하는 지방도시인 스웨덴의 말뫼도, 미국의 디트로이트도 대기업이 떠나고 망하면서 몰락했지만, 그자리에 1인 창조기업 스타트업이 들어오고, 그 1인 창조기업, 스타트업들과 거래하기 위해 대기업들이 거꾸로 들어오면서 결과적으로 도시가 활성화되고 힙하게 되었다. 수초가 많아지면 작은 물고기가 들어오고 작은 물고기가 늘어나면 큰 물고기가 늘어나는 형국이다. 1인 기업, 스타트업과 관련 좋은 대학이 필요하다.  쇠락했던 조선업의 쇠퇴로 인한 "말뫼의 눈물"을 유럽 최고 스타트업 도시로 화려하게 부활시켜 "말뫼의 기적' 으로 만든 것도 바로 말뫼 대학 이었다.  


둘째  삶의 질이 가장 중요하다. 1인기업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인재들이 오게 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주거, 교육, 의료등 삶의 질이 올라가야 한다. 지방도시가 오히려 사람에 대한 배려가 부족함을 많이 목격한다. 확장형 도시계획을 폐기하고, 대신 쓸모가 없어진 기존 건물과 낡은 주택을 리모델링해 매력적인  주거지로 탈바꿈하면서 성공한 독일의 드레스덴 처럼 원도심을 활성화 시키고, 모빌리티의 강화를 통한 보행자 중심도시, 녹지가 풍부한 제로 시티 (친환경 도시), 여성들이 좋아하는 직선이 아닌 곡선의 도시, 외부 사람들에게 열려 있는 다양성이 살아 있는 개방적인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  


세째 제로섬적인 정주인구 싸움에서서 벗어나 교류인구, 관계인구로 인구 정책의 틀을 바꾸어햐 한다. 김난도 교수가 쓴 트렌드 코리아를 보면 "경험 소비"가 소유보다 소비자의 행복에 더 크게 기여한다고 한다. 이동을 통한 경험 소비의 확대가, 소유하면서 사는 정주보다 디지털 노마드라는 요즘 젊은이들의 취향에 더욱 잘 맞기 때문이라고 한다. 4차 산업 혁명시대는 정주의 시대가 아니다. 노마드의 시대이다.  어쩌면 이제 지방 소멸의 문제에 대한 답은 어떻게 이동을 강화할 것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해야 할 수도 있다. 자율주행이 본격화 되면 그 트렌드는 더 강해 질것이다. 관계인구, 교류인구를 만들고 싶다면 지금 바로 메타버스에 도시를 만들어라.



지금까지 우리는 지방활성화의 해법을 일자리로 보았다. 그러나  4차 산업 혁명 시대 지방활성화의 해법은  '청년들이 지금 일하고 싶은 분야에서, 일하고 싶은 형태로 일할 수 있어야 한다.” 가 되어야 한다. 

일자리는 그 결과로 따라오면 되는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Move On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